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 Attenuatio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3초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관전류자동조절기법과 고정관전류기법에서 저선량 및 고해상 흉부CT의 노이즈 및 선량 비교 (Comparison of Noise and Doses of Low Dose and High Resolution Chest CT for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and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using Glass Dosimetry)

  • 박태석;한준희;조승연;이은임;조규원;권대철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1-137
    • /
    • 2017
  • To compare the radiation dose and image noise of low dose computed tomography (CT) and high resolution CT using the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and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CARE Dose 4D). Chest CT and human anthropomorphic phantom were used the RPL (radiophotoluminescence) dosimeters. For image evaluation, standard deviation of mean C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CT attenua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using ROI analysis function. The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CTDIvol and DLP. CARE Dose 4D was reduced by 74.7% and HRCT by 64.4% compared to the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in low dose CT of chest phantom. In CTDIvol and DLP, the dose of CARE Dose 4D was reduced by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For effective dose, CARE Dose 4D was reduced by 47% and HRCT by 46.9% compared to the fixed tube current method, and the dose of CARE Dose 4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Noise in the image was higher than that in the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Noise difference in the image of CARE Dose 4D in low dose CT was significant (p<.05). The low radiation dose and the noise difference of the CARE Dose 4D were compared with the fixed tube current technique in low dose CT and HRCT using chest phantom. The radiation doses using CARE Dose 4D wer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ose standards. CARE Dose 4D should be applied to low dose CT and HRCT for clinical examination.

The Lowest Dose for CT Attenuation Correction in PET/CT

  • Kang, Byung-Sam;Son, Jin-Hyun;Park, Hoon-Hee;Dong, Kyung-Rae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5
    • /
    • 2011
  •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s an examination combining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information in one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lowest CT dose for attenuation correction in the PET/CT maintaining good image quality when considering CT scan dose to the patients. We injected $^{18}F$-FDG and water into the cylinder shaped phantom, and obtained emission images for 3 mins and transmission images(140 kVp, 8 sec, 10~200 mA for transmission images), and reconstructed the images to PET/CT images with Iterative method. Data(Maximum, Minimum, Average,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y drawing a circular ROI(Region Of Interest) on each sphere in each image set with Image J program. And then described SD according to the CT and PEC/CT images as graphes. Through the graphes, we got the relationships of mA and quality of images. SDs according to CT graph were 16.25 at 10 mA, 7.26 at 50 mA, 5.5 at 100 mA, 4.29 at 150 mA, and 3.83 at 200 mA, i.e. the higer mA, the better image quality was presented. SDs according to PET/CT graph were 1823.2 at 10 mA, 1825.1 at 50 mA, 1828.4 at 100 mA, 1813.8 at 150 mA, and 1811.3 at 200 mA. Calculated SDs at PET/CT images were maintained. This means images quality is maintained having nothing to do with mA of high and low.

  • PDF

진단 영역의 X-선 에너지에서 각종 건축재료의 감약율 측정실험 (A Experimental Study on Attenuation Rate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Diagnostic X-ray Energy)

  • 김정민;정희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1권2호
    • /
    • pp.11-18
    • /
    • 1998
  • Single phase, narrow beam X-ray attenuation data were obtained using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concrete, white block, red block, 3 hole block, gypsum board, artificial marble, cement, plate glass, wood, and lead. Tube voltages of 60, 80, 100, 120 kVp were employed and the resulting curves were compared to transmission data found in this report. The shielding methodology and the derivation of equations used for determination of barrier requirements were presented in NCRP 49. We could calculate the X-ray exposed dose after attenuation and thickness of protection barrier in the clinic facilities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benefit/cost ratio to diagnostic shielding,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must be installed carefully and attnuation rate considered thoroughly.

  • PDF

치료보조기구의 제작 및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of the newly manufactured immobilization device)

  • 서석진;김찬용;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5
    • /
    • 2005
  • 목적 : 최근의 방사선치료는 정상조직의 장애는 최대한 줄이고 종양조직 선량을 높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하여 3차원적으로 발전되어왔으며, 이에 따른 환자 체위고정을 위한 고정기구와 보조기구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MR head holder, 개방형 head holder, Plan CT couch plate를 자체 제작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으며, 임상에 적용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MR head holder를 제작하여 진단 MR영상과 치료계획용 MR영상을 CT영상과 fusion하여 두 영상의 일치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head holder를 제작하여 피부선량과 선량감약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6 mm 아크릴판에 스티로폼을 부착하는 CT couch plate를 제작하여 hard plate와 artifact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Head holder를 사용하지 않은 fusion영상보다 2 mm이내의 오차로 정확한 fusion을 할 수 있었고, 개방형 head holder를 사용함에 따라 피부선량을 최대 2배 이상 줄일 수 있었고, $20\%$이상 선량이 감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Plan CT couch plate를 사용했을 때는 2단 연결, 부착 식으로 제작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artifact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결론 : MR 영상에서도 기준 좌표점을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MR / CT fusion을 시행할 수 있었고, 향후 PET, 초음파 영상의 fusion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른 고정기구의 개발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개방형 head holder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선량과 선량 감약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치료보조기구를 자체 제작하여 고가의 외국상품을 대체할 수 있어 비용은 절감할 수 있었지만 견고성에서는 떨어지므로 가볍고 선량 감약이 적으며 강도가 강한 특수 재질의 치료보조기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근접조사용 Ir-192 마이크로선원의 디자인과 선량 특성 (The Dose Characteristics of Designed Ir-192 Micro-source for Brachytherapy)

