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l gastric cancer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 후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과 B-I 위십이지장문합술의 비교 (Comparison of an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with a Billroth I Gastroduodenostomy after Totally Laproscopic Distal Gastrectomy)

  • 김진조;김성근;전경화;강한철;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39-145
    • /
    • 2007
  • 목적: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는 잔위로의 담즙 역류와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원위부위절제술 후 전복강경하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TLuRYGJ)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TLuRYGJ를 시행 받은 19영의 환자들과 같은 기간에 전복강경하 Billroth I 위절제술(TLB-I)을 시행 받은 11명의 환자들의 수술 후 6개월째 조사한 Visick 분류, 식습관,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된 위장관 증상, 내시경 검사 소견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에 조사한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한 위장관 증상과 Visick 분류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TLuRYGJ 군 환자들 중 담즙 역류성 위염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는 한 명도 없었고 투약을 요하는 위 지연배출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가 한 명(5.3%)있었다. 수술 후 6개월째 위 내시경 검사 소견에서 TLuRYGJ 군에서 TLB-I군에 비해 담즙 역류성 잔위염이 더 적은 소견을 보였다. 결론: TLuRYGJ는 담즙 역류성 위염과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 PDF

The impact of lymph node count on survival in gastric cancer

  • Ahn, Ha Rim;Han, Se Wung;Yang, Doo Hyun;Kim, Chan Young
    • 대한종양외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0-12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munologic role of lymph node (LN) and stage migration by assessing LN count and metastatic LN count. Methods: A total of 2,117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located in the body and antrum who underwent distal/subtotal gastrectomy with D2 LN dissection between January 1, 1998 and December 31, 2008 were enrolled. LN count and number of metastases were determined in the N1 tier (area of D1 dissection) and N2 tier (area of D2 dissection). The lower and upper quartiles of LN counts in the same pN stage were grouped to compare the prognosis and LN positivity according to the LN tier. Results: Stage migration from N1 tier to N2 tier occurred in 3.2% of cases. The 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of the upper and lower LN count groups within the N1 tier were 91.0% and 86.7% (P=0.01), respectively. LN positivity in the N2 tier of the lower LN cou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LN count group (14.1% vs. 8.2%, P<0.01). Stage migration in the N2 tier of the lower LN count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LN count group (4.6% vs. 1.8%, P<0.01). Conclusion: The lower LN count group had a decreased survival rate compared to that of the upper LN count group, suggesting that perigastric LN has an immunological defense role in weakening the disseminating power of metastatic tumor cells, as indicated by the LN count.

원형 봉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연결술 시 단측연결과 단단연결의 비교 (Comparison of End-to-side and End-to-end Anastomosis in Circular Stapled Gastroduodenostomy)

  • 서민우;김용진;송단;강길호;조규석;이문수;허경열;김재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2호
    • /
    • pp.57-62
    • /
    • 2009
  • 목적: 원형 봉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연결술의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단측연결과 단단연결)의 수술 후 결과를 토대로 그 장단점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고안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순천향 대학병원에서 위암 진단 하 위십이지장 연결술을 시행한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6년 9월까지는 연속적으로 단측연결을(단측군, 76명), 2006년 11월부터 2008년 2월까지는 연속적으로 단단연결을 시행했다(단단군, 58명). 두 군을 대상으로 전향적 자료 수집을 통해 수술후 경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근간 모든 임상병리학적 요인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단측군이 157분($\pm56$), 단단군이 150분($\pm49$)이었으며, 입원기간의 경우 단측군이 10.5일($\pm3.5$), 단단군이 9.4일($\pm2.9$)로 이 역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과 관련해서 전체적으로 단측군이 15예(19.7%), 단단군은 8예(13.8%)에서 발생하였으며(P=0.489), 연결부위 관련해서 단측군에서 출혈이 2예 및 협착이 2예 있었으며, 단단군의 경우 출혈이 2예에서 있었다(P=0.698). 결론: 원형 봉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연결술은 두 방법 모두 기술적으로 용이하며 안전하였다. 통계적 의의는 없었지만, 연결 부위 협착과 관련해서는 단측군에서만 2예 발생하여 단단군이 더 나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 문합부 합병증과 예방책 - (Circular Stapled Billroth I Anastomosis after Distal Subtotal Gastrectomy - Anastomotic Complications and Prevention -)

  • 이문수;강길호;조규석;김용진;김형수;이화수;김성용;백무준;김창호;조무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103-108
    • /
    • 2006
  • 목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안정성과 간편함, 신속성 등 여러 장점으로 인해 점점 그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기계문합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고찰을 통해 이 술식의 안전성을 위해 보완해야 될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하여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한 5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합부위의 출혈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시작하였던 2001년 1월을 기점으로 그 이전을 제1군(n=219), 그 이후를 제2군(n=375)으로 분류하여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문합부와 관련된 술후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합병증 비교에서, 문합부의 누출은 제1군이 4예(1.8%), 제2군이 3예(0.8%) 발생하였고(P=0.196), 문합부 협착은 두 군 모두 발생하지 않아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출혈은 제1군이 43예(19,6%), 제2군이 2예(0.5%)로 제1군에서 많게 나타났다(P=0.019). 결론: 위암 환자의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이 술식이 갖는 여러가지 장점으로 권장되는 술식이나, 문합부 출혈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어 술 중 문합부 출혈 유무를 육안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기계문합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연속된 77예의 경험 (Laparoscopy 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77 Consecutive Cases)

