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ursive Analysi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Russian's Public Diplomacy through Humanitarian Aid during COVID-19

  • Ignat, Vershinin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1권2호
    • /
    • pp.1-26
    • /
    • 2021
  • Applying discourse analysis of Russia's narrative on humanitarian aid and its perception by the Western collective identity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challenges that constructivism poses to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public diplomacy (PD).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positivist tendenc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D through models, this article expands the PD narrative by inquiring about the role of power, intersubjective knowledge, and collective identities in public diplomac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PD questions often ignored by researchers regarding how collective identities can exercise discursive power to interpret incoming narratives, which challenge domestic intersubjective knowledge. It also argues that, because the Russian political elite failed to ensure a coherent story and provide informational support for its humanitarian aid, the Western intersubjective knowledge on Russia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PD narratives. Thus, the article underscores the importance for P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how the socially constructed nature of knowledge can improve or harm PD strategies.

범죄 뉴스 노출과 다문화수용성 위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posure to Crime New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Risk)

  • 허윤철;임영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92-12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이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의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폈다. 또한 범죄에 대한 위험지각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외국인 범죄 뉴스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 분석 결과 자신의 주변에서 외국인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각에는 다양한 정보원천과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으로 외국인 범죄가 만연해 있다는 지각에는 텔레비전의 영향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1). 대화형 매체를 통한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은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담론형 매체를 통한 접촉과 대면 대화를 통한 접촉은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2). 담론형 매체를 통한 범죄 뉴스 접촉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 수준의 위험지각은 완전매개(full mediation)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3).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의 진화: 기업 및 산업 중심 거버넌스 분석을 넘어서 (Tracing the Evolution of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Discourse: An Alternative to the Firm- and Industry-Centered Governance Analysis)

  • 이재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667-690
    • /
    • 2016
  • 본 논문은 경제지리학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을 태동기부터 현재의 GPN 2.0 이론화 단계까지 통시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초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논의의 형성 과정을 글로벌 상품/가치 사슬망의 개념적, 분석적 문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고, 이후 논의의 확장과 경험적 연구의 축적을 통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세계화 경제, 초국적 기업, 지역발전 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는 담론과 실천의 틀로 자리잡게 된 점을 강조한다. 반면, 이론적 결여의 문제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최근 Yeung and Coe는 인과적 매커니즘의 추상화와 이와 관련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조직 전략의 유형을 중심으로 GPN 2.0 이론을 제안했다. 이 결과,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은 이론화 결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고, 연구자는 내부 조직화, 통제적 관계, 동반자적 관계, 외부교섭 등 다양한 생산네트워크 조직 전략을 기업경쟁력 강화 요인 및 위험환경과 결부시켜 탐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글로벌 상품/가치 사슬 논의 간의 차이는 더욱 분명해졌는데, 여기에는 외부교섭 개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부교섭은 GPN 1.0에서 가치, 착근성, 권력의 분석 개념을 포괄하고 있는 네트워크 형태로 판단되며, 이것은 기업이나 산업별 거버넌스 차이에 초점이 맞춰진 사슬 담론의 한계를 초월하게 해 줄 것이다.

  • PDF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Oh, Phil Seok;Campbell, Tod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7-625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and students in different countries discursively interact to build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the knowledge generated situatedly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classroom. Data came from publicly released $8^{th}$ grade science classroom videos of five n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TIMSS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video study. A total of ten video-recorded science lesson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range of discourse modes were utilized and these modes were often sequentially connected to build CSK in the science classrooms. Although dominant discourse modes and their sequences varied among different lessons or different countrie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alient pattern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eacher-guided negotiation and the sequences of exploring - building on the shared and retrieving - elaborating. These pattern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iscursive features commonly witness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scientists and interpreted as implying the existence of unique epistemic cultures shared in science classrooms of different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reveal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se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as well as to confirm whether any cultural traits inherently shape the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mong different nations.

재일 한인 축제를 통해서 본 장소의 정치 (A Korean Festival in Japan and the Politics of Place)

  • 이희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8-261
    • /
    • 2003
  • 본고에서는 오사카의 이꾸노 한인축제의 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민족적 정체성이 어떻게 구축되며, 커뮤니티 내외적 이해관계를 매개로 그 과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차이보다는 유사성을 고려함으로써 재조직되는 문화의 잠재성에 특히 주목하고 싶다. 이러한 역동적 상호관련은 특정한 사회논리와 정체성이 겨루어지는 속에 특유하며 비공식적인 공공권이 축제에 의해 제공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범위한 활무대는 특정의 배제와 포섭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연구는 축제를 통해 정체성이 구축되고 끊임없이 협의되는 미시적 수준의 복합적 정체화 과정을 드러낸다.

  • PDF

Style has no age - Reconstructing age on Pinterest -

  • Babicheva, Eva;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6호
    • /
    • pp.719-740
    • /
    • 2017
  • Sociocultural and demographic shifts have resulted in a changing perception of older age. Older women, historically subjected to age-ordering rules of dress, have increasingly refused to be marginalized fashion consumers and have been striving to construct a more positive age identity. Although studies have examined consumers' negotiation of marginalized identities, age identit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type of marginalized identity. This study argues that Pinterest acts as a platform for identity work by allowing older women to creatively reconstruct their sense of self by saving images and organizing them into thematic boards. Drawing on symbolic interactionism theory and notions of digital self-presentation,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discursive practices that older women employ on Pinterest to resist ageist fashion discourses. The sample consisted of 15 fashion-oriented Pinterest profiles of older women. Netnographic inquiry was employed first to examine what images were saved and what thematic boards were created. Three analytical frameworks for visual data analysis were integrated to further scrutinize the visual texts within the thematic boards. The analyses revealed three main themes-rejecting age, accepting age, and consuming age. The themes that emerged formed the basis for an age identity reconstruction process whereby women attempted to bridge the existing gap between older age and mainstream fashion discourse.

