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g park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6초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개를 DOCP로 치료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Desoxycorticosterone Pivalate (DOCP) in Hypoadrenocorticism Dog)

  • 고예린;서경원;안진옥;채지상;박종우;방동하;채준석;윤화영;황철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4-248
    • /
    • 2011
  • 부신피질기능저히증은 부신에서 생산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의 결핍으로 발생한다. 개에서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을 관리하기 위해 fludrocortisone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desoxycorticosterone pivalate의 경우 fludrocortisone과 대등한 효과와 보호자와 환자에게 적은 부담을 주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개의 관리를 위해 사용되었다. 임상증상, 전해질불균형,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timulation test를 통하여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된 14마리의 개에서 DOCP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DOCP의 초기용량은 2.2 mg/kg 으로 사용되었으며 25일 간격으로 근육 또는 피하로 주사되었다. DOCP의 효능을 보기 위해 25일 간격으로 임상증상, 혈청 전해질 수치, 혈청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수치를 모니터링 하였다. Fludrocortisones은 개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부작용과 불충분한 반응으로 7마리의 개에서 DOCP로의 전환이 필요하였다. 7마리의 개는 처음부터 DOCP가 투약되어 총 14마리의 개가 DOCP로 관리 받았다. 12마리의 개에서 임상증상, 전해질 불균형이 완전히 해소되었으나 2마리의 개에서는 몸 떨림과 같은 약간의 임상증상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4마리의 개는 프레드니손의 정기적 투여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fludrocortisone과 비교하여 DOCP가 임상증상과 전해질불균형의 개선에 훨씬 효과적이었으며 이 결과는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개에서 DOCP가 더 좋은 치료법임을 제시해준다.

개에서 전침에 의한 구강 수술 시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n the Oral Cavity by Electroacupuncture in Dogs)

  • 최경하;이재연;박창식;정성목;김덕환;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68-573
    • /
    • 2009
  • 개에서 구강 수술 시에 있어서, xylazine 또는 전침 진통을 적용시의 진통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Glucose (GLU),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blood urea nitrogen (BUN) 혈액화학치의 변화와 Vital signs (호흡수, 맥박수, 심박수) 그리고 통증 반응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8마리의 건강한 2년령의 잡종개를 사용하였으며, 각 4마리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xylazine 또는 전침 군에 배정하였다. Xylazine 군의 개는 체중이 3.6${\pm}$1.0 kg 이었으며, xylazine 1.5 mg/k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전침 군의 개는 체중이 3.9${\pm}$1.0 kg 이었으며, 최초 5분 동안은 1 volt (10-15 hz)를 적용하였고, 그 이후에는 1-9 Volts (25-30 hz)를 유지시켜서 총 60 분의 전침을 적용하였으며, 사용된 경혈은 삼간 (LI-3), 합곡 (LI-4) 및 하관(ST-7) 이었다. 모든 개들은 약물 처치 또는 전침 실행에 있어서, 투여 전 및 투여 후10, 25, 40, 55 및 120분에 검사하였다. 전침 군의 평균 직장체온은, 투여 후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군의 평균 심박수는, 투여 후 10,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평균 호흡수는, 투여 후 55 및 120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군의 평균 GLU는, 투여 후 55 및 120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평균 통증지수 총계는, 투여 후 10,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진통이 xylazine 군에 비하여 더욱 양호 하였다. 침술 유도된 외과적 진통과 관련된 어떠한 부정적인 생리학적 영향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허약한 환자에서 구강의 소 수술에 있어서, 이들 경혈을 사용한 전침 진통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에서 Hyaluronic Acid와 Vitamin E의 병용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and Vitamin I Combination on Preventing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Dogs)

