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enjang sauc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연구 1. 문헌에 의한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1.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Doenjang by Literatures)

  • 박건영;황경미;정근옥;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3-350
    • /
    • 2002
  • 문헌과 실제 공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된장의 제조방법을 조사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방법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표준화하였다. 재래식 된장 제조는 먼저 재래식 메주 제조로 시작되는데 재래식 메주는 자연발효로 대두를 증자하고 분쇄하여 벽돌형의 메주를 성형 한다. 이를 건조시킨 후 볏짚으로 엮어 매달아 2~3개월간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한다. 발효가 끝난 메주는 소금물에 띄우고(meju : salt : water = 18.4 : 14.6 : 67.0) 고추, 숯을 넣어 2~3개월 발효 숙성하고 된장과 간장을 분리한다. 이를 다소 수정하여 콩알메주를 만들어 재래된장을 만들기도 하는데, 증자대두에 Asp. oryzae를 접종하여 기존B. subtilis와 함께 콩알 메주를 제조하여 염수와 함께 6개월 정도 발효 숙성하여 콩알메주 재래된장을 제조 한다. 한편 개량 된장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일본식을 따르는데 재래식과 일본식을 수정한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증자된 소맥분에 Asp. oryzae로 제국을 하고 증자된 대두를 혼합 한다. 이때 전분질원으로 증자된 밀쌀을 첨가하기도 하고 재래식 된장의 맛을 주기 위해 증자대두에 B.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 또는 재래식 메주를 혼합하기도 한다. 혼합된 소맥제국과 증자대두 등에 염수를 첨가하여 45~60일 발효숙성하고 살균($65^{\circ}C$, 30분) 과정을 거치고 제품화한다. 이제는 한국의 재래식과 재래 된장 맛을 포함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한국의 된장을 만들기 위해 기존 장류 공장은 재래 된장의 제조 방법을 공정에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일본 미소와는 완전히 다르면서 한국 전통적인 된장 제조법을 개발하여 수출 및 세계화를 이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래식 된장 공장은 재래식 방법을 좀더 과학화 및 산업화하여 전통을 이어가며 안전성 확보와 일정한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재래 된장을 제조해야 한다. 현대의 실정 에 맞는 과학적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재래식으로 인해 걸리는 시간, 노력 에 걸맞은 가격, 품질 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전통 장류에 대한 서울 및 경기일부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Gyeonggi-do)

  • 김주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77-58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erception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s' indu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 to October 15, 2011 among 294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gender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was 33.3% males and 66.7% females. For a perception on traditional dietary life, the degree for enjoying meals with cooked rice as the staple food revealed that 32.3% of the subjects responded 'strongly agree'. The intake frequency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case of doenjang, 49.7% of the participants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21.4% consumed it once a week. For gochujang, 59.9%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19.0% consumed it once a week. The perception on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showed a low level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The reason for purchasing traditional foods showed that 77.6% of the subjects made purchases for convenience and 8.2% purchased it for its small package. For the subjects, the priority for purchasing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was as follows: in the first rank, ingredients & origin made up 33.7% and price comprised of 26.2% of the priority. Regarding satisfaction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high for gochujang.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for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an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for chin-ganjang, compared to the mal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picted that consumer's requirement was high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particularly for the safety of the products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was relatively positive yet, som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감마선 조사된 장류의 SOS Chromotest에 의한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by SOS Chromotest)

  • 육홍선;김동호;이주운;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2001
  • 우리나라 전통 장류의 위생화와 저장.유통안정성 확보를 위해 20 kGy 감마선 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의 독성학적 안전성을 SOS Chromotest로 측정하였다. 대사활성계(S-9 mix) 존재 유무의 조건하에서 Escherichia coli PQ37을 SOS Chromotest 균주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물추출물, 용매추출물을 준비한 후 농축하여 S-9 mix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조건에서 SOS Chromotes에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10,00$\mu\textrm{g}$/assay의 투여 농도에서 1.5이하의 IF값을 유지했으며 조사된 모든 시료는 비조사구와 차이가 없었고, 20 kGy로 조사된 전통장류에서 어떠한 돌연변이원성도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Based Fermented Food)

  • 김동호;손준호;육홍선;김미리;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39-843
    • /
    • 2001
  •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장류제품의 미생물 살균 시,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여 된장, 고추장, 간장, 청국장, 메주에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amylase, protease, lipase 그리고 혈전용해효소 활성을 비교하였다.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은 메주, 청국장, 된장에서 대체로 높았고 간장과 고추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Amylase, protease, lipase의 효소활성은 1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20 kGy의 감마선 조사구에서는 10% 내외의 효소활성 감소가 있었으나 청국장의 protease 활성감소(15%)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5). 혈전용해효소 활성은 2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서 효소활성 변화가 없었다.