  • 최태진;김진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2호
    • /
    • pp.81-89
    • /
    • 2003
  • 근접조사용 선원으로 직경이 0.5 mm에 길이 3.5 mm인 Ir-192선원을 고안하고, 선량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선원을 0.1 mm 두께로 균등분할하고 총 875개의 미소선원으로부터 조직에 도달되는 선량을 계산하고 선량분포를 조사하였다. 선원을 감싸는 캡슐용기의 두께는 0.3 mm이며, 선량기준점인 Ir선원의 Air-kerma strength(S$_{k}$ ) 는 mCi당 4.108U를 얻었으며 선원 측방의 1 cm에서 1.154 Uh$^{-1}$ (1.3167${\times}$$10^{-3}$cGy/mCi-sec)의 조직선량률을 얻었다. Air-kerma strength로부터 조직내 선량률상수(Λ)는 Ir-192에너지 스펙트럼과 실험치인 조직내 산란보정계수를 적용하여 1.154 cGy h$^{-1}$U$^{-1}$ 얻었다. 선량분포의 특성은 선원 축방향으로 56%의 상대선량률을 보였고, 케이블측의 선량감쇠는 50%를 보였다. 마이크로선원의 중심에서 반경 1 cm 주위의 선량분포와 5 cm의 선량분포를 비교한 결과 반경이 큰 경우의 측방선량에 비해 축 방향의 선량이 약 2% 감쇠함을 보았다. 선원자체의 필터효과는 점선원에 비해 88.3%의 선량률을 얻어 약 12%의 감쇠를 보였으며, 캘슐벽의 필터효과는 약 3% 정도로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기준점에서 선량필터효과는 약 15.6% 감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r-192 선원과 같이 에너지가 낮은 선원을 사용하는 경우 선량분포특성에 따라 아프리케이터의 직경을 크게 하여 선원 축 방향의 선량저하를 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easibility of clay-shielding material for low-energy photons (Gamma/X)

  • Tajudin, S.M.;Sabri, A.H.A.;Abdul Aziz, M.Z.;Olukotun, S.F.;Ojo, B.M.;Fasasi, M.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1633-1637
    • /
    • 2019
  • While considering the photon attenuation coefficient (${\mu}$) and its related parameters for photons shielding, it is necessary to account for its transmitted and reflected photons energy spectra and dose contribution.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to study the efficiency of clay ($1.99g\;cm^{-3}$) as a shielding material below 150 keV photon. Am-241 gamma source and an X-ray of 150 kVp were calculated. The calculated value of ${\mu}$ for Am-241 is higher within 5.61% compared to theoretical value for a single-energy photon. The calculated half-value layer (HVL) is 0.9335 cm, which is lower than that of ordinary concrete for X-ray of 150 kVp. A thickness of 2 cm clay was adequate to attenuate 90% and 85% of the incident photons from Am-241 and X-ray of 150 kVp, respectively. The same thickness of 2 cm could shield the gamma source dose rate of Am-241 (1 MBq) down to $0.0528{\mu}Sv/hr$. For X-ray of 150 kVp, photons below 60 keV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2 cm clay and a dose rate reduction by ~80%. The contribution of reflected photons and dose from the clay is negligible for both sources.

6 MV 광자선의 투과성필터와 Wedge 선속을 이용한 부비강의 균등선량계획 (Homogeneous Dose Planning to Paranasal Sinus with the Partial Attenuation filters and Wedged Beams in 6 MV Photon Beam)

  • 최태진;이호준;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83-191
    • /
    • 1993
  • The homogeneous dose plan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radiation therapy. But, it is not easy to obtain a homogeneous dose to paranasal sinus region including the ethmoidal sinus with conventional irradiation techniques. I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authors tried to get a homogeneous dose at PNS region, but the nasal cartirage does not exceed the tolerance dose, with anterior-posterior beam and two both lateral wedged beams. Used three fields were shielded with full thickness of blocks to preserve the eye-balls and with blocks of one half value layer to create a homogeneous dose at the whole treatment volume. The dose computations are based on the three dimensonal structure with modified scatter contributions of partial shielders and attenuated beams in 6 MV photon beams. The dose distributions of mid-plane is examined with Kodak verification films and teflon-embedded TLD rod (1 mm diameter and 6 mm length) to confirm the computed dose. In our study, the whole PNS regions have shown within $85{\%}$ of the resultant isodose curves with relatively homogeneous dose distribution. The results of dose computation and measurements are agree well within $5{\%}$ uncertainties.

