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infection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3초

전기-UV 복합 공정을 이용한 E. coli 소독 : 실험계획법중 박스-벤켄법을 이용한 소독 특성 및 최적화 (Disinfection of E. coli Using Electro-UV Complex Process: Disinfec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by the Design of Experiment Based on the Box-Behnken Technique)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89-900
    • /
    • 2010
  • The experiment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have been appli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electro-UV complex process for the disinfection of E. coli in the water. The disinfection reactions of electro-UV process were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power ($X_1$), NaCl dosage ($X_2$), initial pH ($X_3$) and disinfection time ($X_4$) being modeled by use of the Box-Behnken technique. The application of RSM using the Box-Behnken technique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E. coli number and test variables in actual variables: Ln (CFU) = 23.57 - 0.87 power - 1.87 NaCl dosage - 2.13 pH - 2.84 time - 0.09 power time - 0.07 NaCl dosage pH + 0.14 pH time + 0.03 $power^2$ + 0.47 NaCl $dosage^2$ + 0.20 $pH^2$+ 0.33 $time^2$. The model predictions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 ($R^2$ = 0.9987). Graphical response surface and contour plots were used to locate the optimum point. The estimated ridge of maximum response and optimal conditions for the E. coli disinfection using canonical analysis was Ln 1.06 CFU (power, 15.40 W; NaCl dosage, 1.95 g/L, pH, 5.94 and time, 4.67 min). To confirm this optimum condition, the obtained number of the residual E. coli after three additional experiments were Ln 1.05, 1.10 and Ln 1.12. These values were within range of 0.62 (95% PI low)~1.50 (95% PI high), which indicated that conforming the reproducibility of the model.

감마선을 이용한 Escherichia coli K12의 살균에서 persulfate의 효과 (Effect of Persulfate on 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K12 by Gamma Radiation)

  • 이오미;김태훈;유승호;정인하;이면주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7
    • /
    • 2011
  •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sulfate with gamma radiation on the disinfection efficiencies against Escherichia coli K12. The microorganism used for the disinfection experiments were prepared by transferring a bacterial stock culture into a 50 ml nutrient broth an incubating for 24 hrs at $37^{\circ}C$.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harvested culture was approximately $10^7$ to $10^9CFU\;ml^{-1}$. The culture solution was irradiated at different absorbed doses of 0.1, 0.2, 0.3, 0.4, 0.5, 0.7, and 1 kGy, respectively. The disinfection efficiency of persulfate with gamma radiation of 0.3 kGy against Escherichia coli K12 was 97.2% and while the gamma radiation only was 90.01% at 0.3 kGy. Therefore, it could be thought that addition of persulfate in the 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K12 can enhance the disinfection efficiency when it is used together with gamma radiation.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addition silicone impression disinfection

  • Azevedo, Maria Joao;Correia, Ines;Portela, Ana;Sampaio-Maia, Benedit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3호
    • /
    • pp.155-161
    • /
    • 2019
  • PURPOSE. Although dental impression disinfection is determinant to reduce the cross-infection risk,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in real practice, the disinfection procedures vary considerably.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iveness and the impact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ddition silicone' impressions of water wash and the most clinically used disinfection solutions: 3% hydrogen peroxide, commercial disinfectant MD520 (Durr) and 1% and 5.25% sodium hypochlor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investigation, dental impressions were taken on 16 volunteer dental students. The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each procedure was evaluated by pour plate method. The dimensional stability was evaluated using a standardized stainless-steel model, according to ANSI/ADA nº19 specification.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ater wash does not alter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ddition silicone impressions but doesn't reduce the microbial load of the material (P>.05). On the other hand, addition silicone disinfection by immersion with 3% hydrogen peroxide, MD520 (Durr), or sodium hypochlorite at 1% and 5.25% does not alter the dimensional stability significantly but reduces > 99.9% of the microbial load of the impressions (P<.001). CONCLUSION. Addition silicone impressions should always be disinfected after water wash in order to reduce effectively the cross-infection risk. All disinfectants tested showed high antimicrobial efficiency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ree-dimensional shape of impressions. Hydrogen peroxide and sodium hypochlorite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because are easily accessible in dental setting. The less explored hydrogen peroxide could be a valuable alternative for silicone impressions disinfection.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의 소독 실태 분석 (Analysis of Disinfection Practices in Foodservic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박민서;이혜연;배현주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3-11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difference in washing and disinfection when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tocol was applied to foodservice oper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Among the 116 foodservice operations surveyed, 67.2% were HACCP-compliant and 32.8% were not HACCP-compliant. Also, 62.9% served meals once daily, and 79.3% conducted food safety education once a month. Compared to HACCP non-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concerning worktables (p<0.001), food inspection tables (p<0.001),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p<0.01), serving tables (p<0.01), overflow and trenches(p<0.05), sinks (p<0.05), and insect attracting lamps (p<0.01). Similarly,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18 cooking utensils and personal tools such as food slicers (p<0.001), multiple cooking machines (p<0.05), tray carts (p<0.001), stainless steel tools (p<0.001), rubber gloves (p<0.05). Worktables (45.1%), serving tables (29.6%), sinks (37.0%), and scales (21.6%)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while food inspection tables (36.5%), food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31.2%), dish machines (34.2%), overflow and trenches (25.7%), and floors (25.8%) were most often disinfected 'once a day'. All cooking utensils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Chemical disinfec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in all foodservice facilities. To improve the food safety management of foodservice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CCP protocol and comply with the washing and disinfection manual.