  • PDF

전통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by Aging Period)

  • 구경형;박경민;김현정;김윤숙;구민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0-728
    • /
    • 2014
  • 본 연구는 장기 숙성된 우리 된장의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숙성 기간이 다양한 된장을 수집하여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특성과 감각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1년 숙성부터 9년 숙성 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등의 일반성분과 염도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숙성 기간에 따른 경향도 없었다. 또한 아플라톡신 생성 곰팡이 등 위해 미생물도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서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년 숙성 된장이 1,052.5 mg%였으며, 2~5년 숙성 된장은 904.0~997.0 mg%였고 5년 이후 숙성된 된장은 1,219.5~1,307.0 mg%였다. 숙성 기간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표면 색도였으며, 숙성 기간에 따라 밝기와 황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콩에 포함된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함량비는 9년 숙성된 된장에서도 유지되어 전체 지방산의 55% 이상을 차지하였고, 된장의 주요 유리당인 fructose는 1.6~2.2% 범위였다. 이소플라본 조성은 메주에서는 glycoside 형태가 77.1%를 차지하였으나, 숙성 1년 된장부터는 aglycon 형태의 이소플라본만 검출되었고 genistein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숙성 기간별 된장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색도, 점도, 간장 냄새, 비린 냄새, 메주 냄새, 간장 맛 등의 변화가 있어서, 메주에서 오는 맛과 향은 숙성 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만 간장 맛과 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숙성 기간별로 된장의 관능적 특징 유사성을 계층적 군집분석 실시한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1~5년 그룹과 6~9년 된장으로 분류하였으며 5년 이하 숙성된 된장은 1년, 2년, 3~5년 숙성된 된장 그룹으로 나눠져 숙성기간별 관능적 품질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식 소스류를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 세계적인 소스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Korean Sauces - Focusing on the Success of World-wide Sauces -)

  • 이은정;문기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8-120
    • /
    • 2012
  • 한국음식은 세계적으로 건강식, 영양학적으로 균형적인 음식들 중 하나이다. 미국,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호주, 영국, 프랑스와 이태리에서는 세계적인 소스류가 있고, 국제화에 대한 마케팅 전략도 수립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나라에 비해 한국식 소스류의 국제화는 실제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식 소스류를 통한 한국 음식 세계화 방안으로 기존의 한국의 장류인 간장, 고추장, 된장, 쌈장을 해외에 있는 쉐프들(chefs)에게 홍보하는 방안, 고추장, 된장, 쌈장을 기본으로 한 파생소스류를 개발하는 방안, 한국 거주 외국인 쉐프들을 통하여 한식 소스류를 해외에 홍보하는 방안, 기존 한식 소스류를 해외에 홍보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의 역할, 식품회사의 역할, 조리인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한식조리사들과 양식조리사들에 의한 한식소스류를 활용한 양식 한식 퓨전 메뉴개발, 스위트칠리소스, 가야 잼, 베지마이트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 한식 소스류의 개발과 홍보, 기꼬망간장, 이금기소스와 같이 제품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식품회사들에 의한 한국 고유의 소스류의 개발 지속적인 해외 홍보, 한식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을 통한 한식의 세계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해외에서 스타쉐프 양성, 한식 세미나,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 등이 정부 주도하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쌀된장 분말을 첨가한 돈가스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Sauce Added with Rice Soybean Paste Powder)

