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nctive keyword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외 문헌정보학 저널의 키워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Keywords of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07-2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특징 면에서 문헌정보 저널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다양한 문헌 정보학 연구 영역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4 년부터 2016 년까지 네 개의 한국 저널의 키워드가 RIS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고(http://www.riss.co.kr) 그리고 여섯 개의 국제저널의 키워드가 SCOPU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다(http://www.scopus.com). 키워드의 특징은 한국 및 국제저널에 관하여서 자주 사용 되었던 키워드와 자주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를 검증하는 연구이었다. 독특한 키워드란 한 분야에서는 나타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키워드를 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는 한국의 문헌정보 학의 연구주제와 연구특색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일반적으로 한국 저널에서 사용 된 키워드는 도서관과 관련된 주제의 영역을 나타냈고, 국제 저널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서지 측정법과 관련된 주제 영역을 나타냈다. 다) 빈번히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에서도 이러한 전반적인 연구 테마를 명백히 나타냈다. 라) 어떤 키워드는 쓰이는 범위가 한 국가나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독특한 키워드는 둘 다 문헌정보 학의 주제 영역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MIS Research Keywords: APJIS and MIS Quarterly 2005~2009

  • Lee, Sung-Joon;Choi, Jun-Ho;Kim, Hee-Woo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0권4호
    • /
    • pp.25-51
    • /
    • 2010
  •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MIS field in Korea from 2005 to 2009 to that of international trends by using a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f the two flagship journals: APJIS and MIS Quarterly. From 316 research articles in these two journals, 132 unique and most frequently co-occurred keywords were put into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ivalence show a mild correlation between APJIS and MIS Quarterly. The e-commerce, trust, and technology adoption are the high frequency keywords in both journals. In Korea e-learning, purchasing, and recommendation systems turn out to be important keywords while outsourcing,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method, design research, information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are in average international journals. This connotes that the Korean scholarship tends to focus more on practically oriented topics, but the clustering and relational mapping of research topics in each journal show a mild level of overlap with distinctive orientations due to intrinsic disparities depending on the concerned journals' geographical scopes, namely domestic or global.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Study on the Trends of U-City and Smart City Researches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 임시영;임용민;이재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7-97
    • /
    • 2014
  • 현재 도시는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ICT 기술을 접목시킨 지능형 도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도시는 U-City, Smart City 등으로 정의되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논문 추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문 추세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분석 도출하여, 향후 U-City 연구의 방향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U-City는 도시에 대한 실제적 적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Smart City는 단일 서비스 제공이나 기술개발 쪽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집합의 구성에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었고, 키워드와 초록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므로 논문의 본문 또는 관련 연구보고서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경찰청 업무 트렌드 분석 (Analysi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business trends using text mining)

  • 선현석;임창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2호
    • /
    • pp.301-317
    • /
    • 2019
  • 최근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 발굴을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찰청에서 생산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연도별 경찰청의 업무 트렌드를 파악하고, 각 지방청별로 생산되는 문서에서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여 지방청 간의 업무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각 자료 특성에 맞는 전처리 과정을 시행하고 문서별 단어 빈도수를 계산하였다. 문서에 나타난 키워드의 단순 출현 빈도로는 해당 키워드가 문서에서 갖는 중요도를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에 단어-역문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단어에 대한 빈도수를 새롭게 계산하였고 단어의 문서별 및 연도별 빈도 비교를 위해 L2 정규화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경찰청 업무 개선 정책에 새롭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찰청 업무 효율성 향상 및 청내 업무 개선 수요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한 서브버시브 베이식(subversive basics) 패션의 특성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versive Basic Fashion Utilizing Text Mining Techniques)

  • 임민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78-92
    • /
    • 2023
  • Fashion trends are actively disseminated through social media, which influences both their propagation and consumption. This study explored how users perceive subversive basic fashion in social media videos, by examining the associat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yle's social media dissemination were identified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we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80 keywords were selected for semantic network and CONCOR analysis. TF-IDF and N-gram results indicate that subversive basic fashion involves transformative design techniques such as cutting or layering garments, emphasizing the body with thin fabrics, and creating bold visual effects. Topic modeling suggests that this fashion forms a subculture that resists mainstream norms, seeking individuality by creatively transforming the existing garments. CONCOR analysis categorized the style into six groups: forward-thinking unconventional fashion, bold and unique style, creative reworking, item utilization and combination, pursuit of easy and convenient fashion, and contemporary sensibility. Consumer actions, linked to social media, were shown to involve easily transforming and pursuing personalized styles. Furthermore, creating new styles through the existing clothing is seen as an economic and creative activity that fosters network formation and inte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ddresses language expression limitations and subjectivity issues in fashion image analysis, revealing factors contributing to content reproduction through user-perceived design concepts and social media-conveyed fashion characteristics.

트위터 메세지 특성에 따른 온라인 구전효과에 대한 분석 (The Impact of Message Characteristics on Online Viral Diffusion in Online Social Media Services : The Case of Twitter)

