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G

검색결과 3,861건 처리시간 0.033초

A Profile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Variants and Deficienc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 Bahk, Young Yil;Ahn, Seong Kyu;Lee, Jinyoung;Im, Jae Hyoung;Yeom, Joon-Sup;Park, Sookkyung;Kwon, Jeongran;Kan, Hyesu;Kim, Miyoung;Jang, Woori;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447-455
    • /
    • 2021
  • Vivax malaria incidence in Korea is now decreased and showing a low plateau. Nowadays, vivax malaria in Korea is expected to be successfully eliminated with anti-malaria chemotherapy, primaquine, and vector control. Th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tential hemolytic anemia after primaquine administration. This inborn disorder has a pivotal polymorphism with genetic variants and is the most prevalent X-chromosome-linked disorder. The prevalence of G6PD deficiency was previously reported negligible in Korea. As the popul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pertaining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adolescent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check G6PD deficiency for them prior to primaquine treatment for vivax malaria. The prevalence of G6PD variants and G6PD deficiency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performed in 7 counties and 2 cities of Jeollanam-do (Province), Gyeonggi-do, and Gangwon-do. A total of 733 blood samples of multicultural family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test the phenotypic and genetic G6PD deficiency status using G6PD enzyme activity quantitation kit and PCR-based G6PD genotyping kit. The G6PD phenotypic deficiency was observed in 7.8% of male adolescent participants and 3.2% of materfamilias population. Based on the PCR-based genotyping, we observed total 35 participants carrying the mutated alleles. It is proposed that primaquine prescription should seriously be considered prior to malaria treatment.

3세대 이동통신에서 DCH 고갈형 DoS 공격 탐지 기법 (Detection Method of the DoS attack depleting DCH in 3G)

  • 박지연;강동화;조유근;허준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68-70
    • /
    • 2012
  • 피쳐폰(Feature Phone)이 주를 이루던 초기 3G(Third Generation)는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이 많지 않았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의 다양화, 저렴한 데이터 요금 정책으로 데이터 사용량이 대폭 증가하였다. 이동통신사가 예상하지 못한 데이터 사용량 증가로 3세대 망의 새로운 보안상 취약점이 나타났고 이를 이용한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세대 망에서 나타날 수 있는 DoS 공격의 하나인 DCH(Dedicated Channel) 고갈형 DoS 공격에 대한 논의하고 정상 사용자의 패킷 사용 패턴을 이용한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Clonal Propagation through Leaf Sheath Culture of Phalaenopsis

  • Jo, Man-Hyun;Ham, In-Ki;Lee, Mi-Ae;Han, Gyu-Heung;Woo, In-Shik
    • Plant Resources
    • /
    • 제5권3호
    • /
    • pp.176-180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clonal propagation technique through in vitro culture using by leaf sheath explants of Phalaenopsis grown in vitro. The highest frequency of protocorm-like body (PLB) formation was obtained when explants of leaf sheath were cultured on VW medium containing 30g/L sucrose, 500 mg/L activated charcoal, 150 mVL coconut water, 1 mg/L NAA, 1 mg/L 2ip and 2.5 g/L gelrite. The PLB formation rate of VW medium was highest followed by modified Hyponex medium, and lowest in MS medium. Plantlets induced from PLBs transferred to plastic pots including spagnum moss were well developed.

  • PDF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Hirudin 발효생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irudin Production from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동훈;서진호
    • KSBB Journal
    • /
    • 제9권1호
    • /
    • pp.8-15
    • /
    • 1994
  •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hirudin 발효생산조건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Hirudin 유전자는 GAL10 promoter와 MFal 분비신호, GAL7 terminator와 결합되어 있다. 재조합 효모의 성장속도와 hirudin 최종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적의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결정하였다. 최적의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은 yeast extract 40g/$\ell$, casamino acid 5g/$\ell$, 포도당 20g/$\ell$, galactose 30g/$\ell$, DO 50%, 온도 $30^{\circ}C$였다. 이 조건으로 2.5$\ell$ 발효조에서 회분식배양을 수행한 결과 비성장속도는 $0.13hr^{-1}$, 최종 건조균체농도는 30g cell/$\ell$, 최종 hirudin 농도는 64mg/$\ell$로 나타났다.

