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channel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3초

화강암 분지를 흐르는 미호천의 지형학적 특색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ho Stream Flowing through a Granitic Plain, South Kore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1
    • /
    • 2021
  • The drainage area of the Miho stream is composed of granitic basins, gneissic and sedimentary mountains. 80 percent of the Miho stream flows through the Jincheon basin and the Cheongju inner-plain within the Daebo granite belt. Because the deep weathering of granitic hills provides a large amount of sands to the streams, there are wide floodplains with thick alluvium developed in the basin and plain. The thickness of the alluvium is 5~10m and the width of the floodplains is 2~2.5km. In the basin outlet area where a stream passes through the mountain canyon,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are developed in other riverside. The Miho stream is a sand-gravel channel flowing through the Cheongju inner-plain with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formed by deep weathering of granite.

통일신라시대 월지(月池) 입·출수 체계의 원형과 구조 (The Prototype and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the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 김형석;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124-141
    • /
    • 2019
  • 연구는 월지(안압지)의 수질 관리 문제를 유지용수의 순환 체계와 연관지어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연못의 순환체계와 관련 깊은 입·출수 체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입·출수시설 외에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추정 입·출수시설을 분석하였다. 입수시설을 검토한 결과, 현재 입수구인 월지 동남측 호안 입수시설은 남북 담장을 사이에 두고 동편의 정원시설(경석, 곡수로, 저수시설)과 수로로 연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월지 동편 조사에서 별도의 시설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920년대 실측 도면에 경석군이 확인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추정 입수구인 남서측 호안 입수시설은 월지 서편 건물지 임해전(臨海殿) 터에 남아 있는 화강암 수로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월지 남서측 호안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고, 거름망을 꽂았던 홈, 1920년대 실측 도면과 1975년 측량 도면의 입수구에 경석이 배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깨끗한 물을 입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수시설과 관련하여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목제 수로와 장대석군 집수시설의 기능은 월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만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목제 수로에 나무 물마개가 있는 점과 마지막 단계에 집수시설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상황에 따라 발천의 물이 역으로 입수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양방향으로 물이 드나들었으며 장대석군 집수시설을 통해 개폐 가능한 목제 수로로 입수되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 출수구인 서측 호안 출수시설은 북측 호안의 출수시설과 매우 유사함을 볼 때 신라시대에 존재하였거나 후대의 어느 시점에 북측 호안 출수시설을 모방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정 외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조선시대 어느 시점까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출수시설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월지는 신라 왕경 중심부인 동궁의 시설과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체계화된 배수망에 의해서 입·출수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월지를 비롯한 각 시설군에 물이 입수되었으며 왕경 중심부의 중요한 인공 하천인 발천(撥川)을 통해 남천(南川)으로 연결되는 배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라산 구린굴의 천장 함몰로 인한 병문천의 유로 변경 (Channel Migration of Byeongmun River Caused by Roof Collapse of Gurin Cave in Mount Halla, Jeiu Island)

