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h-in fa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상하악 제2소구치 발거 치료 증례 - III급 부정교합 경계증례의 치료전략 (Upper and lower second premolar extraction treatment case - Treatment strategy for Class III borderline cases)

  • 김태경;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2002
  • 경미한 총생이 있는 경계증례를 치료할 때 비발치로 치료계획을 세우면 심미성과 안정성이 문제될 뿐 아니라 치료 후의 재발이 우려되며,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게 되면 전치부의 과도한 후방견인으로 인하여 dish-in face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면 안모심미성의 훼손없이 총생을 해결하고 치료 후의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미약한 골격 부조화가 있고 경미한 총생이 있지만, 좋은 안모와 I급 구치관계를 가진 성 장 완료된 환자에서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 치료하여 치료결과가 양호하고 성공적으로 유지 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Le Fort I 골절술을 이용한 상악골 부정유합의 치료 : 증례 보고 (Treatment of Long Standing Malunited Maxillary Fracture by Le Fort I Osteotomy : Case Report.)

  • 이충국;양성익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7권12호통권127호
    • /
    • pp.923-926
    • /
    • 1979
  • In patient of long standing malunited maxillary fracture, maxillary osteotomy or refracture seems to be justifiable. This is a case of the patient, a 60 year old Korean female patient, presented a long-standing malunited maxillary fracture with dish-type face and functional disturbance in mouth opening. We performed upon her Le Fort I osteotomy only via labial-buccal horizontal incisions in one-stag operation. The result was good in esthetics and function.

  • PDF

Ethnic differences in attitudes, beliefs, and patterns of meat consumption among American young women meat eaters

  • Sung Eun Choi;Kyou Jin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1호
    • /
    • pp.73-90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Meat eaters face conflicts over meat consumption due to recent increasing demands for reduced-meat diets to promote human and environmental health. Attitudes toward consuming meat have been shown to be culture-specific.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cultural differences in attitudes, beliefs, and patterns of meat consumption among meat eaters in a group homogeneous in terms of age and sex but with diverse ethnicities. SUBJECTS/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New York City in 2014, 520 female meat eaters (Whites = 25%; Blacks = 20%; East Asians = 35%; Hispanics = 20%) aged 20-29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series of questions on meat consumption behaviors, which addressed amounts of consumption, cooking methods, past and future changes in meat consumption, and attitudes and beliefs regarding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and meat consumption.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ables on meat consumption. RESULTS: Blacks had the highest annual total meat consumption (64.2 kg), followed by East Asians (53.6 kg), Whites (46.9 kg), and Hispanics (35.8 kg). Blacks ate significantly more chicken than the other ethnic groups (P < 0.001), and East Asians ate significantly more pork and processed meat (P < 0.001). Regardless of ethnicity, grilling/roasting/broiling were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and vegetables were most consumed as a side dish.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 intention to decrease future meat consumption. East Asians more strongly perceived meat as a festive food (P < 0.001) and were less guilty about the slaughtering animals (P = 0.11) than other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thnic groups regarding negative attitudes to meat consump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ethnicities differ in terms of attitudes, beliefs, and patterns of meat consumption. Irrespective of ethnicity, the meat-eating participants almost unanimously demonstrated a willingness to reduce future meat consumption. It is hoped these findings aid the formulation of culturally-tailored interventions that effectively reduce meat consumption.

Le Fort II 골절단술을 이용한 비중안모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율에 대한 연구 (THE AMOUNT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FOLLOWING LE FORT II OSTEOTOMY)

  • 김명진;이안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63-69
    • /
    • 2000
  • Le fort II osteotomy is much useful technique to correct the midfacial hypoplasia including nasomaxillary complex especilly in patient with dish face appearance. Not in simple orthognathic surgery but in Le Fort II osteotomy, the standardization of prognostic value is essential in treatment planning to achieve satisfactory postoperative results. According to pervious reports,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s varies as to different surgical methods and different facial regions. But there are few report about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following Le Fort II osteotomy. So we tried to develop standarized soft tissue surgical treatment objective. We have followed up 16 patients, who had received Le Fort II osteotomy by one operator from 1990 to 1996, one year postoperatively. In cephalometrics, we used Frankfort line as horizontal reference line, and vertical reference line as one drawn from Sella to horizontal line perpendicularly. The landmarks are G to soft tissue G, N on reference line to soft tissue N, ANS to Pn and A to S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aving statistical significancy at G, N2, N3 point. 2. At G, N2, N3 point,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was 0.51, 0.98 and 0.80 respectively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hile at N1, ANS, A point, that was 0.72, 0.49 and 0.26 but did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is result shows much the same change of the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on the upper nasomaxilla, and less the same change on the lower maxilla and so the Le Fort II osteotomy can be recommended as a reliable effective operation method for correction of nasomaxillary retrusion.

  • PDF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The Method and Meaning of the Archiving Project of Suicide Survivors)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59호
    • /
    • pp.207-275
    • /
    • 2019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유족지원팀)와 자살유족 기록작업을 같이 했다. 자살유족지원팀은 자살유족의 심리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을 운영하고 있었다. 자조모임은 자살유족들이 모여 앉아 대화를 나누며 고통을 나누는 자리이다. 자조모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자 모임에서 리더역할을 수행하는 성원들이 생겼다. 이들이 모여서 글을 쓰는 에세이 모임을 구성했다. 아들을 먼저 보낸 아버지(2명), 딸을 먼저 보낸 엄마(2명), 아들을 먼저 보낸 엄마(1명), 남편을 먼저 보낸 아내(1명). 이렇게 6명의 사람들이었다. 에세이 모임은 사직공원 앞에 자리를 잡은 한 공간에서 매주 만났다. 한쪽 벽면 전체를 차지하는 창문으로는 저녁이 들어오고 있었다. 낮에 있었던 일들은 지는 해를 따라 갔다. 10명(에세이 모임 6명, 자살유족지원팀 3명, 임상역사가 1명)이 탁자를 가운데 두고는 빙 둘러 앉았다. "자,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자살유족 기록작업은 2013~2014년에 있었다. 교육적으로 중요하고 특수한 환자의 임상사례를 학회, 잡지에 보고하는 것을 의학에서는 증례(證例. case report)라고 한다. 자살유족들과 같이 했던 기록작업을 증례로 소개하는 형식을 취해 정리했다. 증례 형식을 취한 것은 기록을 말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말해야 하고, 인간을 말하기 위해서는 기록에 대해 말해야 하는 '인간과 기록의 상관성'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자살유족 기록작업에 대한 글이 이런 상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몇 년의 시간이 지났다. 당시 상황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거리가 확보되었을까? 그건 자신할 수 없지만, 작업의 과정과 방법을 서술하면서 '일상의 기록생산'에 대해 말해본다. 나아가 기록과 기록의 의미(인간)에 관한 몇 가지 단상을 말해본다. 1장에서는 기록의 출처를 다루었다. 그것은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기록하는가 하는 것이다. 기록이 무엇인가 보다는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앞서야 할 것 같다. 2장은 기록하는 형식에 관한 논의로 무엇을 위해 기록하는가, 무엇을 기록화 대상으로 삼는가, 어떤 기록형식이 필요한가 하는 것을 다뤘다. 3장과 4장은 일종의 기록방법론일 수 있는데, 3장에서는 쓰기, 4장에서는 대화를 다뤘다. 5장에서는 기록을 수용하는 의례를 다뤘다. 3개월이든 1년이든 자신이 기록했던 시간을 어떻게 수용하며 그 의미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6장에서는 논의의 지평을 넓혀 일상의 기록생산, 일상적 아카이브를 다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