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t Metastases (D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두경부 전양낭성암종에서 원격전이와 관련된 임상적, 병리학적 예측 인자 (Clinicopathologic Predictors and Impact of Distant Metastasis from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김정훈;성명훈;권택균;이상준;김광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2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s a unique tumor characterized by frequent and delayed distant metastasis (DM) with uncommon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e evaluated the factors affecting DM of ACC and survival after appearance of DM.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radiographs and pathologic slides were reviewed for 94 patients from 1979 through 2001. Results: DM of ACC occurred in 46 patients, and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tumors of the solid histologic subtype than in patients with tubular or cribriform subtypes. DM occurred less frequently in the sinonasal tract, and development of DM was not affected by tumor stage. Disease-specific 5-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88% and 72% for patients without DM, respectively and 76% and 48% for those with DM(p=0.02). Regarding the site of DM and its impact on outcomes, 30 patients had lung metastasis alone, 5 patients bone metastasis alone and 6 patients developed both lung and bone metastasis. Median survivals after appearance of DM among patients with isolated lung metastases and those with bone metastases with or without lung involvement were 54 and 21 months, respectively (p=0.04). Conclusions: Development of DM in ACC is predicted by solid histologic subtype, and major salivary gland or oral/pharyngeal rather than sinonasal primary site. Those patients with bone involvement with our without lung metastases had worse outcomes than those with pulmonary metastasis only.

원격 전이로 재발한 갑상선 유두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Recurred as Distant Metastases)

  • 김남영;김경헌;박성호;이국행;이병철;이명철;최익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5
    • /
    • 2015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recurred as distant metastases (DM). Materials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clinical records of 6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TC recurred as DM between 2000 and 2006.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ous clinical factors were performed. Results: Male patients were 12, and female patients were 51. The 5- and 10-year survival rates for PTC recurred as DM were 85% and 73%, respectively. Size of tumor, multiplicity of tumor, lateral neck node metastasis, and RAI ablation therapy with other treatments such as surgery were associated with survival rate (p < 0.005) in univariate analysis. The lateral neck node metastasis[p =0.039, hazard ratio=2.2(95% CI. 1.18~3.24)] and multiple organ DM[p =0.041, hazard ratio=2.18(95% CI. 1.03~2.89)] were related to the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PTC recurred as DM is uncommon (2.2%). The size of tumor, the multiplicity of tumor, lateral neck node metastasis and RAI ablation therapy with other treatments for DM were revealed as associated factors for the survival. Evaluation of DM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PTC during long-term follow-up.

  • PDF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비인강암 환자의 원격전이 빈도 및 양상에 관한 고찰 (Distant Metastase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after Definite Irradiation)