  • Bae, Jae-Sung;Jang, Kwang-Ho;Kwon, Young-Sam;Jang, Hwan-Soo;Kim, Jung-Eun;Park, Se-Il;Lim, Jae-Hyun;Li, Wen-Xue;Lee, Seoung-Ji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03
  • 개에서 hyaluronic acid(HA), vitamine E 및 두 약물의 병용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견은 HA 처치군, Vitamin E 800 처치군,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그리고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의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3두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회맹연접부를 확인하고 회장 쪽으로 5cm 간격으로 5곳에 1$\times$1cm 크기로 찰과상을 유도하였다. HA는 0.1%로 하나의 찰과상 당 3ml과 복강 내에는 체중 당 3ml을 도포하였다. Vitamin E 는 수술 전 5일부터 수술 후 14일까지 800, 1600IU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수술 3주 후에 유착발생빈도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소견 상 WBC의 수치는 수술 1일 후 전군에서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4일 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14일에는 정상범위로 회복하였으며 전군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Fibrinogen 수치는 수술 1일 후 전군에서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4일 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7일에 수술전 수치로 회복하였으며 전군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착발생 장소는 장막-장간막(43.3%), 장막-장막(20%), 장막-대망막(5%), 장막-복막(1.7%) 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47%로 Vitamin E 800 처치군 100%, HA 처치군 80%,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 53%에 비해 낮았다. 유착형성은 HA처치군, Vitamin E 800 처치군,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그리고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에서 5.3$\pm$0.58, 7$\pm$1.00, 2.3$\pm$1.15과 3$\pm$1.00로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있어 HA와 800 IU Vitamin E 병용투여가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개의 신장에 있어서 Ascorbic Acid에 의한 허혈/재관류 손상의 감소에 관한 연구 (Attenuation of Renal Ischemia-Reperfusion (I/R) Injury by Ascorbic Acid in the Canine Nephrotomy)

  • 김종만;이재연;정성목;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3-55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의 신장 절개술 모델에서 ascorbic acid를 전처치 하거나 관주 및 흡인시에 있어서, 허혈/재관류 손상의 감소와 신장 기능의 회복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성숙 잡종견 9두에서 신장절개술을 실시하였으며, hepa-saline 관주 및 흡인군와 ascorbic acid로 전처치 한 후 hepa-saline 관주 및 흡인한 군을 각각 실험군 1, 2로 놓았다. 신기능 검사와 항산화 효소 검사를 위해 신장절개술 후 0, 1, 3, 5, 7일에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그리고 7일 후 TNF-alpha, INF-gamma 검사를 위해 신장을 적출 보관하였다. 신장의 기능 검사에서 처치군 1과 2는 재관류 후 3, 5 그리고 7일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 하였으며(p < 0.05), 처치군 2는 재관류 후 3일째에서 처치군 1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p < 0.05). 혈장에서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치는 처치군 1과 2는 재관류 후 3, 5 그리고 7일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 하였으며(p < 0.05), 처치군 2는 재관류 후 3일째에서 처치군 1과 비교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 < 0.05). TNF-alpha는 감소하고, INF-gamma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신장의 관주 및 흡인의 과정은 신장의 관주 및 흡인의 과정은 신장의 허혈 및 재관류 손상을 감소 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외인성 ascorbic acid의 투여는 개의 신장 절개술에서 허혈 및 재관류의 손상을 감소시키며 신기능의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개에서 난소자궁절제술과 난소절제술 후 나타나는 통증 행동과 스트레스 반응의 비교 (Comparison of Ovariectomy and Ovariohysterectomy in Terms of Postoperative Pain Behavior and Surgical Stress in Dogs)