  • 이중호;송재원;오성진;김성수;최원혁;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06-212
    • /
    • 2007
  • 목적: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의 하나로 점차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 등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여 술기상의 가능성과 안정성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2003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D1+$\beta$ 림프절 절제술 및 Roux-en-Y 재건술을 시행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수는 각각 49명, 28명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210분(범위 100-400)이었고 각 수술 시간은 수술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 차 감소하였다. 수술 후 13예(16.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사망한 예는 없었다. 장관 운동은 평균 수술 후 3.2일에 회복되었고, 수술 후 연식을 시작한 시기는 4.4일,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10일이었다. 위의 절제연은 근위부 원위부 각각 평균 3.1 cm, 10.7 cm로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였으나 한 예에서 원위부 절제연에 현미경적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다.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alpha$가 2예(2.6%), D1+$\beta$가 55예(71.4%), D2가 20예(26.0%)이었고 평균 절제된 림프절 수는 41.8개이었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을 때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임을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앞으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개복 수술의 전향적인 비교 연구와 장기 생존율 등 종양학적인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uccessful Robotic Gastrectomy Does Not Require Extensive Laparoscopic Experience

  • An, Ji Yeong;Kim, Su Mi;Ahn, Soohyun;Choi, Min-Gew;Lee, Jun-Ho;Sohn, Tae Sung;Bae, Jae-Moon;Kim,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1호
    • /
    • pp.90-98
    • /
    • 2018
  • Purpose: We evaluated the learning curve and short-term surgical outcomes of robot-assisted distal gastrectomy (RADG)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experienced in open, but not laparoscopic, gastrectomy. We ai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RADG without extensive laparoscopic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12 and December 2016, 60 RADG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using the da $Vinci^{(R)}$ Surgical System (Intuitive Surgical). Patient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the learning curve, surgical parameters, and short-term postoperative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Results: The duration of surgery rapidly de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case; after 25 procedures, the duration of surgery was stabilized, suggesting that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Cas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25 cases before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early cases) and 35 later cases.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was 420.8 minutes for the initial cases and 281.7 minutes for the later cases (P<0.001). The consol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during the later cases (168.6 minutes) than during the early cases (247.1 minutes) (P<0.001). Although the volume of blood loss during surgery declined over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nd later cases. No other postoperative outcomes differed between the 2 groups. Pathology reports revealed the presence of mucosal invasion in 58 patients and submucosal invasion in 2 patients. Conclusions: RADG can be performed safely with acceptable surgical outcomes by experts in open gastrectomy.

Five-year follow-up after pancreatoduodenectomy performed for malignancy: A single-centre study

  • Thomas Brendon Russell;Peter Lawrence Zaki Labib;Somaiah Aroori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6-86
    • /
    • 2023
  • Backgrounds/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short- and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pancreatoduodenectomy (PD) at a typical United Kingdom hepatopancreatobiliary uni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ll PD patients with histologically-confirmed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ampullary adenocarcinoma (AA), or distal cholangiocarcinoma (CC) from September 1st, 2006 to May 31st, 2015 was carried out.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obtained: demographics, comorbidities, preoperative investigations, neoadjuvant treatment, operative details, postoperative management, complications, adjuvant treatment, five-year recurrence, and five-year survival. Effects of selected preoperative variables on short- and long-term outcomes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271 included patients, 57.9% had PDAC, 25.8% had AA, and 16.2% had CC. In total, 67.9% experienced morbidity and 17.3% developed a Clavien-Dindo grade ≥ III complication. The 90-day mortality was 3.3%. Clinically-relevant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 bile leak, gastrojejunal leak, postpancreatectomy haemorrhage and delayed gastric emptying affected 8.1%, 4.1%, 0.0%, 9.2%, and 19.9% of patients, respectively.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grade III-VI correlated with overall morbidity (p = 0.002) and major morbidity (p = 0.009), but not 90-day mortality or five-year survival.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serum bilirubin > 29 µmol/L and/or a neutrophil/lymphocyte ratio > 3.1. Five-year cancer recurrence and five-year survival were 68.3% and 22.5%, respectively. PDAC patients had higher five-year recurrence but lower five-year survival rates (both p = 0.001). Conclusions: In our series, the majority of patients experienced a complication. However, few patients experienced major morbidity. Surgical risk factors did not affect five-year survival.

