•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duration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4초

도시유역 CSOs 처리를 위한 저류형시스템 설계용량 산정 (Estimation of Storage Capacity for CSOs Storage System in Urban Area)

  • 조덕준;이정호;김명수;김중훈;박무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0-497
    • /
    • 2007
  • A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are themselves a significant source of water pollution. Therefore, the control of urban drainage for CSOs reduction and receiving water quality protection is needed. Examples in combined sewer systems include downstream storage facilities that detain runoff during periods of high flow and allow the detained water to be conveyed by an interceptor sewer to a centralized treatment plant during periods of low flow. The design of such facilities as stormwater detention storage is highly dependant on the temporal variability of storage capacity available (which is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interevent dry periods) as well as the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and recovery of depression storage. As a result, a continuous approach is required to adequately size such facilities. This study for the continuous long-term analysis of urban drainage system used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 based on derived probability distribution theory. As an alternative to the modeling of urban drainage system for planning or screening level analysis of runoff control alternatives, this model have evolved that offer much ease and flexibility in terms of computation while considering long-term meteorology. This study presented rainfall and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rea using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 This study presented the average annual COSs and number of COSs when the interceptor capacity is in the range $3{\times}DWF$ (dry weather flow). Also, calculated the average annual mass of pollutant lost in CSOs using Event Mean Concentrat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a decision of storage volume for CSOs reduction and water quality protection.

Delayed Sternal Closure Using a Vacuum-Assisted Closure System in Adult Cardiac Surgery

  • Hyun Ah Lim;Jinwon Shin;Min Seop Jo;Yong Jin Chang;Deog Gon Cho;Hyung Tae S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3호
    • /
    • pp.206-212
    • /
    • 2023
  • Background: Delayed sternal closure (DSC) is a useful option for patients with intractable bleeding and hemodynamic instability due to prolonged cardiopulmonary bypass and a preoperative bleeding tendency. Vacuum-assisted closure (VAC) has been widely used for sternal wound problems, but only rarely for DSC, and its efficacy for mediastinal drainage immediately after cardiac surgery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Therefor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DSC using VAC in adult cardiac surgery. Methods: We analyzed 33 patients who underwent DSC using VAC from January 2017 to July 2022. After packing sterile gauze around the heart surface and great vessels, VAC was applied directly without sternal self-retaining retractors and mediastinal drain tubes. Results: Twenty-one patients (63.6%) underwent emergency surgery for conditions including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n=13), and 8 patients (24.2%) received postoperative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support. Intractable bleeding (n=25)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an open sternum. The median duration of open sternum was 2 days (interquartile range [25th-75th pertentiles], 2-3.25 days) and 9 patients underwent VAC application more than once. The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27.3%. Superficial wound problems occurred in 10 patients (30.3%), and there were no deep sternal wound infections. Conclusion: For patients with an open sternum, VAC alone, which is effective for mediastinal drainage and cardiac decompression, had an acceptable superficial wound infection rate and no deep sternal wound infections. In adult cardiac surgery, DSC using VAC may be useful in patients with intractable bleeding or unstable hemodynamics with myocardial edema.

복수가 있는 말기 암환자에서 복수 배액관 시술의 효과와 예후요인 분석 (Analysis of Effect and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Catheter Intervention on Ascites in Terminal Cancer Patient)

  • 장명선;김철민;윤조히;라정란;장승남;김명옥;이자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303-309
    • /
    • 2016
  • 목적: 말기 암환자에서 악성 복수는 흔하게 발생하며, 그 자체가 나쁜 예후를 시사한다. 악성 복수에 대한 효과적이고, 최소한의 침습적인 방법으로 복수배액관 삽입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복수배액관 삽입을 시행한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복수배액관 시술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개 3차 의료기관 호스피스 병동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입원한 말기 암환자 2,608명 중 복수배액관 삽입을 시행한 67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인구학적 정보, 완화의료 수행지수, 혈액검사, 복수 배액관 유지 기간, 시술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 항생제 사용 여부와 기간, 시술 후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복수 배액관 삽입 후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7명의 연구대상자 중 원발암은 간암 및 담도암과 위암이 가장 흔하였다. 복수배액관 시술 후 복수관련 증상의 호전은 55명(82.1%)에서 있었다. 시술 후 합병증은 통증(19.4%), 누수(14.9%), 배액관 빠짐(7.5%), 배액관 막힘(6%), 발열(4.5%)이었다. 복수배액관 시술 후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 결과 완화의료 수행지수(HR 0.73; P=0.045), 저나트륨혈증(HR 2.77; P=0.003)이었다. 결론: 복수를 동반한 말기 암환자에서 복수 배액관 시술 시, 완화의료 수행지수와 저나트륨혈증은 예후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요구된다.

