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liz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전치부 및 치은의 노출량과 교합평면의 캔팅을 고려한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전치열의 원심이동 (TAD driven whole dentition distalization with special considerations for incisal/gingival display and occlusal canting)

  • 백철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33-343
    • /
    • 2019
  • Many orthodontists face difficulties in aligning incisors in an esthetically critical position, because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beauty fluctuates with time and trend. Temporary anchorage device (TAD) can aid in attaining this critical incisor position, which determines an attractive smile, the amount of incisor display, and lip contour. Borderline cases can be treated without extraction and the capricious minds of patients can be satisfied with regard to the incisor position through whole dentition distalization using TAD. Mild to moderate bimaxillary protrusion cases can be treated with TAD-driven en masse retraction without premolar extraction. Patients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can be the biggest beneficiaries because both sufficient maxillary incisal display, through intrusion of mandibular incisors, and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dentition are successfully achieved. In addition, TAD can be used to correct various other malocclusions, such as canting of the occlusal plane and dental/alveolus asymmetry.

  • PDF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전치열 후방이동 절충치료의 안정성 (Stability of camouflage treatment using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송호진;유형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44-351
    • /
    • 2019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a relatively common form of malocclusion in Korea. In borderline cases where only mild skeletal discrepancy exists and if worsening of the facial profile is expected as a result of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with miniscrews is the treatment of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an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factors such as initial skeletal pattern, 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alveolar bone in symphysis region using lateral cephalograms.

  • PDF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상악구치부 후방이동장치 효과 (Noncompliance screw supported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n a parallel manner)

  • Nalcaci, Ruhi;Bicakci, Ali Altug;Ozan, Fati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0-259
    • /
    • 2010
  • 상악 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한 구강 내 장치 중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은 제II급 부정교합의 개선에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소개하고 그 효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Angle Class II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여자 11명, 남자 10명; 평균 연령 14.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2개의 스크류를 incisive foramen 후방에 식립하고, 식립한 즉시 힘을 주어 상악 제1대구치의 후방이동에 사용하였다. 상악 구치를 후방이동시켜 제I급 구치관계를 얻기 위해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사용하였다. 치료 전후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과 3차원 모델 분석을 통해 골격 및 치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악 구치는 평균 3.95 mm 후방이동하였고, 추가적인 고정원 소실 없이 제I급 구치관계를 확립하였다. 상악 대구치는 $1.49^{\circ}$ 후방경사 되었고, 회전된 정도는 좌우 각각 $0.74^{\circ}$, $0.54^{\circ}$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새롭게 고안된 장치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어 환자의 협조도를 요하지 않으며 특별한 고정원 소실 없이 구치의 치체이동을 통한 후방이동을 얻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natomical factors of the maxillary tuberosity that influence molar distalization

  • Diego Fernando Lopez;David Acosta Olmos;Monica Andrea Morales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39-246
    • /
    • 2024
  • Objective: To examine the areas of the maxillary tuberosity (MT) (coronal, apical, width, and height) with respect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ird molar to establish possible anatomical limitations for molar distalization. Methods: A total of 277 tuberosities were evaluated through sagitt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divided for measurement into coronal (free of bone), apical (area of influence of the maxillary sinus), and tuberosity (bony area) zones, and stratifi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ird molar, sex, and two age subgroups.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considering the third molar. Results: The medians of the width and height of the tuberos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bsence of the third molar (P < 0.001). The apical area also showed differences, with negative values in the absence of the third molar and positive values in the presence of the third molar (P < 0.001).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coronal area (P > 0.05). Conclusions: In the absence of the third molar, the size of the MT, represented by its width and height, was smaller and negative values (decrease) were observed for the maxillary sinus. The sagittal C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amount of bone tissue available for distaliz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second molar with respect to the maxillary sinus, which allows individualizing each case in relation to the amount and type of movement expected.