Primary Analysi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t Walkbase Company: Developing an Information Strategy

  • Ahmadinia, Hamed;Karim, Muhaimin;Ofori, Edward
    • 산경연구논집
    • /
    • 제6권4호
    • /
    • pp.5-16
    • /
    • 2015
  • Purpose - Currently, organizations must have a plan to achieve their future objectives. In this case, an information strategy facilitates greater success when planning for the future in any organiz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core objective of the project was to explore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Walkbase in a discursive manner. We started the project by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firm, which facilitates retail outlets using in-store analytical devices. Results - We conclude that the management of Walkbase revised its current information structure to implement a more structured one that might be included in a long-term investment. On such an occasion, management can prioritize the component to develop first. Conclusions - Along with our results, we also described the business, its products, its facilities, and how it can serve different industries. Finally, we left the prioritization decision within the framework's components to top management.

1970년대 한국 명랑만화의 담론분석 (Discourse Analysis of the 1970s Myungrang Manwha)

  • 김대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255-284
    • /
    • 2016
  • 본 논문은 1970년대의 명랑만화인 <꺼벙이>, <도깨비감투>, <요철발명왕>에 대한 담론분석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 명랑만화의 역사와 함께 당시의 심의제도와 유통구조를 고찰하였다. 또한 1920년대부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던 '명랑'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과 의미의 변화 과정에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명랑만화는 단순히 웃음을 유발하는 텍스트가 아니며, 당대의 정치, 사회적 맥락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방법은 푸코의 담론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1970년대의 명랑만화를 당시의 사회적 제도에 의해 형성된 담론이라 가정하고, 만화 내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언표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만화의 대화분석을 통해 당시의 명랑만화가 전파하는 담론과 그것을 만들어내는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당시의 명랑만화는 '서열화를 통한 자본과 권력의 획득', '국가주의적 요소의 강조', '능동적 주체로의 호명과 훈육'이라는 담론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담론은 심의와 통제 같은 당대의 권력의지를 바탕으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지배 권력의 이데올로기를 정교하게 담아 내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vestigating Science-Policy Interfaces in Japanese Politics through Climate Change Discourse Coalitions of an Environmental Policy Actor Network

  • Hartwig, Manuela 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2호
    • /
    • pp.90-117
    • /
    • 2019
  • How is science advice integrated in environmental policymaking? This is an increasingly pertinent question that is being raised since the nuclear catastrophe of Fukushima, Japan, in 2011. Global re-evaluation of energy policies and climate mitigation measures include discussions on how to better integrate science advice in policymaking,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science independent from political influence. This paper addressed the policy discourse of setting up a national CO2 reduction target in Japanese policymaking between 2009 and 2012. The target proposed by the former DPJ government was turned down, and Japan lacked a clear strategy for long-term climate mitigation. The analysis provides explanations from a quantitative actor-network perspective. Centrality measure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for policy actors in an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of Japan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ose actors that control the discourse. Data used for analysis comes from the Global Environmental Policy Actor Network 2 (GEPON 2) survey conducted in Japan (2012-13). Science advice in Japan was kept independent from political influence and was mostly excluded from policymaking. One of the two largest discourse coalitions in the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promoted a higher CO2 reduction target for international negotiations but favored lowering the target after a new international agreement would have been set. This may explain why Japan struggled to commit to long-term mitigation strategies.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quantitatively calculate discourse coalitions was a feasible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discursive power." But limited in discussing the "practice" (e.g. meetings, telephone, or email conversations) among the actors in discourse coalitions.

언론개혁에 관련된 담론 분석 : $\ll$조선일보$\gg$$\ll$한겨레신문$\gg$을 중심으로 (A Discourse Analysis Related to the Media Reform -A Case Study of Chosun Ilbo and Hankyoreb Shinmun-)

  • 정재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7권
    • /
    • pp.112-144
    • /
    • 2001
  • 이 논문은 언론개혁에 관해 양극화된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 한겨레신문과 $\ll$조선일보$\gg$의 신문기사들을 대표적인 텍스트로 삼아 신문들의 사회적 담론 생산기제의 문제점들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분석해 밝히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ll$조선일보$\gg$ 진영이 소위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내세워 생산하는 좌/우의 이념 대결 담론이 한편으로는 $\ll$조선일보$\gg$ 자체의 이념적 정체성의 문제와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언론운동단체가 지닌 운동의 본질적인 성격에 비추어 볼 때, 좌/우 이념 대결 담론은 $\ll$조선일보$\gg$를 포함한 주류언론에 내재된 모순의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언론개혁 요구를 반공 이데올로기 층위의 모순과 접합시켜 국민들로 하여금 언론개혁을 좌/우 이념적 관계의 문제로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시민언론 운동단체들이 오래 전부터 개진해온 언론개혁의 요구를 견제하고 냉전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부활시켜 극우적 법질서를 실현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언론개혁 담론의 논의의 핵심이 이념 담론에서 제도 개선에 관련된 담론으로 돌아가야 할 것을 주장한다. 또한 본 논문은 오늘의 언론개혁 담론에서 비롯된 이념 담론은 진보와 보수이념을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건강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대승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인 공론의 환경과 조건을 준비해야 할 것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