The Utility and Benefits of External Lumbar CSF Drainage after Endovascular Coiling on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Kwon, Ou-Young;Kim, Young-Joon;Kim, Young-Jin;Cho, Chun-Sung;Lee, Sang-Koo;Cho, Maeng-K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6호
    • /
    • pp.281-287
    • /
    • 2008
  • Objective : Cerebral vasospasm still remains a major cause of the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the developments in treatment of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The authors measured the utility and benefits of external lumbar cerebrospinal fluid (CSF) drainage to prevent the clinical vasospasm and its sequelae after endovascular coiling on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this randomized study. Methods : Between January 2004 and March 2006, 280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Among them, 107 patients met our study criteria.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47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CSF drainage during vasospasm risk period (about for 14 days after SAH), wherea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60 patients who received the management according to conventional protocol without lumbar CSF drainage. We created our new modified Fisher grade on the basis of initial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scan at admission. The authors established five outcome criteria as follows : 1) clinical vasospasm; 2) GOS score at 1-month to 6-month follow-up; 3) shunt procedures for hydrocephalus; 4) the duration of stay in the ICU and total hospital stay; 5) mortality rate. Results : The incidence of clinical vasospasm in the lumbar drain group showed 23.4% compared with 63.3% of individuals i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risk of death in the lumbar drain group showed 2.1 % compared with 15% of individuals in the control group. Within individual modified Fisher grade, there were similar favorable results. Also, lumbar drain group had twice more pati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good GOS score of 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mean hospital stay and shunt procedures between the two groups. IVH was an important factor for delayed hydrocephalus regardless of lumbar drain. Conclusion : Lumbar CSF drainage remains to playa prominent role to prevent clinical vasospasm and its sequelae after endovascular coiling on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Also, this technique shows favorable effects on numerous neurological outcomes and progno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rrant clinical trials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AH.

다방성 흉막수 및 노흉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의 치료 (Video-assisted Thoracoscopy in the Treatment of Multi Loculated Pleural Effusion and Empyema)

  • 김영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60-165
    • /
    • 2004
  • 다방성 흉막수 또는 농흉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배액술과 원인적 질환의 확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 흉강 삽관술 등의 치료에도 배액되지 않은 농흉이나 다방성 흉막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및 데브리망, 세척술의 효과와 실효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 흉막수 및 농흉으로 입원한 환자 중 폐쇄성 흉강 삽관술 등으로 적절히 배액되지 않았던 환자 중 발병한지 2주일이 안된 20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 후 전신 마취하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및 데브리망, 조직검사, 세척술을 실시하였다. 결과: 20예의 환자 중 18예에서 성공적인 비디오 흉강경 배액 및 세척술이 실시되었고 2예에서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남녀 비는 4 : 1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8.9세(17∼72세), 수술 후 평균 흉관 거치 기간은 8.2일(4∼22일),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15.2일(7∼33일)이었다. 원인 질환으로 결핵, 폐렴에 의한 합병증, 외상에 의한 혈흉, 전이성 유방암 등이었다. 수술 후 중대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환자들은 증상이 호전되어 외래 통원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기질화 되지 않은 초기의 농흉이나 다방성 흉막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데브리망은 비교적 안전하고 유용한 시술이라 하겠다.

흡인 후 견 봉합사 거치를 통한 만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치료 (The Effect of Indwelling Silk Suture Material Following Aspira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repatellar Bursitis)

  • 이봉진;이성락;김충현;김성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5-59
    • /
    • 2005
  • 목적: 낭액의 흡인 후 견 봉합사로 배액을 유도하는 방법이 만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조기 치료로써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주 이상의 병력이 있는 슬개골전 점액낭염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8.3개월이었고, 증상 발현 후 본 시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2개월이었다. 무균적 방법으로 척수액 천자용 또는 주사용 주사침으로 점액낭을 천자하고, 주사침을 통해 7번 견 봉합사를 삽입하였다. 시술 후 최소 1년에 재발, 감염, 통증 및 관절 운동 제한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봉합사의 삽입 부위에 발적이 발견되었으나 11예에서 발사 후 소실되었고, 1예에서는 시술 5일에 감염이 발생하였다. 92%의 환자에서 만족의 결과를 얻었으며, 치료기간은 평균 14.5일이었다. 결론: 점액낭의 천자 흡인 후 견 봉합사로 배액을 유도함으로써 만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고 비교적 비침습적인 방법이다.

  • PDF

흉곽 성형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horacoplasty)

  • 김형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호
    • /
    • pp.96-104
    • /
    • 1992
  • The 242 patients were operated due to chronic empyema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83 to Aug, 1991, we operated 17 patients by modified.Schede`s thoracoplasty with myoplasty and we concluded to next scentences. 1. The age of patients were varied from 28 to 65[Average 39.1] and male preponderance was seen[more than 3 times]. 2. The preoperative cause of disease were tuberculosis in 14 patients[3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aspergillosis, and 1 patient was associated vrith actinomycosis], lung abscess in 2 patients, and haemophilia in 1 patient. 3. The Preoperative duration of empyema were varied from 1 month to 30 years[Average 49.8 month], and the duration from pulmonary resection to thoracoplasty were 1 month to 13.5 years[Average 55 month] except 3 patients, who were operated pneunectomy with thoracoplasty at the same time. 4. The total number of thoracoplasty were 19, because in 2 patients, we operated 2 steps, and we failed in 6 cases, so the success rate was 68.5%. 5. In failure analysis of 6 cases, the cause were obliteration failure in 3 cases, inadequete drainage in 1 case, and in the other 1 case was mixed type. 6. From 1990 to 1991, there were no death associated with operation and there were 1 failure, so the success rate was greatly improved. 7. The bronchopleural fistula or spontaneous rupture of trachea were seen in 12 cases, and the success rate was high in absent cases.

