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Index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26초

Community Structure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s in the Area of Agar-Producing Alga Ahnfeltia Tobuchiensis Field (Starka Strait, Peter the Great Bay, East Sea)

  • Pavlyuk, Olga;Trebukhova, Yuli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165-170
    • /
    • 2007
  • The structure of the nematodes communities has been studied in the sediments on two sites located outside and under the layer of Ahnfeltia tobuchiensis (Kanno and Matsubara 1932; Makijenko 1970). Bottom sediments at the stations were represented by sands with a different degree of silting. Specific structure of nematodes at the st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the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water depth, dissolved oxygen saturation, salinity, temperature of the bottom layer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side of the sediment). Nematodes dominated (75.7 %) in meiobenthos community under the layer of A. tobuchiensis where concentration of silt particles was 12 %. Representatives of the family Comesomatidae were dominant. Low index of species diversity and high Simpson domination index were detected in this community. Under a layer of A. tobuchiensis with the thickness of 30 cm concentration of the silt particles was 5.39 %; nematodes density was low and made 32.1 % of the general density of meiobenthos. Species of the families Xyalidae and Monoposthiidae were dominant. Outside of A. tobuchiensis, field percentage of silt particles was minimal (3.1 %) and representatives of families Cyatholaimidae and Axonolaimidae dominated. The specific structure of nematodes in this type of the ground is characterized by high index of species diversity and low level of domination.

광양만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과 양적변동 (Quantitative fluctu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Gwangyang Bay, Korea)

  • 추보라;이성훈;유태식;황태용;한경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233-242
    • /
    • 2019
  • Species composition and yearly variation of fish eggs and larval fishes were investigated from 2014 to 2016.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14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ere Leiognathus nuchalis, Engraulis japonicu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7.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collected larval fishes were identified into 37 taxa, 22 families, and seven orders. The dominant species of larval fish were Leiognathus nuchalis, and Gobiidae fishe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85.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diversity index of the larval fishes was the highest in 2014 (H' = 1.60) and the lowest in 2015 (H' = 1.15).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2016 (J = 0.51) and the lowest in 2015 (J = 0.39).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2015 (D = 83.5%) and the lowest in 2016 (D = 70.9%). In addition,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were Engraulis japonicus, Konosirus punctatus, Hippocampus coronatus, Sebastes schlegelii, Acanthopagrus schlegeli, and Cynoglossus joyneri.

강원도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of Sacheon-stream in Gangwon-do)

  • 김용진;이옥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281-297
    • /
    • 2011
  • The specie composition, stranding crops and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studied in three streams,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from May 2008 to February 2009. The water qualities of the three streams which run into estuary were also examined using phytoplankton indicators. As the result, the phytoplankton appeared 94 taxa in Namdae-stream, 79 taxa in Yeongok-stream and 73 taxa in Sacheon-stream, diatoms appeared the most in phytoplankton. Genus Navicula and Cymbella in diatoms appeared to be over 10 taxa in each stream, N. cryptocephala, N. cryptotenella and N. gregaria, the pollution tolerance taxa, appeared more frequent in the downstream. Due to the separation of each substrate by the rapid water velocity in the upstream, Achnanthes minutissima, a known periphyton, was dominant in upstream site at Namdae and Yeongok-stream. Some construction areas and sites of downstream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were shown to be polluted because pollution tolerance taxa, such as Cyclotella meneghiniana, Nitzschia palea and Oscillatoria limnetica, were dominant. The total of 20 taxa phytoplankton indicators were found, composed of 16 taxa of Water pollution algae including Oscillatoria limosa, 2 taxa of Clean water algae Meridion circulare and Staurastrum puntulatum, 1 taxa of Toxic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and 1 taxa of Taste and odor algae Fragilaria construens. Water pollution indicators were appeared frequently in polluted sites of biological water quality(DAIpo, TDI) and of sites containing high trophic state index(TSI). Therefore, using the phytoplankton indicators can assess water quality through rel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dex.

서해연안 해역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West coastal waters of Korea)

  • 윤병일;이승종;손명호;한송헌;이형빈;김맹진;한경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243-251
    • /
    • 2019
  • The ichthyoplanktons were sampled by Bongo net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eggs and larvae in the West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February, May, August and October of 2017). Collected fish eggs were divided into Engraulis japonicus and unidentified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Engraulis japonicus accounted for 79.52% of the total fish egg, which was followed by unidentified species (20.48%). The total of 36 taxa in fish larvae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Fish larvae were dominant by Gobiidae species. 48.30% of the total catch in abundance, which was followed by Engraulis japonicus (31.86%). These two taxa composed 80.16% of the total collected fish larvae. The seasonal diversity index of species from the collected fish larvae in the West coastal waters in 2017 was 0.625-1.883 and the evenness index was 0.380-0.865. In addition, dominance index was 0.618-0.920 and richness was 0.573-3.189.