  • 정은지;이형식;문성록;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65-72
    • /
    • 1991
  • 1977년 7월부터 1987년 6월까지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135명의 비인강암 환자 중 치료시작 당시 조직학적으로 늑진되지 않았던 환자, 원격전이를 동반하고 있었던 환자 및 방사선 치료를 완료하지 못한 환자 30명을 제외한 105명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전이의 빈도, 양상 및 예후를 분석하였다. 원격전이 진단은 임상증상과 방사선 소견으로 하였으며, 대상환자 105명중 원격전이를 보인 환자는26명으로 원격전이율 $24.8\%$였으며, 원격전이의 장기는 이전의 다른보고들에서와 마찬가지로골전이 $(50.0\%)$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 $(19.3\%)$, 간$(11.5\%)$, 뇌 $(7.7\%)$ 순서였다. 원격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연령, 성별, AJC의 T병기, N병기, Ho의 T병기, N병기, 조직 세포유형 및 치료방법등을 분석해 보았으나 Ho의 N병기에서만 NO, N1, N2, N3로 감에따라 원격전이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원격 전이 발생시기는 환자의 $80.8\%$에서 방사선 치료시작부터 2년이내에 일어나는 것을보여 비교적 조기에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원격전이가 발생한 26명의 환자에 있어서, 원격전이후 생존율을 살펴보면 중앙 생존치가 9개월이었고 1년생존율 $60\%$, 2년 생존율 $20\%$를 보여 비인강암 환자에서 일단 원격전이가 발생하면 그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r Malignant Skin Melanoma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 Majewski, Wojciech;Stanienda, Karolina;Wicherska, Katarzyna;Ulczok, Rafal;Wydmanski, Jerz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709-5714
    • /
    • 2015
  • Aim: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malignant skin melanoma and prognostic factors for distant metastases (DM),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13 patients with malignant skin melanoma (60 females, 53 males, average age-55 year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Primary treatment consisted of local excision. In 12 cases, it was accompanied by lymph node excision. In 93 (82%) cases, radicalization was necessary, which was either local only (19 cases) or accompanied by lymph node surgery/biopsy (74 cases). Possible prognostic factors such as Clark's stage and Breslow's depth of invasion, ulceration, average tumor dimensions, lymph nodes metastases (pN+), gender, tumor location and primary excision margins were considered. Results: In 51 (45%) cases, treatment failure occurred. The 5-year DM rate was 47%, the 5-year DFS was 38%, and the 5-year OS was 56%.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important factor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ndpoint included Clark's stage, Breslow's depth of invasion, ulceration, average tumor dimensions, lymph nodes metastases, gender and primary tumor localization. The presence of metastasic nodes wa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with a 5-year DM rates of 30% for pN(-) and 76% for pN(+) and a 5-year DFS and OS of 56% and 76% for pN(-) and 13% and 24% for pN(+), respectively. The average tumor dimension was independently significant for DFS and OS, with 5-year rates of 69% and 80% for ${\leq}1cm$, 28% and 53% for 1-2 cm, and 18% and 30% for >2 cm, respectively. Tumor location was also significant for DM and OS, with 5-year rates of 69% vs 33% and 41% vs 66% for trunk vs other location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natural course of a malignant skin melanoma treated radically is disadvantageous, with unsuccessful outcome in nearly half of the cases. Common clinical factors, such as Clark's tumor stage, Breslow's depth of invasion and the presence of metastatic nodes, have high prognostic significanc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primary lesion may be considere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The most important negative prognostic factor is the presence of metastatic regional lymph nodes. Only one quarter of patients with metastases in lymph nodes survive 5 years from primary surgery.

두경부에 생긴 선양 낭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김원동;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5-41
    • /
    • 1992
  • 1979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8명의 환자가 두경부에 생긴 선양낭포암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명의 환자는 대타액선의 병변이었고 나머지 33명의 환자는 주로 경구개와 상악동을 침범한 소타액선의 병변이었다. 11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았으며 37명의 환자에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49.5개월 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5년에 $71.1\%$,10년에 $44.3\%$였으며 근치적인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경주위로의 침범여부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는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한 경우에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field size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40\%$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폐를 침범하였다. 원격전이 이후의 생존율은 5년에 $19.5\%$로서 원격전이가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생존율은 5년에 $79.0\%$, 10년에 $19.2\%$였으며 8년 이후에도 생존율은 계속 감소하였다. 무병생존율은 5년에 $45.8\%$,였으며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한 그룹과 대타액선의 병변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선양 낭포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함으로써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된 췌장암에서 방사선치료의 결과분석 (The Results of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 장현수;강승희;김상원;전미선;조선미;임준철;오영택;강석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145-152
    • /
    • 2009
  •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에서 방사선치료 및 동시화학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성적과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된 췌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30 Gy 이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5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AJCC 병기에 따라 IIA부터 III까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중앙값 39 Gy를 조사하였고 38명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였는데 cisplatin, 5-FU, gemcitabine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결 과: 추적관찰기간은 2~40개월(중앙값 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 1년, 2년 생존율은 각각 7개월, 15.7%, 5.9%이었다.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치료 전 CA19-9, 전신수행상태, 항암화학요법의 종류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동시화학방사선치료군의 중앙생존기간은 8개월, 방사선단독치료군은 6개월이었다. Gemcitabine 단독 및 gemcitabine을 포함한 조합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0개월로 방사선치료만 받은 환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재발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23명의 환자 중 18명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고 4명의 환자에서 림프절전이가 있었다. 부분관해 혹은 안정병변을 보였던 환자 중 원발병소의 크기가 커진 환자가 14명이었다. 원격전이까지의 기간을 확인할 수 있었던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A19-9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치료 전 정상 CA19-9인 환자의 원격전이까지의 중앙기간이 20개월인 반면 200 U/ml 이상인 경우에는 2개월에 불과하였다. 결 론: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된 췌장암 환자에서 gemcitabine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이 생존율 증가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치료 전 CA19-9의 상승 정도가 환자의 예후 및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