  • PDF

유수지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Design of Edtention Pond and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Seoul)

  • 이종태;윤세의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115-124
    • /
    • 1993
  • 본 연구는 유수지.배수펌프장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의 결정 및 이에 근거한 계획 유수지.배수펌프장의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것이다. 계획강우의 지속기간과 시간적 분포형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40분 범위의 9가지 경우의 지속기간들과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4종류의 강우분포들을 검토대상 강우로 선택하였으며, 유출해석모형으로는 ILLUDAS를 사용하였다. 임계지속기간 결정기준으로서 저류비(총유출량에 대한 최대저류량의 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 값을 최대로 하는 지속기간을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배수구역면적이 $0.24~12.7\textrm{km}^2인$ 서울시의 18개 유수지.배수펌프장을 선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30분과 60분이 임계지속기간으로 나타났다. 도한 Huff의 제 2, 3분위형의 경우가 제 1, 4분위형 보다 큰 저류비를 보여주었다. 또한 임계지속기간을 갖는 강우조건에서의 최대저류비와 첨두입출비간의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이 관계식은 유수지 배수펌프장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합병성 흉막 삼출에 대한 국소적 Urokinase 주입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tracavitary Urokinase Instillation in Complicated Pleural Effusion)

  • 손동현;윤수미;김정미;박익수;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57-364
    • /
    • 2000
  • 목 적 : 삼출성 흉악염의 치료는 원인질환을 치료하고 동반된 흉막액을 배농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는 단순히 흉관 삽입 만으로 치료한 경우 소방 또는 응괴 형성 등으로 배농에 제약이 따른다. 원활한 배농을 위하여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흉관 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흉막강내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합병된 흉막 삼출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X-선 투시(image-guide)하의 배농을 시행한 합병된 흉막 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urokinase(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소방이 형성된 흉막 삼출에서 이의 치료 효과 및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등으로 소방 등이 존재를 확인한 20명의 흉막 삼출환자에서 X-선 투시하의 경피적 흉관 또는 pig-tail catheter를 이용하여 배농을 시행하고 25만 단위의 일정량의 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이의 치료 성적, 합병증 유무 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UK 투여는 본 연구 방법에서 정한 데로 하루에 25만 단위를 분할 투여하였고, 투여횟수는 $1.63{\pm}0.1$회 이었으며 투여 후에 흉막 삼출 배농은 향상된 양상을 보였다. UK 투여요법 시행 후 $212.9{\pm}194.5$일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바 20명의 환자 중 19명 (95.0%)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고, 1명 (5%)에서만 재발을 확인하였다. UK 투여 요법에서 관찰된 합병증으로 흉통이 11명 (55.0%)에서, 경도의 발열이 2명 (10.0%)에서 관찰되었으나, 치료를 중단해야 할 특이한 이상 소견은 없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흉강내 소방 형성 등으로 흉막액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 경피적 도관을 통해 25만 단위/일의 흉막내 UK 투여는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 PDF

폐농양의 경피적 카테타 배농법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of Lung Abscess)

  • 김창호;차승익;한춘덕;김연재;이영석;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58-164
    • /
    • 1993
  • 연구배경 : 최근에는 폐농양이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 많이 발생함에 따라 내과적 치료의 실패율이 증가하고 폐절제술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폐농양으로 인한 사망률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거대한 공동의 폐농양 환자에서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우려되어 이들에 있어서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환자들에서 경피적 배농을 시행하여 그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명적인 합병증이 우려되는 거대한 폐농양이 있는 9예를 대상으로 하여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하였고 경피적 배농은 8.3F pig-tail 카테타를 투시하여 Seldinger 방법을 이용하여 삽입하였다. 이와 함께 고식적 내과 치료만을 한 폐농양 환자 1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치료 효과 및 합병증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고식적인 내과적 치료만을 시행한 군에서는 평균 8.7일에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나 카테타 배농을 시행한 군에서는 평균 1.8일에 임상적 호전이 있었다. 그리고 경피적 배농시의 카테타 배농기간은 평균 13.2일이었다. 사망한 예는 대조군에서는 대량 객혈과 농에 의한 질식 그리고 패혈증 등으로 사망한 3예가 있었고 경피적 배농을 실시한 군에서는 간성혼수와 패혈증으로 사망한 2예가 있었다. 경피적 배농술에 따른 폐장 및 흉막 합병증은 없었으며 카테타 폐쇄와 전위 등의 기능부전 2예가 있었다. 결론: 경피적 배농술은 내과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와 거대한 폐농양 환자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도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