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Violenc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초

Policing Domestic Violence: Learning from the British Experience

  • Button, Mark;Lee, Jula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1호
    • /
    • pp.12-17
    • /
    • 2014
  • This paper will explore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in the UK. It will begin by defining the problem and then set out estimates of the extent of the problem, while also examining the problems that are involved in measurement. It will then examine the policing strategi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tackle this problem, such as intelligence gathering, effective investigations, and risk management techniques. The paper will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ulti-agency involvement when dealing with domestic violence and the wide range of orders that have been created in order to help deal with this problem.

기혼남성의 성장기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부부기능 및 갈등해결방식과의 관계 -광주지역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Married M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Their Marital Fun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 -Focusing on Married Men in Gwangju Area-)

  • 김경신;김정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8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how married men'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fluences on their marital fun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412 married men who live in Gwangiu.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marital function was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and witness of father-to- mother abuse. 2. The conflict resolution style was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and the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3. The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had the strongest impact on married men's marital function and their conflict resolution style .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concludes that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a marital relationship.

  • PDF

미국 한인 가정폭력피해 한부모 빈곤여성들의 자활 경험 (The Self-Sufficiency Experience of Korean-American Single Mothers with the History of Domestic Violence in Poverty)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45-269
    • /
    • 2013
  • 미국의 복지개혁 이후 근로연계와 더불어 가정폭력분야 여성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설정된 것은 '자활(self-sufficiency)'이다. 본 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가정폭력피해로 한부모가 된 미국 한인 빈곤 여성들의 자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에게 '자활'은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정신적 자립 능력을 모두 갖추어 나가는 삶의 지속적 과제이자 과정'으로 확인되었다. 그들의 자활로의 도전들은 자활 과정 초기 가정폭력피해의 후유증으로 무너진 자활 잠재력의 복원이 필요한 시기와 장기적 차원에서 자활 과정을 유지해야 하는 자활 지탱력의 개발 시기를 포함한다. 이 도전들에 대처하기 위한 그들의 욕구는 '친정집 같은 도움과 지원', '선택과 집중의 복지지원', '성숙한 의존과 자활' 그리고 '생계유지가 아닌 꿈의 성취로서의 자활' 등으로 확인되었다. 가정폭력피해 한부모의 특수성과 이민자로서의 현실에 민감한 자활 정책 및 서비스 개선의 구체적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s of Consultation Program up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sychological·Social Factors)

  • 유해선;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11-2519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30명씩 선정하였고, SPSS 20.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동질성검사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 수준,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피해 여성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으며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만족도와 갈등대처방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등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 후유증에서 벗어나 심리사회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Adolescents' Depression: Based on Gender Comparison)

  • 이창식;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7-5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폭력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D시에서 중고등학교 청소년 10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평균차이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감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업성취도, 가족 소득 수준 및 학교급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우울감은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두 가정학대, 학교 폭력 요인의 설명력이 유의하였고 가정학대의 설명력이 학교 폭력 관련 요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우울감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가정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자 아내의 능동적 대처가 재폭력에 미치는 영향 : 아내의 문제해결과 도움요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ctive Coping of Spouses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 who Completed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and Recidivism: Study of Follow-up Evaluation for Domestic Violence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 김재엽;정윤경;송아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217-238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해자 프로그램 이수 후 가해자들의 재폭력에 피해 여성의 능동적 대처방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8년에서 2009년에 걸쳐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 프로그램 장기 효과 연구에서 수집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피해 여성을 3차에 걸쳐 추적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1, 2차 시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표본의 수적 한계와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폭력의 경우 1차와 2차 각각 발생률이 77.6%, 41.3%로 나타났으며 신체 폭력의 경우 시점 각각 43.1%, 18.4%의 발생률을 보였다. 모형 분석 결과 남편의 정서적 재폭력에 대해서는 여성의 문제해결의 능동적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신체 재폭력에 있어서는 문제해결이 아닌 도움요청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재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 연구 :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 (The Co-Oc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 Perspective from Child Protection Services)

  • 김기현;김용회;김경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221-249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내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 정보를 분석하여 아동보호서비스 관점에서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을 살펴보았다. 국외연구들은 학대발생가정에서 가정폭력과 중복발생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학대발생 예방이나 서비스 제공에 있어 이 중복발생이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고 지적하나 국내에 관련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더욱이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에서 중복발생을 논의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학대발생가정 내 가정 폭력 중복발생 실태와 중복발생가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기존 이론과 실증연구에 기반하여 설정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의 관계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의 21.4%에서 가정폭력과의 중복발생이 관찰되었고, 중복발생 가정은 아동학대만 발생한 가정과 여러 측면에서 다른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은 관련이 있었으나, 구체적인 관계의 양상은 학대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아동학대 발생의 이론적 함의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의 서비스 통합과 협력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논하였다.

데이트 폭력에 관한 최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on Dating Violence in Korea)

  • 이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53-161
    • /
    • 2018
  • 우리 사회에서 데이트 폭력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2009년 이후 국내 연구에 대한 개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국내 데이트 폭력 관련 최근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통해 2010년부터 현재 시점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선정된 70개의 논문을 내용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 연도, 연구 대상, 주제,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주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별로는 대학생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실증적 연구가 비실증적 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에서 연구 주제, 대상 및 방법론에서 범위를 넓히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족기능이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on the Exposur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ren)

  • 김경신;김정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1-6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1,044 children who live in Gwangju Chonnam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Wife abuse and child abu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cohesion, family flexibility, and family-system types. 2. In family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36.2%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7.8%. In family violence 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12.7%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15.4%. 3.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ife abuse and child abuse.

  • PDF

4대악 근절대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about the Realities and Countermeasures of Four Social Evils (Sexual Violence, School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Unsanitary Food))

  • 주성빈;이창한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295-323
    • /
    • 2013
  • 이 연구는 시행된 지 200여일이 지난 정부의 4대악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해 본 후,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새 정부의 정책적 화두 중 대표적인 키워드는 '안전'이다. 국민의 안전과 관련된 세부 항목 중에서도 '4대악'은 박근혜 정부가 근절시키고자 하는 중점 과제라는 점은 명백한 사실이다. 4대악은 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불량식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민의 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범죄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지금까지 4대악 정책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지만 이에 대해 비판적 시각에서 논의를 이끌어 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안전에 대한 우선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4대 사회악 근절 방안에 관해 관심을 갖고, 진단 및 평가를 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 연구는 4대악 정책에 대하여 단순히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 요지는 아니다. 4대악 정책에 대한 실태와 운영 활동을 정책의 기본 구성틀에 근거하여 계획부문과 집행부분에 맞춰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4대악 정책이 사회안전망 구축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