  • 이스캇;이승용;박세진;김영기;석성훈;황재민;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6-171
    • /
    • 2013
  • 본 연구는 개에서 난소자궁절제술과 난소절제술의 실시가 동물의 통증행동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3 마리의 건강한 암컷 중 (4.2-5.5 kg) 6 마리의 개에서 난소절제술이 행하여졌고, 7 마리에서 난소자궁절제술이 이루어졌다. 술 후 두 그룹 간에 수술 시간, 마취 시간, 복벽의 절개 길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술 전과 술 후 1, 2, 4, 6, 12, 24 시간째에 Short form of composite measure pain scale (CMPS-SF) 를 사용하여 통증 점수를 측정하였고 혈중 glucose 와 creatine kinase 그리고 cortisol 수치를 측정하였다. 난소자궁절제술을 시행한 그룹에서는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p < 0.05) 긴 수술 시간, 마취 시간, 복벽 절개 길이를 나타내었다. Two-way ANOVA test 결과 CMPS-SF에 의한 통증점수가 두 그룹 간에 유의적 (p < 0.05) 차이를 보였으며 술 후 1, 2, 4, 6 시간째 난소절제술을 행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Glucose 의 경우 난소자궁절제술을 행한 그룹에서는 술 전과 비교해 유의적 (p < 0.05) 농도 증가가 술 후 1 시간째에 나타났으나 난소절제술을 행한 그룹에서는 술 후 전체 관찰기간 동안 유의적 농도 증가가 관찰 되지 않았다. Creatine Kinase 의 경우 난소자궁절제술을 행한 그룹에서는 술 전과 비교하여 술 후 1, 2, 4, 6, 12 시간째에 유의적 (p < 0.05)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난소절제술 그룹의 경우 술 후 4, 6, 12 시간째에만 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적 (p < 0.05)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Cortisol 의 경우 두 그룹 모두 술 후 1, 2 시간째에 유의적인 (p < 0.05) 농도 상승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난소절제술을 이용한 암캐의 중성화 수술 방법은 난소자궁절제술에 비해 짧은 복벽 절개, 수술 시간, 마취 시간을 요하며, 적은 술 후 통증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난소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에게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도개에서 분만후 자궁수복의 연속적 초음파상 (Serial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in Korea Jin-do dogs)

  • 손창호;강병규;최한선;김기원;강현구;신창록;박인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53-664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normal appearance of the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Postpartum changes in uterine shape, architecture, echogenicity and diameter were monitored with ultrasonography in 11 Korea Jin-do dogs.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don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3 days interval from 8 to 30 days, and weekly from 31 to 100 days postpartum, respectively. Of 11 postpartum bitches, 10 bitches (90.9%) had normal involution and 1 bitch (9.1%) had subinvolution of the placental sites (SIPS) by gross findings, vaginal discharges, and by ultrasographic findings, uterine shape and echogenicity. The excretory period of vaginal discharges in 10 normal bitches of uterine involution was finished completely at $20.2{\pm}4.6$ days (Mean${\pm}$SD) postpartum, but in 1 SIPS at 50 days postpartum. The short axis shape of the uterus was initially often flaccid-appearing. It varied from circular to crescent shaped to polygonal. This lasted until $16.5{\pm}3.7$ days postpartum, during which time the short axis uterine shape gradually changed to circular. Also, the long axis shape of the uterus was created a beaded appearance of the horns until $29.9{\pm}3.2$ days postpartum. After 30 days, it was appeared as tubular shape without distinguished between placental and interplacental sites. The ultrasonographic image of the postpartum uterus consisted of four echogenicity distinct layers. Uterine wall was represented the very hyperechoic serosa, hypoechoic myometrium, hyper echoic endometrium and anechoic structures of fluid in the uterine cavity until 7 days postpartum. The individual uterine layers were most prominent during the first week postpartum, and they became progressively less distinct throughout the course of uterine involution. Anechoic structures of fluid in the uterine cavity was detected until $25.0{\pm}6.4$ days postpartum, after which time it was not reliably detected. The uterine diameter was decreased not only in the placental sites frorm $24.1{\pm}2.5mm$ at 1 day to $15.4{\pm}1.4mm$ at 7 days postpartum, but also in the interplacental sites $14.9{\pm}1.5mm$ at 1 day, $10.6{\pm}0.8mm$ at 7 days postpartum. There was a general trend of decreasing uterine diameter, which occurred more rapidly at the placental sites. At 31 days pastpartum, these diameter reached almost same size, after that time, they could be not distinguished between placental and interplacental sites. At 87 days postpartum, the uterine diameter was $5.6{\pm}0.6mm$ both placental and interplacental sites, and the uterine horns were uniform hypoechoic, tubular structures without enlargement. Therefore, complete involution of the uterus occurred at that time. It was concluded that normal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in Korea Jin-do bitches appeared to be completed around 87 days postpartum by gross findings such as vaginal discharges, and by ultrasonographic findings, uterine shape and echogenicity. Also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were described. Therefore, these result suggest that ultrasonographic assessment is a reliable method for diagnosing the SIPS and uterine dysfunction, such as pyometra in bitch.