  • 김태호;안중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6-476
    • /
    • 2008
  • 한라산 북사면에 소재하는 구린굴의 천장이 함몰되고, 동굴 지상을 흐르던 병문천이 동굴 안으로 유입되면서 442m 길이의 구린굴 가운데 73m 구간이 하천 유로로 바뀌었다. 구린굴 유로의 폭과 높이는 각각 447cm 및 501cm이며, 벽면은 용암선반이 발달한 전형적인 용암동굴의 모습을 보이나 바닥에는 기반암 하도 특유의 마식지형이 나타난다. 거북등 모양의 절리가 발달한 동굴 천장의 암반 두께는 $30{\sim}60cm$에 불과하며, 이런 장소에서는 천장이 함몰하기 쉬워 유로 구간에는 전부 4개 지점에 윈도우가 발달한다. 구린굴 유로가 출현하기 이전의 지상 유로는 병문천의 지류로서 제4함몰 윈도우 지점을 지나 표고 660m 지점에서 구린굴 동쪽 유역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본류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구린굴 지상 유로의 하상에 윈도우가 형성되면서 지상 유로는 구린굴 유로로 대체되고, 새로운 유로는 표고 660m 지점에서 본류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후 구린굴 상류 쪽으로 병문천 유역이 확대되면서 구린굴을 통과하는 유로가 본류로 바뀌었다. 그러나 홍수류가 발생하면 구린굴 지상 유로에도 유수가 발생하므로 병문천은 제4함몰 윈도우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분기 하천의 형태를 이룬다. 제주도 용암동굴의 천장에서는 낙반 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제주도의 수계 발달에 미치는 용암동굴의 영향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하도 변위에 의한 폭포의 형성과 변화 (Geomorphological Processes and Changes of Waterfalls formed by Channel Avulsion)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15-628
    • /
    • 2013
  • 하천의 유로가 급격하게 변경되는 하도 변위로 형성된 신하도에서는 상 하류간의 고도차로 인해 폭포 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7개 폭포를 대상으로 하여, 하도 변위에 의한 폭포의 형성 유형과 과정을 설명하고, 폭포의 후퇴 속도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울진군 불영 폭포, 영덕군 용추 폭포, 양구군 직연 폭포, 울진군 광품 폭포는 자연적인 감입 곡류 절단에 의해 형성되었다. 태백시 삼형제 폭포, 남원시 구룡 폭포는 하천 쟁탈의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고, 충주시 팔봉 폭포는 농경지 확보를 위한 인위적인 하도 절단으로 형성되었다. 폭포는 두부 침식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위치가 상류 쪽으로 이동하였는데, 폭포의 형성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불영, 용추, 직연, 삼형제 폭포의 후퇴 속도는 3~4m/ka로 측정되었다. 이들 4개 폭포의 후퇴 속도는 유역 면적, 강수량, 기반암의 용식 및 풍화 가능성, 초기 폭포의 높이와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22 and R-410A Condensation in Flat Aluminum Multi-Channel Tubes

  • Kim, Nae-Hyun;Min, Chang-Keun;Jung, Ho-J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
    • 제11권3호
    • /
    • pp.114-124
    • /
    • 2003
  • In this study, condensation heat transfer tests were conducted in flat aluminum multi-channel tubes using R-410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R-22. The flat tubes have two internal geometries; one with smooth inner surface and the other with micro-fins. Data are presented for the following range of variables; vapor Quality (0.1∼0.9), mass flux (200∼600 kg/$m^2$s) and heat flux (5∼15 kW/$m^2$).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surface tension drainage on the fin surface is more pronounced for R-22 than R-410A. The smaller Weber number of R-22 may be responsible. For the smooth tub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R-410A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R-22. For the micro-fin tube, however, the trend is reversed. Possible reason is provided consider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frigerants. For the smooth tube, Webb's correlation predicts the data reasonably well. For the micro-fin tube, the Yang and Webb model was modified to correlate the present data. The modified model adequately predicts the data.

알루미늄 다채널 평판관내 R-22 및 R-410A 응축에 관한 연구 (R-22 and R-410A Condensation in Flat Aluminum Multi-Channel Tubes)

  • 정호종;김내현;윤백;김만회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75-583
    • /
    • 2002
  • In this study, condensation heat transfer tests were conducted in flat aluminum multi-channel tubes using R-410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R-22. Two internal geometries were tested; one with a smooth inner surface and the other with micro-fins. Data are presented for the following range of variables; vapor quality (0.1~0.9), mass flux (200~600 kg/$m^2$s) and heat flux (5~15 ㎾/$m^2$).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surface tension drainage on the fin surface is more pronounced for R-22 than R-410A. The smaller Weber number for R-22 may be responsible. For the smooth tub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R-410A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R-22. For the micro-fin tube, however, the reverse is true. Possible reasoning is provided conside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frigerants. For the smooth tube, a correlation of Akers et at. type predicts the data reasonably well. For the micro-fin tube, the Yang and Webb model was modified to correlate the present data.