Comparative evaluation of molar distalization therapy using pendulum and distal screw appliances

  • Caprioglio, Alberto;Cafagna, Alessandra;Fontana, Mattia;Cozzani, Mau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71-179
    • /
    • 2015
  • Objective: To compare dentoalveolar and skeletal changes produced by the pendulum appliance (PA) and the distal screw appliance (DS) in Class II patients. Methods: Forty-three patients (19 men, 24 wom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for the study. Twenty-four patients (mean age, $12.2{\pm}1.5years$) were treated with the PA, and 19 patients (mean age, $11.3{\pm}1.9years$) were treated with the DS. The mean distalization time was 7 months for the PA group and 9 months for the DS group. Later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at T1, before treatment, and at T2, the end of distalization. A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comparisons of the two groups between T1 and T2. Results: PA and DS were equally effective in distalizing maxillary molars (4.7 mm and 4.2 mm, respectively) between T1 and T2; however, the maxillary first molars showed less distal tipping in the DS group than in the PA group ($3.2^{\circ}$ vs. $9.0^{\circ}$, respectively). Moreover, significant premolar anchorage loss (2.7 mm) and incisor proclination ($5.0^{\circ}$) were noted in the PA group, whereas premolar distal movement (1.9 mm) and no significant changes at the incisor ($0.1^{\circ}$) were observed in the DS group. No significant sagittal or vertical skeletal changes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distalization phase. Conclusions: PA and DS seem to be equally effective in distalizing maxillary molars; however, greater distal molar tipping and premolar anchorage loss can be expected using PA.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A PENDULUM APPLIANCE)

  •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1
    • /
    • 2008
  •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시키며, 구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 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 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근심이동된 상악 대구치에서 Open Coil Jig 장치를 이용한 치험례 (DISTALIZATION OF THE MESIAL DRIFTED UPPER FIRST MOLAR WITH OPEN COIL JIG IN THE MIXED DENTITION: A CASE REPORT)

  • 김병창;김진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86-490
    • /
    • 1994
  • Maxillary first molar is the key in normal occlusion. Mesial drifting of maxillary first molar result form early loss of second deciduous molar. Mesial drifted maxillary first molar was treated by headgear, Hawley appliance with screw, brasswire, etc. But, these appliance should be necessary for patients cooperation. Recently, several appliance for molar distalizing without patients cooperation has been introduced. We are reporting in this paper about distalizing of mesial drifted maxillary first molar because of early loss of deciduous second molar by open coil jig. Distalization of molar by open coil jig is predictable, rapid, painless method without mecesscity of patient cooperation.

  • PDF

Distalization with a modified C-palatal plate for severe upper crowding and a missing lower incisor

  • Park, Jae Hyun;Saito, Traci;Yoo, Sun Kyong;Alfaifi, Mohammed;Kook, Yoon-A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2-62
    • /
    • 2020
  • This case report presents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25-year-old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 and severe maxillary arch crowding, moderate mandibular arch crowding, anterior crossbite, and a missing lower incisor. He was treated with molar distalization using a modified C-palatal plate and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o create sufficient space for retraction.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was 21 months. After treatment, his occlusion and smile esthetic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 modified C-palatal plate represents a treatment modality that enhances the prospects of non-extraction treatment and reduces the need for extraction.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activator를 이용한 성장기 II급 부정교합환자의 구치부 원심이동 치험례 (C-activator treatment for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in Class II anterior deep bite malocclusion)

  • 김성훈;정규림;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9-277
    • /
    • 2004
  • 혼합 치열기의 교정치료 증례 중에서 경도의 총생을 가진 경우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함으로서 양호한 치료의 결과를 얻는 경우가 많다 주로 악외 견인장치를 적용하여 원심이동을 시행하지만 환자의 협조도에 따라 구치의 원심이동이 결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구강내 고정원 사용시 생길 수 있는 반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에 의해 개발된 C-space regainer는 후방이동 시키고자 하는 치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치아들을 완벽하게 묶음으로서 효과적인 후방이동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후속영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으로 매복 치에 의한 인접치의 치근손상이 예상되는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기능 교정장치에 t-space regainer의 개념을 적용한 변형된 C-space regainer, 즉 C-activator가 사용되어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어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