  • PDF

개에서 트라마돌의 정맥투여가 아이소플루란의 최소폐포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ramadol on the 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 of Isoflurane in Dogs)

  • 석성훈;박세진;이승용;진소영;김영기;황재민;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8-312
    • /
    • 2015
  • 본 연구는 개에서 트라마돌의 정맥투여가 아이소플루란의 최소폐포농도 ($MAC_{ISO}$)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마리의 암컷 저먼셰퍼드견이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견의 마취유도는 안면마스크를 이용하여 시행되었으며 실험하는 동안 기계적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P_{ET}CO_2$)을 35-45 mmHg로 유지하였다. 개에서 마취유도 후 45분이 경과한 다음 gross purposeful movement가 감지 될 때까지 후지 발가락을 클램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baseline $MAC_{ISO}$ ($MAC_{ISO}B$) 측정을 시작하였다. $MAC_{ISO}B$가 결정된 후, 트라마돌 3 mg/kg을 투여하였고 뒤이어 2.6 mg/kg/h으로 지속점적투여 (CRI)를 실시하였다. CRI 시작 후 20분이 경과한 다음, 트라마돌 투여 후 $MAC_{ISO}$값 ($MAC_{ISO}T$) 측정을 시작하였다. 동맥혈압과 심박수는 지속적으로 기록하였고 $MAC_{ISO}B$$MAC_{ISO}T$의 결정 후 각각 20분간 평형기간이 경과한 다음 동맥혈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MAC_{ISO}B$$MAC_{ISO}T$는 각각 $1.33{\pm}0.04%$$1.23{\pm}0.04%$로 측정되었고 $MAC_{ISO}B$는 트라마돌 투여 후 $7.5{\pm}0.2%$의 유의적인 (P < 0.05)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트라마돌 투여 후 심박수와 동맥혈압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개에서 아이소플루란을 이용한 전신마취 시 트라마돌의 투여는 심폐기능의 억압을 일으키지 않고 $MAC_{ISO}$값을 감소시켰으므로 마취의 안정성과 마취회복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글견에서 Propofol/Remifentanil과 Ketamine/Remifentanil을 사용한 완전 정맥 내 마취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Propofol/Remifentanil and Ketamine/Remifentanil for TIVA in Beagle Dogs)

