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ose build up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8초

다양한 두께의 금속판을 얹은 TLD를 이용하여 구한, 고체 팬텀 내에서의 선량분포 (Dose Distribution in Solid Phantom by TLD with a Metal Plate of Various Thicknesses)

  • Kim, Sookil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2호
    • /
    • pp.83-88
    • /
    • 1999
  • 목적 : 금속박막과 고체 팬텀이 선량 분포와 선량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TLD 실험을 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어진 고체 팬텀 환경 내에서 TLD 기판 위에 놓인 금속박막의 build-up 효과와 깊이선량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측정은 TLD 기판과 같은 면적 (3.2 $\times$ 3.2 $\textrm{mm}^2$)의 금속박막을 LiF TLD-100 위에 얹어서 행하였다. 여러 종류 (주석, 구리, 금) 의 다양한 두께 (0.1, 0.15, 0.2, 0.3 mm)를 가진 금속박막 중에 한 개를 TLD 기판 위에는 얹어서 각 각의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금속박막을 얹은 TLD 기판을 사용하여 고체 팬텀에서의 표면홉수선량과 최대 build-up 영역에서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금속박막을 이용한 TLD 기판의 경우 표면흡수선량이 증가하였고, 물에 대한 금속의 등가 두께에 따른 표면흡수선량 곡선에는 build-up 이 뚜렷이 관측되었다. 최대 build-up 영역에서 관측한 흡수선량 측정값은 금속박막을 없지 않은 TLD의 경우보다 약 8% 에서 13% 정도의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 : TLD 선량 측정 시 금속 박막 법은 깊이에 따른 흡수선량 뿐 만 아니라 피부 표면으로부터 약 4.2mm 깊이까지의 홉수선량의 build-up 에 관련 정보를 의료진에 제공할 수 있으며, 금속박막을 얹은 TLD에 관한 실험 결과는 피부 특정 영역에서의 bolus 의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됨.

  • PDF

On the use of flyash-lime-gypsum (FaLG) bricks in the storage facilities for low level nuclear waste

  • Sidhu, Baltej Singh;Dhaliwal, A.S.;Kahlon, K.S.;Singh, Suhkpa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674-680
    • /
    • 2022
  • In the present study, radiation shielding and protection ability of prepared Flyash-lime-Gypsum (FaLG) bricks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energy exposure build up factors and dose parameters. The energy exposure build up factors of Flyash-lime-Gypsum (FaLG) bricks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energy range of 0.015 MeV-15 MeV and for penetration depth upto 40 mfp directly using a new and simplified Piecewise Linear Spline Interpolation Method (PLSIM). In this new method, the calculations of G.P fitting parameters are not required. The verification and accuracy of this new method has been check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xposure build up factor for NBS concrete calculated using present metho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G.P fitting method. Further, the relative dose distribution and reduced exposure dose rate for various radioactive isotopes without any shielding material and with Flyash-lime-Gypsum (FaLG) bricks have been calculated in the energy range of 59.59-1332 keV.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resul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pared Flyash-lime-Gypsum (FaLG) bricks possess satisfactory radiation shielding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environmentally safe storage facilities for low level nuclear waste.

두경부암 치료를 위한 6 MV X-선 산란판의 제작과 산란분포 측정 (Skin Dose Distribution with Spoiler of 6 MV X-ray for Head and Neck Tumor)

  • 이경자;추성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39-345
    • /
    • 1996
  • 목적 : 6 MV x-선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두경부종양환자를 치료시에 피부표면의 종양에 균일한 선량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직등가물질로 산란판을 제작하여 산란판의 두께와 위치에 따라 조직의 표면선량과 최대선량지 점을 측정하였다. 방법 : 조직등가물질인 폴리스틸렌으로 산란판을 제작하여 가속기의 콜리메터와 피부사이에 부착하여 조사면, 산란판의 두께 및 피부와의 간격에 따라 피부표면 선량과 최대선량지점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는 최대선량 대 표면선량비(BUR-1)로 표시하였으며 불균등 표면보상에 사용하는 조직등가 볼러스에 의한 선량분포변화를 측정하여 산란판과 비교하였다. 결과 : 6 MV x-선 선형가속기와 피부사이에 산란판을 설치하여 피부선량이 증가되었으며 산란판의 위치에 따라 피부선량이 변화되었고 최대선량지점은 피부표면쪽으로 이동하였다. 최대 선량지점은 피부하 1.5 cm 깊이에서 최대선량이 투여되고 피부쪽으로 선량이 급속히 감소되어 1cm 두께의 산란판을 사용한 경우 피부간의 거리가 0, 5, 10, 15, 20 cm로 증가하였을때 최대선량지점은 피부표면으로 부터 5, 10.2, 12.3, 13.9, 14.8 mm로 증가되었다. 결론 : 6 MV x-선을 이용하여 두경부종양을 치료할 경우 산란판을 이용하여 이차산란전자를 피부표면 앞에서 발생시킴으로써 피부의 선량이 증가되어 최대선량지점은 피부표면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종양부위에 균일한 선량을 부여시킬 수 있었다.