하천의 프랙탈 특성을 고려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개발(I) (Development of a GIUH Model Based on River Fractal Characteristics)

  • 홍일표;고재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565-577
    • /
    • 1999
  • 프랙탈 기하학은 불규칙적이고 복잡한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자기상사성을 가지고 있는 하천의 형상을 비롯한 하도망의 구성은 프랙탈 차원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현상이라 할 수 있다. GIUH란 유역의 수문학적 응답인 IUH에 하천의 지형학적인 특성을 적용한 강우-유출 모형으로,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지형학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하천 유역에서 프랙탈 차원은 길이비, 면적비, 분기비 등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산정할수 있다. 프랙탈 GIUH 모형을 제시하였다. 프랙탈 GIUH 모형은 Rosso(1984)가 제시한 GIUH-Nash 모형의 형상계수와 규모계수 등의 매개변수 산정시 유역의 자기상사성을 대변할 수 있는 프랙탈 차원을 직접 적용하였으며, 하천의 길이비와 분기비 만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바이오매트 형성에 의한 산성광산배수 내 중금속 유출질량 제거효율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Acidic Mine Drainage from Microbial Mats)

  • 유훈선;권병혁;김박사;소윤환;강동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67-676
    • /
    • 2012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o reduce mass of heavy metals in AMD(acid mine drainage) by microbial mats formed on the channel bed. As, Cd, Cu, Fe, Mn and Zn components were monitored in water and microbial mats, at three points (AMD1, AMD2 and AMD3), in a total of six times. Average daily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s was highest in July, Fe component contained more than 76% of total discharge mass.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s of AMD and heavy metal contents in microbial mats decreased with downstream at channel. Heavy metal components that average daily discharge mass is over 0.5 kg were Fe, Cu and Zn, and they were highest in July.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AMD was highest about 21% in Fe, this microbial mats were due to form from precipitation of Fe component in AMD by aerobic iron bacteria. Relative content for As component in microbial mats than AMD was over 16 times, this As components were due to absorb at iron oxide and iron hydroxide on the surface of microbial mats.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with VFS and Diversion Channel with Enhancements in SWAT Landuse-Subbasin Overland Flow and VFS Modules

  • Park, Youn-Shik;Kim, Jong-Gun;Kim, Nam-Won;Engel, Bernie;Lim, Kyoung-Ja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752-757
    • /
    • 2009
  • In the last decade, many methods such as greet chamber, reservoir, or debris barrier, have been utilized to manage and prevent muddy water problem.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has been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trap sediment effectively. The VFS are usually installed at the edge of agricultural areas adjacent to stream or drainage ditches,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VFS effectively removes pollutants transported with upland runoff. But, if the VFS is installed without any scientific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soil erosion, and sediment analysis, it may not reduce the sediment as much as expected. Although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has been used worldwide for many hydrologic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NPSP) analysis at a watershed scale. but it has many limitations in simulating the VFS. Because it considers only 'filter strip width' when the model estimates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and does not consider the routing of sediment with overland flow option which is expected to maximize the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from upper agricultural subbasin to lower spatially-explicit filter strip. Therefore, the SWAT overland flow option between landuse-subbasins with sediment routing capability was enhanced with modifications in SWAT watershed configuration and SWAT engine. The enhanced SWAT can simulate the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of the VFS in the similar way as the desktop VFSMOD-w system does. Also it now can simulate the effects of overland flow from upper subbasin to reflect the increased runoff volume at the receiving subbasin, which is what is occurring at the field if no diversion channel is installed. In this study, the enhanced SWAT model was applied to small watershed located at Jaun-ri in South Korea to simulate diversion channel and spatially-explicit VFS.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sediment can be reduced by 31%, 65%, 68%, with diversion channel, the VFS, and the VFS with diversion channel, respectively.

  • PDF

유벽에 갇힌 기름층의 조류중 손실에 관한 연구 (Containment Failures of Oil Restricted by Vertical Plates in Current)

  • 송무석;현범수;서정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0-51
    • /
    • 1998
  • 유벽에 의하여 가두어진 오일의 조류중 거동을 회류수조에서 2차원적인 실험설비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유벽을 적정 깊이의 수직판으로 대치하고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오일과 물과의 경계면 변형을 2 종류의 오일 (콩기름과 경유)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적용된 조건으로 조류의 속도는 10 cm/s - 35 cm/s, 유벽의 깊이는 4 cm 와 8 cm, 그리고 유량은 2 liter - 8 liter 의 변화를 주었다. 다양한 경계면의 거동과 조건에 따른 누유의 손실 방식을 차원해석을 통하여 정리하고 유적누유와 연속누유의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