기관절개술 환자의 Povidone 소독에 따른 포도상구균의 양상 (Aspects of Staphylococcus in Povidone Disinfection of Patients with a Tracheostomy)

  • 홍해숙;김윤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20
    • /
    • 2001
  • 본 연구는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의 기관절개부위에서 발견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해 povidon의 살균효과와 소독제 사용 횟수, 경과일수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2001년 1월 16일부터 2001년 2월 26일까지 D시내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35명의 기관절개환자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도상구균에 대한 povidone의 살균효과는 농도와 시간에 관계없이 강하게 나타났다. 1일 1회 소독 후 3일째부터 Staphylococcus aureus균이 검출되었고, 6일째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균은 1일부터 3일까지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4일째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소독횟수에 따른 균집락화 양상은 1일 1회 소독할 때보다 2회 소독시 황색포도상구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항생제에 대한 Staphylococcus aureus와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의 내성검사를 한결과 Staphylococcus aureus는 Methicillin에서 72.7%, Imipenem에서 63.6%가 내성을 나타냈으며,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는 Methicillin에서 37.5%, Imipenem에서 12.5%가 내성을 나타내었고, Vancomycin에는 모두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로써 기관절개환자의 절개부위에 대한 철저한 소독을 통해 병원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앞으로 더 많은 소독제와 다양한 균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모든 의료인은 철저한 병원감염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병원감염 예방과 간호 발전을 위한 소독전문인력을 양성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iO2 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음용수 중의 대장균 살균연구 (Disinfection of E.coli in Drinking Water by TiO2 Photocatalytic System)

  • 정진아;곽도환;오대웅;박동민;양오봉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1-17
    • /
    • 2012
  • 졸-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TiO_2$$TiO_2-SiO_2$ 광촉매를 이용한 음용수 중의 대장균 살균과 엔도톡신 제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장균 살균실험은 대장균이 포함된 물이 순환되는 annular-흐름식 광촉매 코팅 반응기에서 수행되었다. 대장균의 살균능은 $TiO_2$$TiO_2-SiO_2$ 광촉매의 아나타제 결정성피크의 세기와 비례하였다. UV-A 조사하에 $TiO_2$가 코팅된 반응기에서 2시간 내에 대장균을 100% 살균시킬 수 있었으며, 대장균 사멸시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엔도톡신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UV-C 조사하에서는 30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살균할 수 있었으나 엔도톡신이 완전히 제게되지 않았다. 따라서 광촉매와 UV-A 조사가 음용수 살균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증기훈증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프로브 소독기의 사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Possibility of using an Ultrasound Probe Sterilizer using the Steam Fumigation Method)

  • 하정민;허영철;한동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5-201
    • /
    • 2022
  • 초음파 검사는 프로브를 직접 수검자의 몸에 접촉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소독법이 필요하다. 특히 인체 내 점막과 접촉하는 직장/질 초음파 프로브의 경우 글루타알데히드(glutaraldehyde) 2% 용액에 20분 침지 또는 과산화수소수(H2O2) 7.5% 용액에 30분간 침지 등 높은 수준의 소독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단시간에 높은 수준의 소독을 진행할 수 있는 증기훈증 방식을 이용한 소독기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프로브를 균 채취용 면봉으로 스미어하여 세균을 검출하였고 기존의 7.5% 과산화수소수(H2O2)보다 높은 농도인 35% 과산화수소수(H2O2)를 사용하여 시간 대비 소독력을 비교하였다.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수(H2O2)에 의한 프로브 러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35% 과산화수소수(H2O2)에 85시간 10분 침지 후 프로브 러버의 경도와 표면 변화를 분석 의뢰하였고 소독력 평가를 위하여 증기훈증 방식을 이용한 소독기에 5분간 소독하여 세균 사멸 효과를 평가하였다. 프로브 러버에서 검출된 세균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소독력을 비교 평가하였을 때 과산화수소수(H2O2) 7.5% 용액에 비해 과산화수소수(H2O2) 35% 용액이 더 세균 사멸 효과가 좋았다(p<0.05). 35% 과산화수소수(H2O2)에 침지한 프로브 러버의 경도와 표면 변화를 관찰한 결과 큰 변화가 없었다. 증기훈증방식을 이용한 소독기에 검출된 세균을 도포하고 5분간 소독한 결과 100% 사멸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증기훈증 방식을 이용한 소독기는 기존의 방식보다 빠르고 강력한 소독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벼 종자소독 전 침종에 따른 소독효과 및 효율성 향상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by Soaking Seeds before Rice Seed Disinfection)