  • PDF

고(高) 에너지 전자선(電子線) 치료시(治療時) 체내(體內) 공동(空洞)으로 인(因)한 선량분포(線量分布)의 변동(變動) (Perturbation of Dose Distributions for Air Cavities in Tissue by High Energy Electron)

  • 추성실;이도행;최병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22-30
    • /
    • 1976
  • The perturbation of dose distribution adjacent to cavities in high energy electron has shown that the percentage of dose increase varies markedly as a function of the build-up layer,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cavities, and the electron energy. The dose distribution showed that cavities similar in size to those encountered in the head and neck measured by industrial film dosimetry and corrected by ionization chambers. The most increased doses by measuring are resulted in a localized dose of up to 130% of that measured at the depth of maximum dose within a homogeneous tissue equivalent phantom. The measured values and correction factors of dose perturbation due to air cavities showed in diagrams and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8{\sim}12MeV$ electron beams, the most marked dose is observed when the build-up layer thickness is 0.5cm and cavity volume is $2{\times}2{\times}2cm^3$. 2. The highest dose point is located under cavity when the energy is increased and cavity length is longer. 3. The cavity length at which the maximum percentage dose occurs decreases with increasing energy. 4. The highest percentage cavity doses are obtained when the energy is high, the build-up layer is thin, the thickness of the cavity is large, and the length of the cavity is approximately 1 to 3cm. 5. The doses of upper portion of cavity are less than the standard dose distribution as 5 to 10%. 6. The maximum range of electron beam are extended as much as thickness of cavity. 7. A cavity having a length of 5cm closely approximates a cavity of infinite length.

  • PDF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심부선량 백분율과 피부 선량률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and Percentage Depth Does in Build-up Region Using a Fiber-optic Dosimeter)

  • 조동현;장경원;유욱재;서정기;허지연;이봉수;조영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 에너지 광자선을 조사 할 때, 선량보강 영영에서의 피부 선량률을 측정을 위해 유기 섬광체와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한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제작하였다. 광섬유 방사선량계의 센서부에서 발생된 섬광빛은 30 m 길이의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광증배관과 전류계로 측정된다. 광섬유 방사선량계로 측정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피부 선량률은 이온 전리함 및 GAFCHROMIC EBT 필름의 측정 결과와 비교 및 분석 하였다.

쐐기필터 사용에 따른 선량증가 영역에서 선량평가 (Dose Evaluation at The Build Up Region Using by Wedge Filter)

  • 김연래;문성공;서태석;정진범;김진영;이정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4호
    • /
    • pp.341-348
    • /
    • 2014
  • 쐐기필터는 고선량 부분의 선량분포를 균등하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금속쐐기필터와 기능강화 동적쐐기필터가 광자선과 상호 작용으로 표면과 선량강화영역 조사면내, 외에 선량변화를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적 조직등가물질로 공간 선량분포가 우수하고, 흡수선량에 따라 현상 없이 실시간으로 광학농도가 변하는 가프크로믹 EBT3 필름을 사용하여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형가속기 광자선 에너지는 6 MV, SSD 100 cm, 조사면 $10{\times}10cm^2$으로 고정하고 최대선량점에 400 cGy로 조사하였다. 선량분포는 열린 조사면과 $15^{\circ}$, $30^{\circ}$, 그리고 $45^{\circ}$ 금속쐐기필터와 기능강화 동적쐐기필터를 사용 하였을 때 비교 평가 하였다. $15^{\circ}$ 금속쐐기필터를 사용하면 조사면내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 선량은 기능강화 동적쐐기필터보다 증가하였다. $30^{\circ}$ 금속쐐기필터를 사용하면 조사면내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 선량은 기능강화 동적쐐기필터 보다 감소하였다. $45^{\circ}$ 금속쐐기필터를 사용하면 조사면내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 선량은 많은 차이로 감소하였다. 조사면 주변 반음영 영역에서는 두꺼운 방향은 증가하고 얇은 방향은 감소하였다. 선량분포를 변화하고자 하는 치료 부위에 금속쐐기필터를 적절히 사용하고 유방암 치료와 같이 표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으면 표면 및 선량증가영역 선량이 감소하리라 사료된다.