  • 최우식;장환수;박재순;윤성호;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79-485
    • /
    • 2011
  • 비글견에서 remifentanil/ketamine 점적 투여 병용마취법과 remifentanil/propofol 점적 투여 병용마취법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평가하였다. 14 마리의 비글견을 이용하였다. 실험견은 acepromazine (0.1 mg/kg, 피하)과 medetomidine (20 ${\mu}g$/kg, 정맥내)으로 전처치하고, Group P는 정맥 내 propofol 1 mg/kg, Group K는 정맥 내 ketamine 5 mg/kg으로 마취 유도 하고, 이 후 실험군별로 고정된 용량의 remifentanil (0.5 ${\mu}g$/kg/min)과 ketamine 0.1 mg/kg/min 또는 propofol 0.3 mg/kg/min을 3 시간 동안 투여하였다 (Group K와 Group P). 동맥혈압, 심박수, 호흡 수, 혈액가스분석과 마취회복기 동안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toe-web clamping 검사를 통해 마취 깊이를 평가하였다. 외과적 마취기는 두 군 모두에서 전 시간 동안 유지가 되었다. Group K의 수축기 동맥혈압, 평균 동맥혈압, 동맥산소 분압, 동맥 산소 포화도는 Group P에 비해 정상 범위 내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Group K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Group P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이완기 동맥혈압, 심박수, 호흡수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점적투여 중단시점부터 발관까지의 평균시간은 Group K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지만, 평균 sitting time은 Group P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평균 head-up time과 평균 walking time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K에서는 약간의 근강직, 머리 흔듬, 혀로 핥는 동작이 회복기에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Group K가 Group P보다 심폐 기능에서 더 좋았다. 즉, remifentanil/ketamine을 이용한 점적투여 병용마취법이 remifentanil/propofol을 이용한 점적투여 병용마취법 보다 3 시간의 마취 유지에서 보다 나은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개에서 자연개구부를 통한 하이브리드 내시경적 담낭절제술: 경위장관, 경결장 및 경질 접근법 (Hybrid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Cholecystectomy in Dogs: Transgastric, Transcolonic and Transvaginal Approaches)

  • 김수현;정성목;신사경;김성수;신범준;이재연;김명철;박지영;김영일;이상일;김지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97-505
    • /
    • 2011
  • 자연개구부를 통한 내시경적 수술 (NOTES)은 최근 많은 잠재적인 장점들로 인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수술방법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대부분 사용되어지고 있는 내시경은 기구가 삽입되는 포트가 한 개인 것이 대부분으로 순수 NOTES를 시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복강경과 순수 NOTES의 중간 단계 인 하이브리드 NOTES를 통해 담낭절제술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한 개의 복강경 포트를 삽입함으로써 이를 통해 복강경용 겸자를 사용하여 담낭의 견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내시경은 경위장관, 경결장 및 경질을 통 해 외부 피부 절개 없이 복강 내로 삽입되어 수술이 진행되었으며 복강 내압은 $CO_2$를 이용하여 4 mmHg로 유지하였다. 위 세 경로를 통한 접근으로 담낭절제술은 모두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실험견들은 실험기간동안 임상적인 유의성 없이 좋은 회복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에서 최소 침습적 수술로 담낭절제술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 시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을 확인함으로써 소동물 수의 임상영역에서 최소 침습적 수술이 보급될 수 있는 기초가 되며, 복강경과 내시경의 임상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경결장의 경우 내시경 접근 시 복강 내에서 소수의 세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경결장 접근의 경우 접근 방법에 대한 다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의 유선에서 발생한 혼합성 골육종 및 샘포 상피세포의 전이성 암종 (Mixed Osteosarcoma with Metastatic Alveolar Carcinomatous Appearance in Canine Mammary Gland Tumor)

  • 구문정;홍일화;박진규;양해걸;위엔동웨이;기미란;이혜림;홍경숙;한정연;황옥경;김태환;도선희;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66-1770
    • /
    • 2007
  • 본 증례는 개의 유선에서 발생한 골형성성의 악성 혼합 유선 종양으로 샘포의 암종성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종양은 12년령 암캐의 좌측 5번째 유선에서 절제되었으며 직경 $2{\sim}2.5cm$의 단단한 mass로 절단 시 경도가 높은 골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현미경학적 관찰 시, 골유사 물질이 미네랄 침착되고 있었으며 다수의 골형성 세포와 일부 파골세포가 골생성 종양 기질 전반에 걸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골유사 병변은 높은 밀집도를 보이는 근상피 세포와 연접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세포들은 수 개의 유사분열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유선세관과 샘포의 암종성 변화를 보이는 세포들이 인접 기질로 침습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이것 역시 증가된 근상피 세포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본 증례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세포들의 출현은 동시 발생된 악성 종양의 형태를 제시할 수 있으며 종양의 기원은 상피 유래의 암종성 조직과 중간엽 유래의 육종성 연골 및 골 조직으로 구별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