  • 남영우;손인수;이동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75-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온라인 소셜미디어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트위터 상에 게재되는 메세지의 특성이 메세지의 재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전달 빈도와 전달 속도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소셜네트워트 환경하에서의 정보확산 체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소셜미디어 상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정치, 연예, 스포츠, 유명인, 최신 디지털 제품과 같은 사회적 관심사를 나타내는 여덟 가지 주요 키워드(예: 무상급식, 반값등록금, 나가수, 평창, 김연아, 박태환, 아이폰, 갤럭시)을 선정하였다. 또한 트위터 메세지의 특성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개인의견, 하이퍼링크 포함 메세지, 하이퍼링크 및 개인의견 포함 메세지, 단순 재인용 등의 네가지 유형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주요 키워드와 메세지 유형별로 트위터 트위터 메세지의 재전달 빈도와 재전달 속도를 측정하였다. 2011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수집된 81,472개의 1회 이상 재전달된 트위터 메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재전달 트위터 메시지의 50퍼센트 이상이 특정 키워드에 대한 개인의견을 표현한 메시지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표본 트위터 메세지 중 하이퍼 링크를 포함한 메세지가 가장 빠른 메세지 재전달 시간을 보이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메시지의 고유 특성이 온라인 소셜 미디어 상의 정보확산 패턴에 중요한 영향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트위터와 같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는 더 이상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닌 다양한 사회현상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 의견을 피력하고 상호간의 심도있는 논의가 가능한 현대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기술이 이러한 의사소통 혁신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소셜 미디어상의 정보확산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지식을 증대키고 실무적으로 기업이 고객과 소통하는 데 있어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된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패션 트렌드 고찰 (Exploring Fashion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 박지수;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1-626
    • /
    • 2014
  • Reading and foreseeing fashion trends is crucial and difficult in the fashion industry due to accelerated and diversified changes in fashion trends. We use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fashion trends from 2004 to 2013 in order to find the inter-relevance among fashion trends. We extracted words from fashion trend info for women's wear provided by Samsung Design Net, created a 2-mode network of seasons and trend languages, and visualized this network using NodeXl program. Fashion trends repeated a unique pattern during the period. In the first half (2004-2008), retro modern, feminine modern, and ecological modern were dominant trends in consecutive order. The years 2009-2013 witnessed distinctive fashion trends in S/S seasons and in F/W seasons. 11F/W, 12F/W and 13F/W seasons were characterized by artistic creative style. From 2010, natural style dominated S/S seasons. 10S/S and 12S/S seasons were distinguished as a calm natural style that reflected a peaceful and simple life. In 11S/S and 13S/S seasons, soft natural style emerged as a sign of increased importance of inner spirit and natural energy. A seasonal reappearance of trends was observed every two years in S/S seasons that enabled the prediction that 14S/S will see another version of natural style. A macroscopic trend for the last 10 years was represented by the keywords 'modern' and 'natural'. 'Modern' involved the past styles such as 60's, Baroque and the origin of human life. 'Natural' was connected with design elements such as material, silhouette and color.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임상간호연구 게재논문 분석: 2009년부터 2015년까지 (Bibliographic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9 to 2015)

  • 김연희;정금희;권인각;김광성;문성미;이정림;박영아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1호
    • /
    • pp.73-82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9 to 2015.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268 articles.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ppropriateness of methods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key concepts of articles were analyzed. Results: A clinical nurse was the first author for 184 (66.7%) articles. The number of collaborative works between hospital and university was 184 (68.7%). Study participants were patients (120, 38.1%), nurses (115, 36.5%) and others. IRB approval was given for 156 articles (58.2%).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in 125 articles (46.7%).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98.6% of the articles but qualitative studies only 4 (1.4%). Types of interventions in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nursing skills (43, 42.6%) and health education (32, 31.7%). Major keywords were nurses, pain, knowledge, intensive care unit, anxiety, depression, fatigue, and stress. Conclusion: Articles in this journal deal with topics and concepts confronted in nursing practice so experimental studies on applicability of nursing interventions were frequently published.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uthors published in the journa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with characteristics distinctive from other nursing journals published in Korea.

캠핑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 구축 및 전략 - 감성·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빅 데이터 및 마켓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amping brand's BI formation and branding strategy - Focused on related word research based on big data for sensible approach & market research for cognitive approach)

  • 최수아;이애진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3권
    • /
    • pp.336-347
    • /
    • 2018
  • 오늘날 국내 캠핑인구는 500만이 넘었고, 캠핑관련 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미국, 유럽과 일본 등 캠핑선진국에 비해 다소 미흡한 캠핑 문화와 수입 캠핑브랜드의 높은 의존도가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산 캠핑 브랜드의 정착과 글로벌화 브랜드 육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캠핑 브랜드 정체성 수립과 차별화 전략을 위한 자료 제공을 위해 감성 인지적 접근을 통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감성적 접근을 위해 '캠핑, 캠프, 캠핑 브랜드, 캠핑 디자인'을 키워드로 빅 데이터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인지적 접근을 통해 해외 유명 캠핑 브랜드 17개와 국내산 브랜드 10개에 대한 마켓조사를 실시하였다. 빅 데이터를 통한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정보 교류 경로를 유추할수 있었다. 캠핑 관련 연관어 및 마켓조사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를 알수 있었다. 또한,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의 경우 각자의 브랜드 정체성이 뚜렷하며 독자적인 브랜드 스토리와 로고 디자인, 상품 디자인, 색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일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업사이클드 푸드: 정의, 소비자 인식 및 식품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활용 (Definition, Consumer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By-products from Food Supply Chain)

  • 김정인;정승현;김민재;오예원;김도균;한성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1-202
    • /
    • 2023
  • Food upcycling has emerg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sustainably utilize the food waste generated within the food supply chain. This review article examines upcycled food with respect to its definition, consum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n it, and the process by which by-products from the food supply chain are utilized for the creation of upcycled food products. The definition of upcycled food varied among manufacturers,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Upcycled Food Association, depending on the specific values and objectives of each sector. This has resulted in the use of different keywords to highligh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interpretations of upcycled food. This review also summarizes the various consumer traits that can influence th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upcycled food, encompassing functional, empirical and emotional, symbolic and self-expressive, and economic benefits. Additionally, the review presents strategies to utilize by-product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while also addressing the control of hazardous components to ensure biological or chemical safety and the changes in nutritional value that may occur during the utilization of these by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