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ct heating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초

토목섬유 접촉면을 포함한 해상 폐기물처분장 호안구조물의 동적 거동 (Dynamic Behavior of Offshore Waste Landfill Revetment with Geosynthethic-Soil Interface)

  • 곽창원;오명학;박인준;장동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2호
    • /
    • pp.141-150
    • /
    • 2017
  • 해상처분장 건설시 폐기물 내부에 생성되는 침출수 및 기타 오염물질을 차폐하기 위하여 토목섬유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토목섬유 포설시 필연적으로 토목섬유-흙 접촉면이 생성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섬유-흙 접촉면이 포함된 해상처분장에 지진하중 재하시 동적 전단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파악하였다. 해상처분장은 호안형식에 따라 경사식 및 중력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형식에 대하여 2차원 동적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그 거동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시 지중 간극수압의 분포를 고려한 유효응력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호안형식에 따른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변형율 및 축력 발생경향을 지진파 주기 특성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력식 호안형식을 적용시 액상화에 대하여 보다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고, 토목섬유 축력 및 접촉면 전단변형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Research Investigations at the Municipal (2×35) and Clinical (2×5 MW) Waste Incinerators in Sheffield, UK

  • Swithenbank, J.;Nasserzadeh, V.;Ewan, B.C.R.;Delay, I.;Lawrence, D.;Jones, B.
    • 청정기술
    • /
    • 제2권2호
    • /
    • pp.100-125
    • /
    • 1996
  • After recycle of spent materials has been optimised, there remains a proportion of waste which must be dealt with in the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available. For materials such as municipal waste, clinical waste, toxic waste and special wastes such as tyres, incineration is often the most appropriate technology. The study of incineration must take a process system approach covering the following aspects: ${\bullet}$ Collection and blending of waste, ${\bullet}$ The two stage combustion process, ${\bullet}$ Quenching, scrubbing and polishing of the flue gases, ${\bullet}$ Dispersion of the flue gases and disposal of any solid or liquid effluent. The design of furnaces for the burning of a bed of material is being hampered by lack of an accurate mathematical model of the process and some semi-empirical correlations have to be used at present. The prediction of the incinerator gas phase flow is in a more advanced stage of developm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although further validation data is still required. Unfortunately, it is not possible to scale down many aspects of waste incineration and tests on full scale incinerators are essencial. Thanks to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UWIC and Sheffield Heat&Power Ltd., an extended research programme has been carried out ar the Bernard Road Incinerator plant in Sheffield. This plant consists of two Municipal(35 MW) and two Clinical (5MW) Waste Incinerators which provide district heating for a large part of city. The heat is distributed as hot water to commercial, domestic ( >5000 dwelling) and industrial buildings through 30km of 14" pipes plus a smaller pipe distribution system. To improve the economics, a 6 MW generator is now being added to the system.

  • PDF

차량하중에 의한 복층터널 중간슬래브의 동적 응답 (Dynamic response of middle slab in double-deck tunnel due to vehicle load)

  • 김효범;곽창원;박인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717-732
    • /
    • 2017
  • 최근 급증하는 도로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복층터널과 같은 지하구조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복층터널은 내부에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는 중간슬래브가 존재한다. 중간슬래브는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하는 차량의 동적하중으로 인하여 동적거동을 하게 되며, 그 동적거동을 정확히 파악하여 설계 및 해석에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층터널 중간슬래브의 구조형식, 설계속도, 주행차량 및 노면조도 등을 고려한 해석모델을 작성하고 노면에 차량이 일정속도로 주행하는 경우에 대해 3차원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복층터널 중간슬래브의 동적거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간슬래브의 동적영향을 대표하는 동적확대계수는 탄성받침 지지조건 및 보통의 노면조도 조건에서 가장 크게 증폭되는 경향을 보였고, 양호한 노면조도와 강결연결 조건에 의해 동적영향을 작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폐기물 매립장 지반-토목섬유 접촉면의 동적 전단거동 특성 (Dynamic Shear Behavior of the Ground-geosynthetics Interface in the Waste Landfill)

  • 장동인;김영준;곽창원;박인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5-12
    • /
    • 2015
  • 최근 늘어나고 있는 폐기물량에 따라 폐기물 매립장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립장 내 폐기물의 보강 및 보호 목적으로 토목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목섬유는 흙과의 접촉면을 형성하는데 폐기물 매립장의 전단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 내의 산성 및 염기성과 같은 성분이 반복 전단하중 상태에서 지반-토목섬유 접촉면의 전단강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시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적 접촉면 전단시험기를 제작하고 60일, 840일간 수침시킨 토목섬유와 흙 시료를 이용하여 반복 단순전단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교란상태개념에 기초하여 화학적 인자들에 의한 지반-토목섬유 접촉면의 전단강도 감소 특성을 교란도 함수로써 확인하였다.

몽골에서의 지열 시스템 적용을 위한 주택 에너지분석 (Analysis on Housing Energy for Applying Geothermal System in Mongolia)

  • 김진호;김중헌;신승호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9-23
    • /
    • 2014
  • In the capital of Mongolia where the air quality is getting worse due to the coal consumption used for electricity generation and district heating, the application of geothermal systems in the housing sector is recently designed for high class resort. In this study, the case of applying a geothermal system in a house in Mongolia is examined. The effects of passive house design on the needed heat pump capacity, as well as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are analyzed. Moreover, as the initial costs, except labor fee, are assumed similar to Korea, cost analysis for several cases is examined, too. From the results, if a house is designed according to passive house standard instead of ASHRAE standard, the heat pump capacity can be expected to be reduced from 16 to 5~6 RT. Furthermore, although the initial cost of architectural cost might increased by 29 M\, the total initial cost is reduced by 14 M\, while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by 14%. This is mainly driven by the fact that the geothermal system which serves as the main system to cover the building needs, with a high initial cost for fulfilling the peak requirements.