  • PDF

곡류 등 다소비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Mycotoxins in Grains and Commonly Consumed Foods)

  • 김재관;김영숙;이창희;서미영;장미경;구은정;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70-476
    • /
    • 2017
  • 시중 유통 중인 곡류, 콩류, 견과류, 종실류 등 134건에 대하여 8종의 곰팡이독소를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전체 시료 중 22건에서 fumonisin $B_1$, $B_2$, zearalenone, ochratoxin A 등 4종이 검출되어 16.4%가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이 강한 aflatoxin $B_1$, $B_2$, $G_1$, $G_2$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 ($B_1+B_2$)은 $0.48{\sim}560.2{\mu}g/kg$, zearalenone은 $0.22{\sim}28.6{\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fumonisin이 곡류 $49.3{\mu}g/kg$, 유지종실류 $10.1{\mu}g/kg$, zearalenone이 곡류 $1.9{\mu}g/kg$, 콩류 $1.5{\mu}g/kg$이었으며, ochratoxin A는 곡류에서 $0.08{\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기장에서 검출된 ochratoxin A는 $4.8{\mu}g/kg$으로 기준치인 $5.0{\mu}g/kg$에 근접하여 검출되었는데 생산년도가 2016년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나머지 품목은 2015년에 생산되었는데 특히 곡류 중 율무와 수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됐으며 땅콩 및 견과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품목의 검출빈도를 살펴보면 율무 66.7%, 수수 87.5%, 조 20%, 기장 20%로 곡류 중 약 27%가 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고, 콩류는 팥에서 60%가 검출되어 콩류 전체로는 12.5%가 오염됐으며 유지종실류는 깨에서 33.3%가 검출되어 유지종실류 전체로는 11.8%가 독소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과 zearalenone이 동시에 검출된 품목은 율무 2건, 수수 3건이었으며 fumonisin이 검출된 경우 대부분의 시료에서 fumonisin $B_1$, $B_2$ 가 동시에 검출되었으나 율무, 조, 참깨 각 1건에서 fumonisin $B_1$만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산출한 1인 1일 노출량은 곡류의 경우 fumonisin $1.4{\times}10^{-2}{\mu}g/kgb\;.w./day$, zearalenone $5.6{\times}10^{-4}{\mu}g/kg\;b.w./day$, ochratoxin A $2.2{\times}10^{-5}ng/kg\;b.w./day$이었으며 콩류에서는 zearalenone $5.4{\times}10^{-5}{\mu}g/kg\;b.w./day$, 종실류는 $7.4{\times}10^{-5}{\mu}g/kg\;b.w./day$으로 이를 바탕으로 WHO/JECFA에서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PMTDI 대비 인체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fumonisin은 곡류 0.72% 종실류 0.004% zearalenone 곡류 0.11%, 콩류 0.01%에 해당하는 양이었으며 ochratoxin A는 PTWI 대비 0.14%, EC의 TDI 대비 0.45%로 검출된 곰팡이독소가 인체에 대한 유해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곰팡이독소는 기준치 이내의 아주 적은 양 검출되었지만 기후 온난화로 인해 독성이 강한 곰팡이독소가 생성되기 쉬운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어 농산물의 생산, 저장, 포장 과정에 이르기까지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곰팡이독소로 인한 안전성 논란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찰옥수수 $F_1$의 지방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Waxy Corn (Zea mays L.) $F_1's$)

  • 서영호;김인종;민황기;이해익;박승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15-1420
    • /
    • 1999
  • 우리나라 찰옥수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성분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310개 $F_1$의 지방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페놀화합물, tocopherols, carotenoids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linoleic acid, 불포화지방산은 각각 $14.6{\pm}2.5%,\;2.5{\pm}1.0%,\;24.8{\pm}4.2%,\;55.6{\pm}5.4%,\;81.8{\pm}3.1%$였고, 항산화 활성과 페놀화합물, tocopherols, carotenoids의 함량은 각각 $22.8{\pm}5.9%,\;36.2{\pm}11.5\;{\mu}g/mL,\;120.3{\pm}27.7\;{\mu}g/mL,\;0.4{\pm}0.6\;{\mu}g/mL$였다. Linoleic acid와 oleic acid 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산화활성은 페놀화합물과 tocopherols 함량과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carotenoids의 함량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