  • PDF

Ralstron 선원대체형 Ir-192 원추선원의 선량 전산화 모델링 (Dose Computation Modeling for Frustum Typed Ir-192 of Ralstron Source)

  • 최태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2권1호
    • /
    • pp.19-29
    • /
    • 2001
  • 방사선의 에너지가 비교적 낮은 선원은 알짜선원의 방사능크기와 캡슐을 통과한 선량으로 나타내는 겉보기방사능크기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국내 도입된 Ralstron 강내조사장치에 사용할 고선량률 Ir-192 선원을 고안제작하여 선원-캡슐간 필터효과를 조사하였다. 선원은 직경 1.5mm 와 높이 1.5mm 이고, 선원캡슐의 외경과 길이는 각각 3.0 mm 와 12.0mm로 원형과 동일한 외형을 하고 있다. 선원의 필터에 의한 선량감쇠는 66.3%로 나타났으며, 단위 방사능 강도에 의한 기준 출력선량은 선원 측방 1cm 거리에 도달되는 조직선량을 기준선량으로 규격화하였으며, 기준선량은 0.0013511cGy/mCi -sec (cGy/37MBq-sec) 로 나타났다. 선원하부는 스텐필터 두께의 영향으로 동일 거리의 측방 위치의 조직선량에 비해 약 52%의 선량감쇠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선원하부 에서 측방 영역으로 갈수록 스텐 필터에 의한 선량감쇠효과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원중심에서 상하 45도 대각선 방향의 선량을 비교한 바 상부 대각선 방향의 선량이 하부의 것에 비해 약 4%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선원 상부의 캡슐용기의 모양을 경사지게 한 결과 필터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선원과 케이블이 있는 선원축의 연결케이블과 근접한 20도이내의 영역에서는 필터효과의 변화가 커서 40%의 선량감쇠를 보였으나, 축에서 떨어질수록 균등한 동심원의 선량분포를 얻었다.

  • PDF

The Attenuation Mechanism and Live Vaccine Potential of a Low-Virulence Edwardsiella ictaluri Strain Obtained by Rifampicin Passaging Culture

  • Shuyi Wang;Jingwen Hao;Jicheng Yang;Qianqian Zhang;Aihua L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67-179
    • /
    • 2023
  • The rifampicin-resistant strain E9-302 of Edwardsiella ictaluri strain 669 (WT) was generated by continuous passage on BHI agar plates containing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rifampicin. E9-302 was attenuated significantly by 119 times to zebrafish Danio rerio compared to WT in terms of the 50% lethal dose (LD50). Zebrafish vaccinated with E9-302 via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at a dose of 1 × 103 CFU/fish had relative percentage survival (RPS) rates of 85.7% when challenged with wild-type E. ictaluri via IP 14 days post-vaccination (dpv). After 14 days of primary vaccination with E9-302 via immersion (IM) at a dose of 4 × 107 CFU/ml, a booster IM vaccination with E9-302 at a dose of 2 × 107 CFU/ml exhibited 65.2% RPS against challenge with wild-type E. ictaluri via IP 7 days lat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ifampicin-resistant attenuated strain E9-302 had potential as a live vaccine against E. ictaluri infection. A previously unreported amino acid site change at position 142 of the RNA polymerase (RNAP) β subunit encoded by the gene rpoB associated with rifampicin resistance was identified. Analysis of the whole-genome sequencing results revealed multiple missense mutations in the virulence-related genes esrB and sspH2 in E9-302 compared with WT, and a 189 bp mismatch in one gene, whose coding product was highly homologous to glycosyltransferase family 39 protein. This study preliminarily explored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virulence attenuation of rifampicin-resistant strain E9-302 and provided a new target for the subsequent study of the pathogenic mechanism of E. ictaluri.

저선량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의 흡기 영상과 폐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호기 말 폐 감쇄도 증가 정도와 연령 및 흡연과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and Age and Smoking in the Subjects with Normal Inspiratory Low Dose CT and Pulmonary Function Test)

  • 권성연;황용일;윤호일;이재호;이춘택;이경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457-463
    • /
    • 2008
  • 연구배경: 호기말에 흉부 촬영을 시행하면 폐 내의 공기의 부피가 감소되어 폐 감쇄도가 증가한다. 이런 폐 감쇄도의 변화가 국소적으로 저하되는 공기 가둠 현상에 대해서는 일부 연구들이 있었으나 전체 폐의 전반적인 감쇄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특히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호흡기 질환이 없으며 폐기능 및 흡기 전산화단층촬영이 정상 소견이고 호기 영상에서 국소적인 공기 가둠 현상이 없는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24개의 지점을 정하고, 흡기 및 호기 시 각 지점에서 폐 음영도를 측정한 후 호기말 폐 감쇄도 증가와 흡연량, 연령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연구 대상 100명의 연령은 중앙값 49.0세(범위 25~71세)였고, 평균 흡연량은 $22.5{\pm}17.0$갑년이었다. 연령과 폐 감쇄도의 증가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흡연의 효과를 보정하였을 때에도 유지되었고, 연령을 기준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폐 감쇄도의 증가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흡연량과 호기말 폐 감쇄도의 증가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에는 유의성이 감소하였다. 결 론: 흡기-호기 시의 폐의 전반적인 감쇄도 변화 정도는 연령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노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