연안지역 아파트의 전력소비량 실태조사 -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대한 사례연구 - (A Survey o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s of Apartments located at Coastal Area : Yeongdo-gu, Busan, Korea)

  • 황광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1-245
    • /
    • 2009
  • 도심지의 열섬(Heat Island)현상과 연안지역의 해풍(海風)의 영향 때문에, 부산, 인천, 목포 등 연안도시의 도심지역과 연안지역의 각 외기 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외기조건은 건물의 냉방부하, 난방부하, 전력소비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을 위한 건물설계와 운전방법개발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위치한 건물의 에너지소비특성을 파악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 아파트의 전력소비량에 주목하였고,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세대수가 100세대 이상인 22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기간별, 기능별 전력소비량을 조사하였다. 22개 아파트 전체의 세대내 최대전력소비량은 8월에 발생하고 있으나, 공용 최대전력소비량은 1월에 발생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연안지역에서는 여름철에 해풍에 의한 자연환기로 인해 냉방용 전력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조사결과에서는 여름철에 최대부하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해풍에 포함된 염분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창문을 닫고 전기구동 에어컨으로 냉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폐합성수지(廢合成樹脂)류의 열분해(熱分解) 유화(油化) 기술(技術) 동향(動向) (A Review on R&D and Commercialization of Oil Recovery from Waste Plastics by Pyrolysis)

  • 신대현;노남선;김성수;김광호;전상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1호
    • /
    • pp.3-12
    • /
    • 2010
  • 최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의 시행 추진, 국제 유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으로 인해 폐자원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업계에서는 폐기물 고형연료의 사용을 추진하고 있고, 특히,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유화기술은 중소, 중견기업들이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의 소개와 폐플라스틱 자원, 기술 개발 및 상업화 등에 대하여 국내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몽골의 가정용 PV-ES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PV-ES hybrid system for Mongolian Household)

  • ;;박준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2호
    • /
    • pp.1905-1912
    • /
    • 2017
  • In recent years, Ulaanbaatar, a capital of Mongolia has witnessed major problem that air quality reaches hazardous level during the winter season. Coal combustion for heating of every house in "Ger" district is main reason. One way to reduce the air pollution is mass usage of electric heater. However,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overload and degradation of transformers and other equipment used in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systems as well as power shortage occurrence in evening peak period due to residential consump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for solving the air pollution and power shortage problem in Mongolia. One possible solution could be distributed generation (DG) with photovoltaic (PV) penetration. In this study, PV with energy storage (ES) hybrid system to reduce peak load is analyzed. We proposed the suitable structure of PV-ES hybrid for Mongolian household, and suggested several operation scenarios. Optimal operation algorithm is carried out based on a comparison aspect from economical, grid impact and PV penetration possibility. The economic analyse shows annual income of 520USD, and has a payback period of 8 years for selected scenario. The proposed PV-ES system structure is verified by experimentation set on the building rooftop in city center. The suggested scenario is planned to apply for system in further research.

유동형태 변화가 배관 곡관부 대류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hanges in Flow Pattern on Convective Heat Transfer in the Vicinity of Pipe Elbow)

  • 송승현;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5권1호
    • /
    • pp.25-3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배관 곡관부의 유동가속부식을 일으키는 인자 중 수력학적 인자인 유동형태 변경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부식을 저감시키는 연구를 추진하였다. 열전달과 물질전달, 물질전달과 유동가속부식의 상사성에 대해 이론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소대류열전달계수를 해석함으로써 곡관부의 물질전달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곡관부 상류의 직관부 내표면 안쪽과 바깥쪽에 요철을 설치하였을 때 최대 국소열전달계수는 기본유동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여 요철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4.9%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곡관부 상류의 직관부에 가인드 베인을 삽입하면 가이드 베인에 의한 배관 내측면적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대 국소열전달계수가 기본유동에 비해 12.5%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토목섬유-정규압밀점토의 접촉면 동적 전단거동 평가 (Dynamic Shear Behaviors on the Normally Consolidation Clay-Geosynthetic Interface)

  • 배효곤;장동인;곽창원;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33-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토목섬유-점토의 접촉면 압밀 전단거동 평가를 위하여 상재하중 및 해수와 담수를 이용해 토목섬유-점토의 경계면에 대한 중요 특성인자를 규명하였다. 또한 폐기물 매립으로 바다에 매립공간을 확보하고 폐기물 처리 및 향후 토지이용 등 새롭게 필요 공간으로 변모가 가능하다. 토목섬유-점토의 접촉면에 거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표준 압밀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경우 해수보다 담수에서 압밀응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적 접촉면 전단 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경우 해수와 담수 두 개의 조건에서 모두 동일하게 하부모듈에 가까운 와이어게이지일수록 변위값이 증가하고, 담수보다 해수의 조건에서 전단파괴가 급격히 일어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토목섬유-점토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해수와 담수, 차수시설 설치여부(토목섬유)는 차수 시설 동적설계인자에 반드시 필요한 중요 변수로써 고려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