Estimation of Site Index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 Lee, Daesung;Seo, Yeongwan;Park, Gildong;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02-206
    • /
    • 2015
  • Site index curves were developed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in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site index, Schumacher and Chapman-Richards model were appli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4. Base age was set to 40 years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site index of this study.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site index models were provided by species, and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o check the suitability. Overall, site index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fitted in the current data well. Thus, the site indexes are considered to be properly used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Incheon and Busan Harbors, Korea)

  • 서진영;박소현;임현식;장만;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6-19
    • /
    • 2009
  • 여름철 인천항과 부산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천항의 9개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출현종수는 총 88종이었고, 서식밀도는 3,212개체 m$^{-2}$, 생물량은 239 g m$^{-2}$였다. 인천항내에서는 다모류의 Tharyx sp., C. setosa 등이 우점하였고, 외해에 위치한 정점에서는 이매패류인 M. senhousia, 다모류인 S. scutat 등이 우점하였다. 인천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다양성지수(H')는 0.9$\sim$2.4의 범위를 보였고, 종균등도지수는 0.3$\sim$0.9, 종풍부도지수는 1.8$\sim$3.9의 범위를 보였다. 저서오염지수는 16$\sim$74의 범위를 보였다. 집괴분석 및 MDS배열법을 수행한 결과 내항의 정점들과 항 외부에 위치한 정점들로 종조성이 달랐다. 부산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총 출헌종수는 89종, 서식밀도는 1,845개체 m$^{-2}$, 생물량은133.6 g m$^{-2}$였다. 부산 항내 5개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의 Tharyx sp., M. japonica, C. cirratus 등이었고, 외해 정점들에서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의 M. japonica였다. 부산항의 종다양성지수는 0.7$\sim$2.2의 범위를 보였고, 종균등도지수는 0.3$\sim$1.0의 범위를, 종풍부도지수는 1.1$\sim$4.1의 범위를 보였다. 저서오염지수는 31$\sim$90의 범위를 보였다. 부산항의 대형저서동물군집 역시 집괴분석 및 MDS배별법 수행결과 항내와 항외 해역에서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강원도지방(江原道地方) 소나무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최대임목본수(最大林木本數) 및 고사(枯死)모델 (Maximum Stem Number and Mortality Model for Even-Aged Pinus Densiflora Stand in Kangwon-Province, Korea)

  • 이우균;서정호;배상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34-64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ha당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가 그 임분이 유지시킬 수 있는 최대임목본수라는 Sterba의 이론을 강원도지방 소나무의 임시표본점 조사자료에 적용시켜 강원도지방 소나무 동령임분의 최대임목본수 및 고사모델을 유도하였다. ha당 임목본수와 우세목수고를 변수로 하여 평균흉고직경을 추정하는 평균흉고직경식의 통계적 신뢰성은 매우 높았으며, ha당 임목본수 및 우세목수고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의 변이를 잘 설명해 주었다. 또한, 이 평균흉고직경식으로부터 유도되는 ha당 흉고단면적식은 ha당 임목본수의 변화에 따른 ha당 흉고단면적의 변화를 우세목수고별로 잘 나타내 주었다. ha당 흉고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로 부터 우세목수고 및 흉고직경별로 유도되는 최대임목본수곡선은 임목본수 관측치의 상부를 지나면서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잘 나타내 주었다. 또한, 평균흉고직경에 대한 최대임목본수식으로부터 추정되는 최대임분밀도지수는 임분의 최대잠재밀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활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임목본수식 및 최대임분밀도지수식은 최대밀도에 도달한 임분자료를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밀도를 나타내는 임분으로부터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고사량추정, 최대잠재생산량추정 둥 임분밀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가야산 수계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과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 (A Community Characteristic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Factors in Stream of Gaya Mountain)

  • 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2-3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가야산 수계에 분포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밝히고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기간동안 확인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6강 13목 36과 100종이었으며 종수 점유율은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파리목, 비곤충류, 노린재목, 잠자리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민하루살이(Cincticostella levanidovae)로 우점도 17.72%였으며, 아우점종은 띠무늬우묵날도래(Hydatophylax nigrovittatus)로 우점도 6.15%였다. 생물지수 중 전체조사지역에 대한 다양도는 5.17, 풍부도는 12.44로 나타난 반면, 우점도는 0.24, 균등도는 0.78로 가야산 수계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특정종이 우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분류군과 이화학적 수질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하루살이목과 강도래목은 수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용존산소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청정수계의 지표군인 하루살이목과 강도래목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화학적 수질요인으로 수온과 용존산소량을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저소성 세립분 함량이 카올리나이트-모래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Plastic Fine Content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Kaolinite-Sand Mixture)

  • 판야봇 카오톤;이수형;최영태;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카올리나이트 혼합비에 따른 카올리나이트-모래 혼합토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본물성실험과 다짐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카올리나이트와 모래입자 간의 상호 구조를 더욱 자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현미경 사진을 이용한 관측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카올리나이트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의 증가에 따른 함수비의 증가 및 모래입자와의 강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건조밀도는 감소하고 초기간극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 사진 분석 결과, 세립분 함량의 증가에 따라 모래의 특성이 지배적인 비율, 중간 비율, 세립분의 특성이 지배적인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립분의 함량이 25-40% 정도인 경우에 입자간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사이클 선수의 하지근력균형이 무산소성 페달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cle Balance in Lower Limb on Anaerobic Pedaling Capacity among Elite Cyclists)

  • 박현주;김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89-3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의 좌 우측 불균형이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슬관절 등속성 근력 기준으로 비주측과 주측의 근력균형지수가 매우 균형적인 집단(High Symmetry Group, HSG), 적정수준의 집단(Moderate Symmetry Group, MSG), 불균형이 존재하는 집단(Asymmetry Group, AG)으로 분류하여 페달링 기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근력의 비주측과 주측의 근력 불균형은 페달링 기능의 집단 간 차이점이 없었다. 한편, 굴근력의 비주측과 주측 근력균형지수의 불균형은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관련 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점이 미세하게 존재하였지만, 페달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좌 우측 근기능이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이클 선수에게도 근력 불균형이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불균형이 페달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