  • 윤여태;정종태;김규철;김병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3호
    • /
    • pp.137-146
    • /
    • 2022
  • 벼 종자소독은 키다리병 경감을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소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30℃의 고온에서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벼 종자소독(30℃에서 48시간)을 마친 종자는 유아의 길이가 파종하기에 짧아 적당한 유아의 길이가 될 때까지 추가적인 침종작업이 필요한데, 품종별로 유아의 생장속도가 달라 농민들은 수온을 조절하고 유아의 길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농작업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키다리병 방제효과를 높이면서 종자소독 후 즉시 파종이 가능한 소독방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벼 종자소독 전 찬물에 2일간 종자를 침종하고 고온으로 종자소독(30℃ 48시간) 하면 파종하기 적당한 유아의 길이(1 mm 내외)가 되었고, 관행 대비 성묘율은 차이가 없으면서 키다리병은 64%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종자를 찬물에 침종 후에 소독하는 새로운 소독 방법이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높은 이유를 구명하기 위해, 메틸렌블루 염색약을 이용하여 침종처리한 종자와 침종처리 하지 않은 종자를 염색한 결과 침종처리한 종자는 내부 및 외부 배유의 약 50%가 염색되었다. 따라서 종자소독 전 침종처리를 하면 소독약이 종자 내부의 배유까지 흡수되므로 내부에 있는 키다리병 포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소독방법은 종자소독 전 2일간 찬물로 침종처리 하면, 관행 방법 대비 침종작업시 수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벼 품종과 소독약 종류에 상관없이 유아의 길이는 1 mm 내외가 되어 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키다리병 발생을 관행대비 감소시킬 수 있어 농업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냉각탑수 수질이 Ru/Ti 전극을 이용한 Legionella pneumophila 소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Quality of Cooling Tower on Legionella pneumophila Disinfection Using Ru/Ti Electrode)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1-58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water quality of cooling tower on Legionella pneumophila disinfection using Ru/Ti electrode. The influences of parameters such as pH, turbidity, $CaCO_3$ and TOC were investigated using laboratory scale batch reactor. Oxidants such as free Cl, $ClO_2,\;H_2O_2\;and\;O_3$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of cooling tower had deteriorated disinfec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When the turbidity, $CaCO_3$ and TOC was increased, oxidants which was generated during electrolysis was decreased. pH, free Cl, $ClO_2\;and\;H_2O_2$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 whereas $O_3$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 The order of effect of water quality on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for Legionella pneumophila was turbidity > $CaCO_3$ > TOC > pH. To obtain the safety standard (1000 CFU/L), the simultaneous increase current and NaCl dosage was needed.

Trichloroisocyanuric Acid와 Calcium Hypochlorite의 농도 및 접촉시간에 따른 대장균의 사멸특성 (Disinfection Effect of Trichloroisocyanuric Acid and Calcium Hypochlorite on Escherichia coli in Water)

  • 김응수;강자경;박현주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314-316
    • /
    • 2002
  • 염소계 소독제인 TICA (Trichloro isocyanuric acid)와 calcium hypochlorite에 의한 대장균의 사멸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접촉시간과 소독제의 농도를 달리 하여 소독력을 측정하였다. 소독제의 농도는 4∼16 ppm으로 하고 접촉시간은 30sec, 1, 2, 4, 8 min으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TICA 12 ppm에서 4초만에 90%의 대장균이 사멸하였다. 하지만 calcium hypochlorite 12 ppm에서는 390초 동안 접촉시켜야 같은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햇빛에 의한 소독력의 감소를 측정한 결과 TICA는 햇빛에 6시간동안 노출되어도 소독력이 유지되었으나, calcium hypochlorite는 햇빛에 1시간만 노출되어도 소독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4시간만에 소독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본 실험조건 하에서는 TICA가 calcium hypo-chlorite보다 대장균에 대한 사멸률 및 소독지속력이 모두 우수하게 측정되었으며, 또한 본 연구결과로부터 동일한 소독 효과를 얻기 위한 소독제별 최적조건을 비교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