저에너지X선 영역에서 유리선량계의 preheat과 Non-preheat과의 시간에 따른 build up 특성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uild up characteristic of glass dosimeter of preheat and Non-preheat in low energy according to delay time)

  • 손진현;민정환;김기원;손순륭;임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12-3418
    • /
    • 2013
  • 본 논문은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방사선의 누적선량측정 시 예비가열(preheat)과정을 수행한 선량값과 예비가열을 수행하지 않은(non-preheat)선량값을 30일간 시간에 따른 선량변화와 빌드업 특성을 비교 평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저 선량의 0.1 mGy, 1 mGy, 5 mGy의 선량을 얻기 위해 진단용 발생장치 AccuRay-650R을 사용하였다. 관전압, 관전류 조건으로 각각의 10개 총 30개의 유리선량계 GD SC-1에 조사하여 장시간에 걸쳐 빌드업 특성을 비교하였다. 예비가열을 거치지 않은 저선량의 유리선량에서 초기 판독선량값은 조사된 선량값에 미치지 못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조사된 선량값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후 실험 종료 후 예비가열을 실시한 값과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예비가열을 거친 저선량의 유리선량에서 초기 판독선량은 조사된 선량값에 근접하였고 일정한 안정상태를 보인 후 15일이 경과한 이후 부터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앞서 보고된 유리선량계의 특성들은 고에너지영역의 고선량에서 유리선량계의 특성들에 관한 내용으로 본 논문에서는 저에너지를 사용해서 저 선량의 누적 선량을 장시간 측정하고자 하면 예비가열을 실시하지 않고 판독을 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 사료된다.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광자선 깊이선량률 측정을 위한 검출기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Detectors for Measurements of Photon Depth Doses in Build-Up Region)

  • 강세권;박석원;오도훈;박희철;김수산;배훈식;조병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2호
    • /
    • pp.77-81
    • /
    • 2005
  • 표면 선량을 포함한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 대한 깊이선량률(percentage depth dose)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측정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6 MV 광자선에 대해 Atiix와 Markus 평행평판형 이온함, 원통형이온함, 그리고 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었다. Attix 이온함에 의한 측정을 기준으로 할 때, Markus 이온함의 측정은 민조사면(open field)에서 $2\%$ 내로 일치하였으나,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의 경우에는 최대 $3.9\%$의 차이를 보였다. 원통형 이온함과 다이오드 선량계의 경우에는 이들 검출기가 물 팬텀에 완전히 잠긴 이후부터는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에 대해서도 각각 $1.5\%$ 혹은 $1.0\%$ 내의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민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을 포함한 깊이선량률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평행평판형 이온함이 추천되나, 표면에서의 정확한 선량에 특별한 관심을 두는 경우가 아니면, 원통형 이온함이나 다이오드 선량계를 이용하여 선량보강영역의 깊이선량률을 측정하는 것은 양호한 결과를 준다고 할 수 있다.

  • PDF

반도체 검출기에 의한 전자선 선량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se Distribution of Electron Beams by Semiconductor Detector)

  • 강위생;하성환;박찬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9-25
    • /
    • 1984
  • There is not yet an universal method of electron dosimetry. The Authors measured dose distributions of the electron beams from Clinac-18 by means of silicon detector connected to X-Y recorder, and compared them in water phantom with dose distributions measured by film and ion chamber, both inserted in polystyrene phanto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Dose in build-up region increased with the field size for all energy, and depth dose profiles of $6{\sim}12MeV$ beam under the depth of maximum dose were independent of field size, but those of 15 and 18 MeV beam were dependent on the field size. 2. The widths of penumbra by semiconductor detector were narrower than those by film for same energy beam. 3. Depth dose profiles by three different dosimeter did not coincide each other. In the build-up region, dose by semiconductor detector was lower than that by any other dosimeter.

  • PDF

10MV X선(線)을 이용(利用)한 경부(頸部) 방사선(放射線) 치료시(治療時) 선량분포(線量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se of 10 MV X-Ray with Lead Absorber for Treatment of Head and Neck Tumors)

  • 김형식;강위생;하성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권1호
    • /
    • pp.25-28
    • /
    • 1983
  • Anterior and posterior parallel opposed field technique covering entire neck is desirable for elimination of junctional problems in treating upper neck with bilateral parallel opposed fields and lower neck with anterior one field. For good dose distribution in neck, dose in build-up region should be high for anterior field and should be low for posterior field. And so, with 10 MV X-ray, lead absorber was used for anterior field only. The adequate thickness of lead absorber, absorber-skin separation, width of central cord block for posterior field and anterior & posterior field weight were studied using film dosime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thickness of the lead absorber increased the dose in build-up region increased. 2. As the absorber-skin separation decreased the dose in build-up region increased. 3. The adequate thickness of lead absorber was around 5.6mm. 4. The adequate absorber-skin separation was around 5cm. 5. The adequate posterior cord block width was 3cm. 6. 4:1 weighting for anterior and posterior field was adequate. And so with this technique, adequate dose distribution could be made as well as elimination junction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