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ns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9초

재가노인 생활지원기기에 대한 한국 여성노인의 인식 - 알약분배기, 비디오폰, 활동모니터, 취침모니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pinion of Korean Feminine Seniors on the Life Support Appliances for Healthy Ageing - Medication Dispenser, Video Phone, Activity Monitor, Sleep Monitor -)

  • ;박경옥;김선중;권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83-9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opinion of Korean feminine seniors on the life support appliances for their healthy ageing: medication dispenser, video phone, activity monitor and sleep monitor. The focus group interviews, asking the usability of the appliances, were answered by each 6 feminine seniors of more than 65 years, residing in Corvallis of U.S.(group I), Cheongju(group II), and Ulsan(group III)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dication dispenser proved to be very useful to all the respondents. All the seniors, who take more than one medicine a day, felt it helpful that the medication dispenser makes them to take medicines at fixed time. In addition, they hoped the medicine envelope to be developed for the dispenser use by the supply side. (2) The seniors showed interest in the manner the video phone works; to work by the voice, rather than by the finger. They expressed the hope of the video phone to display the communication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ir weakening hearing. (3) The seniors who live alone, especially, felt intimacy to the activity monitor, thinking as if some helpers were beside them. The fact that it can send emergency calls immediately when situations happen, gave the seniors emotional safety as a patron. (4) The sleep monitor, although essential to the serious cases without moving ability, was proved less necessary to the healthy seniors. They expressed the hope of this appliance to be evolved for the use with the mattress without bed.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용 왁스형 페로몬방출기와 그 적용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for Mating Discrup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Its Application Technique)

  • 정성채;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배성우;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3
    • /
    • 2008
  •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를 제작하여 사과원에 발생하는 복숭아순나빙(Grapholita molesta)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미교란제로 응용하였다. 아울러 이 왁스형 교미교란제의 방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처리량에 따른 복숭아순나방의 교미교란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교미교란 효과를 모니터링 페로몬 트랩 및 먹이트랩에 유인되는 누적 성충 밀도의 감소 및 기주 식물의 피해로 분석한 결과 왁스형 교미교란제 처리량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왁스형 교미교란제를 기준량(350평당 120 g)으로 처리한 결과,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교미교란제($Isomate^{(R)}$)와 뚜렷한 차이 없이 복숭아순나방 밀도 억제와 과실피해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또한 교미교란 처리지역 가장 자리에 먹이트랩을 배치할 경우 비처리지역에서 유입되어 오는 교미한 암컷의 이동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뤄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는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제로 응용될 수 있으며, 과수원 주변에 배치하는 먹이트랩과 혼용하는 경우 교미교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젯팅 디스펜서 변위확대장치의 응답지연 개선 연구 (Improvement for Response Delays of Displacement Magnifier in Jetting Dispenser)

  • 하명우;이광희;홍승민;이철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546-55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delays between piezo-stack actuator and the displacement magnifier of jetting dispenser and to reduce its falling time in terms of displacement optimization. The dispenser is driven by the dual piezo-stack actuators with a hinge lever mechanism to precisely control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3000 cP). It is commonly found that piezo actuator-driven jetting dispensers involving viscous working fluids have displacement optimization problem for ideal performance. The response delay of the system is caused by the phenomenon that the displacement magnifier cannot exactly follow the motion of the piezo actuators. The response delay may lower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due to the inaccurate discharge of working fluid or even damages to the system itself due to inharmonious motion of piezo actuators with lever system. To reduce its response delay, a new displacement profile obtained from displacement optimization is suggested; its performance is test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obtained displacement profile.

은행자동화기기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banking automation device design development)

  • 오성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2-465
    • /
    • 2006
  • 근년에 들어 신용거래 문화가 확산되는 한편 고객에 대한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업무의 효율성 재고라는 의미에서 은행 업무의 자동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고객에 대한 현금 지불 처리의 자동화는 현재 계속 진행되어 업체간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들어 본격 은행자동화기기(BANKING AUTOMATION SYSTEM)화를 추구하는 각 은행들은 보다 더 원활한 전산업무화와 질적으로 높은 고객서비스를 위해 현금자동인출기(CASH DISPENSER)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현금자동인출기를 제작하는 MAKER들도 선두주자로서의 M/S 확보를 위해 다각도로 현금자동인출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금인출 자동화 기기인 CASH DISPENSER는 이제 일반화되어 기능의 다양화와 DESIGN이 COMPACT화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 상황 하에서 실제로 현금자동인출기(CASH DISPENSER)를 개발을 하였던 과정을 근거로 하여 보다 더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자동인출기(CASH DISPENSER)제안을 사례 형식으로 살펴 보고 앞으로의 DESIGN 개발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 PDF