관상동맥우회 이식편으로서의 우위대망동맥의 조직학적 특징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ght Gastroepiploic Artery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이현우;송현;유동곤;임한중;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883-890
    • /
    • 1999
  • Long term patency of arterial graft has been better than venous graft and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alternative arterial grafts except internal thoracic artery(ITA). Material and Method: Right gastroepiploic arteries(RGEA) were harvested from 100 patients who had received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or ulcer. ITAs were obtained from 10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length of RGEA was measured from the pyloric ring. Items of the morphometric and histologic study at the pyloric ring and sites of the 10cm and 20cm RGEA from the pyloric ring were luminal diameter,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intimal thickness index, medial thickness index, and th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Similar items were applied to the proximal site of ITAs. Result: The length of RGEA was 23${\pm}$2.7cm(range 17∼31cm). Comparing the 20cm RGEA with ITA,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and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did not show any difference(p>0.05). However, 20cm RGEA was greater than ITA at the luminal diameter, intimal thickness index, and the number thickness and wall thickness in each site of the RGEA(pyloric ring, 10cm, 20cm) decreased from the pyloric ring to the distal sites(p<0.05). The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and th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he pyloric ring and 10cm, however, those of 20cm were smaller than these sites(p<0.05). RGEA had mor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and rich smooth muscle cells in the media than ITA. Conclusion: The length and diameter of RGEA is good enough to reach most of the coronary arteries. Moreover, long term patency of RGEA may be improved, if anastomosed in the distal site.

  • PDF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에서 매듭 대용으로서의 Pledget의 유용성 (Pledget as a Useful Substitute for a Knot in Intracorporeal Continuous Gastrointestinal Suturing)

  • 김진조;송교영;김성근;전경화;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46-151
    • /
    • 2007
  • 목적: Pledget은 주로 심혈관계 수술에서 매듭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PTFE 재질의 섬유조각이다. 연구자들은 복강경 수술에서 복강 내 매듭짓기의 횟수를 줄임으로써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을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pledget을 매듭의 대용으로 이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전복강경하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32명의 환자들을 복강 내 문합의 방법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각 군간의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복강 내 문합에서 기본적으로는 선형문합기를 사용하였지만 A군에서는 공장공장문합부와 위공장문합부의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pledget을 이용한 손바느질로 막았고, B군에서는 공장공장문합부의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기존의 손바느질로 막았으며, C군에서는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모두 선형문합기로 막았다. 결과: A군에서의 손바느질의 양이 B군에 비해 훨씬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문합시간은 두 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C군의 문합시간보다는 A군의 문합시간이 더 길었다. 사용한 선형문합기 카트리지의 수는 세 군중 A군에서 가장 작았다. B군에서는 복강 내 손바느질 도중에 봉합사가 끊어지는 예가 2예 있었으나 A군에서는 그러한 예가 한 예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Pledget은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에서 매듭의 수를 줄여 문합시간을 단축하는 데 유용하였다.

  • PDF

불완전 절제된 위암의 방사선 치료 (Radiotherapy in Incompletely Resected Gastric Cancers)

  • 김종훈;최은경;조정길;김병식;오성태;김동관;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1998
  • 목적 : 위암치료에 있어 완전절제수술후 임상적 국소재발이 $30-4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시행은 아직 그 역할이 분명치 않다. 반면 완전절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위암에서는 원발병소 부위의 국소발소 위험성이 매우 높아 추가적인 국소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줄일 수 있는지, 또한 생존율향상을 얻을 수 있는지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불완전 절제된 25명의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체 25명의 환자 중 선세포암이 23명, 평활근육종이 2명이었고, 수술은 위전절제수술(Total gastrectomy) 5명, 위부분절제술(Subtotal gastrectomy) 20명이었다. 병기별로는 I B 1명, II 2명, III A 11명, III B 10명, IV 1댕이었으며 불완전 절제부위는 원위절제면(dlstal resection margin) 17명, 근위절제면(proxlmal resection margin) 5명, 간 절제면 1명 및 기타 장기 절제면 2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총 6회의 FP 항암화학요법중 회차와 동시에 시작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조사선량은 44.6Gy-59.4Gy 범위였고 중앙선량은 55.8Gy였다. 결과 :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가 정해진 양의 방사선 치료를 마칠 수 있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 $15\%$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고 중증도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5명에서 관찰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다. 전체 25명중 12명에서 재발이 있었으며 조사야내 국소재발은 7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문합부위재발 3명, 인접조직 3명, 임파절 1명이었다. 반면 원격전이는 10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복막전이 6명, 간 전이 2명, 쇄골상임파절 및 대동맥 임파절등 원위임파절 전이가 3명이었다. 환자의 현 상태는 무병생존 11명, 위암과 관련 없는 사망 2명, 위암으로 인한 사망 10명, 재발상태의 생존 2명 등이다. 4년 무병생존율과 질병관련생존율(disease specific survival)은 각각 $48\%$$40\%$였으며 중앙생존값은 35개월, 중앙무병생존값은 26개월이었다. 원발병소 위치, T-stage, N-stage, Stage, 방사선량 등은 생존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은 큰 부작용 없이 시행되었으며 치료후 실패양상은 원격전이가 가장 많았고 국소재발은 7명($28\%$)에서 발생하여 문헌상 관찰된 완전절제수술후 국소재발수치과 비슷하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환자 수가 적어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불완전 절제수술 후 원발병소 부위에 잔류암세포가 존재하는 상태인 점을 고려할 때,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억제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