  • 윤향식;주선종;김기식;김숙종;김성수;오문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2-476
    • /
    • 2006
  • 쌀된장분말의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쌀된장 분말 0, 1, 3, 5, 7%를 첨가하여 돈가스 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점도는 쌀된장 첨가량에 따라 $584\sim776$ cP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염도는 $1.61\sim3.07%$의 범위에 속하였다. 명도는 쌀된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0.54에서 0.15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각각 2.61에서 0.36, 0.77에서 0.10으로 감소하였다. 쌀된장분말을 첨가한 돈가스 소스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62.1\sim73.0%$, 조단백질 $3.2\sim7.6%$, 조지방 $0.2\sim0.5%$, 당질 $9.1\sim12.1%$, 조섬유 $1.5\sim2.3%$, 조회분 $9.9\sim12.2%$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쌀된장 분말 1%와 3% 소스는 시판소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lutaminase첨가에 의한 장류 발효물의 숙성 중 L-Glutamic acid 함량 변화 (Effect of Glutaminase on the Production of L-Glutamic Acid in Soybean Fermentation Products during Aging)

  • 김남대;김현진;장덕규;안병권;주현규;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29-33
    • /
    • 2000
  • 장류 품질개선의 일환으로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발효물에 glutaminase첨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숙성기간에 따른 L-glutamic acid와 아미노태질소(AN) 함량을 분석하였다. 효소첨가구의 발효초기에 대한 발효 45일 째의 glutamic acid의 함량 증가는 고추장이 671.8%, 간장 298.1% 및 된장 193.4% 순으로 높았다 무첨가구에 대한 발효 45일째의 glutamic acid의 함량 증가는 고추장이 363.1%, 된장 159.2%, 간장 35.7% 순으로 높아 고추장 발효물에 대한 glutaminase 첨가 호과가 가장 높아 3배 이상 되었다 또한 glutaminase 첨가시 아미노태질소 함량의 발효초기에 대한 증가효과는 45일 째에 고추장이 216.0%, 간장 120.8% 및 된장 84.5% 순으로 높았고, 무첨가구와 비교하였을 경우 발호 45일에 된장이 40.3%, 고추장 35.7%, 간장 8.4% 순으로 증가하였다. glutaminase첨가 제품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하여 맛과 향, 기호도에서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Potential Bacillus subtilis Probiotics from Korean Soybean Paste and Their Antimicrobial and Immune Activities

  • Seo, Weon-Taek;Nam, Sang-Hae;Lee, Chang-Kwon;Cho, Kye-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37-44
    • /
    • 2011
  • The potential probiotic of a total of 15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was evaluated. Among those tested, the CSY191 and CSY388 strains were selected as probiotic bacteria due to their acid and bile tolerance, respectively. These strains were classified as Bacillus subtilis based on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 features as well as on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ir 16S rDNA sequences. These strains CSY191 and CSY388 showed a significant survival with rate range of 30.0 to 58.3% and of 31.0% to 58.1%, respectively, under artificial gastric acidic conditions at pH 3.0. These CSY191 and CSY388 strains appeared to have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ce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lso, methanol extractions (surfactin-like compounds) of strain CSY191 and strain CSY388 activated RAW264.7 microphages and induc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espectively. Therefore, strain CSY191 and strain CSY388 can be used as potential probiotic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jor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5-41 Isolated from Meju

  • Jo, Hyeon-Deok;Lee, Hwang-A;Jeong, Seon-Ju;Kim, Je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1호
    • /
    • pp.1166-1173
    • /
    • 2011
  • Meju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 product used as a key element for soy sauce and doenjang. Bacilli with antimicrobial activity were isolated from meju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s at Sunchang county, Jeollabukdo, Korea. Six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y recA gene sequencing and RAPD-PCR. One isolate, B. amyloliquefaciens MJ5-41, showed the strongest fibrinolytic activity. A 27 kDa active fibrinolytic enzyme, AprE5-41,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MJ5-41 grown on LB by chromatographic method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purified AprE5-41 were 7.0 and $45^{\circ}C$, respectively. AprE5-41 quickly degraded $A{\alpha}$ and $B{\beta}$ chains but not the ${\gamma}$-chain of fibrinogen. AprE5-41 exhibited the highest specificity for N-succinyl-Ala-Ala-Pro-Phe p-nitroanilide, a known substrate for ${\alpha}$-chymotrypsin, cathepsin G, and subtilisin BPN'. The structural gene, aprE5-41, was cloned by PCR and successfully expressed in B. subti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