두 가지 상용 교미교란제의 야외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수컷 유인교란 효과 비교 (Field Assessment of Two Commercial Sex Pheromone Mating Disruptors on Male Orientation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 정성채;박천우;박만웅;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수컷 유인력 교란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Isomate^{(R)}$-M ROSSO를 다른 형태의 방출기인 $SPLAT^{(R)}$과 야외 적용 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방출기인 Isomate의 과거 3년간 교미교란 효과를 분석하였고, 이후 두 가지 방출기의 비교는 여러지역에서 지역내 반복을 설정하면서 동일 기간에 이뤄졌다. 무처리구에서 잡힌 수컷 밀도를 기준으로 복숭아순나방은 야외에서 4회 성충 발생기를 보이며, 월동세대의 밀도가 높음에 따라 이후 이어지는 생식세대의 크기가 높아진다는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 Isomate 방출기는 지난 3년간 포장에서 복숭아순나방 수컷 교미행동을 유의성있게 교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페로몬 방출기를 비교할 경우, SPLAT이 보다 우수한 교란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수컷 유인력에 있어서 차이점은 이 두 방출기에 포함된 주요 페로몬 화학성분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여겨진다.

세포 기반 고집적 스크리닝 시스템용 비접촉식 고정밀 마이크로 디스팬서 제작 (Development of a Non-contact Liquid Dispenser for High Contents Screening System)

  • 조성진;김인태;임근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6호
    • /
    • pp.581-585
    • /
    • 2016
  • 최근 고령화 사회에 진입과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료 수요가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이중 신약 개발은 의료분야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투자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약 개발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다양한 후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발굴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고속으로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기술 중 대표적 기술이 세포 기반 고집적 스크리닝 시스템(High Contents Screening, 이하 HCS) 기술이다. 이 HCS 시스템에서 다양한 물질을 한꺼번에 스크리닝하기 위해서는 다기능 고정밀 디스팬서 제작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CS 디스팬서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에어건과 압력 구동식 펌프를 이용한 새로운 컨셉의 비접촉식 디스팬서를 개발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한다.

현금 인출기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 (주) LG 전자 현금 인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A Design of Cash Dispenser - With a Focus on LG Co. Cash Dispenser -)

  • 오성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5-16
    • /
    • 1999
  • 근년에 들어. 신용거래 문화가 확산되는 한편 고객에 대한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업무의 효율성 재고라는 의미에서 은행 업무의 자동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데 고객에 대한 현금 지불 처리의 자동화는 현재 계속 진행되어 업체간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들어 본격 BANKING AUTOMATION SYSTEM화를 추구하는 각 은행들은 보다 더 원활한 전산업무 화 질적으로 높은 고객 서비스를 위해 CASH DISPENSER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CD를 제작하는 MAKER들도 선두주자로서의 M/S 확보를 위해 다각도로 CD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금인출 자동화 기기인 CASH DISPENSER는 이제 일반화되어 기능의 다양화와 DESIGN이 COMPACT화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 상황 하에서 실제로 CD 개발을 하였던 과정을 근거로 하여 보다 더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CD DESIGN 제안을 사례 형식으로 살펴보았고 앞으로의 DESIGN 개발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 PDF

압전 작동기로 구동되는 젯팅 디스펜서의 설계 및 제어 (Design and Control of Jetting Dispenser Driven by Piezoelectric Actuator)

  • 최민규;구오흥;윤보영;최승복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1165-1171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new type of jetting dispenser for the integrated circuit (IC) fabrication and surface mount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is featured by the piezoelectric actuator and hydraulic magnification device. After describing structural component of the dispensing mechanism and its operation principle, both the fluid modeling and the hydraulic magnification modeling are undertaken with a lumped-parameter method based on the analogy of the fluid system and mechanical system. A mathematical governing equation is then derived by integrating the fluid model with the mechanical model of the driving piston and piezoelectric actuator. Subsequently, in order to achieve a desired dispensing amount, control algorithm adjusting duty cycle of the driving voltage is synthesized and control responses are presented in time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