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vering Problem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43초

디자인 학습의 프로세스적 접근을 위한 TEX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사고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development of text model)

  • 이은주;류성현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13-122
    • /
    • 1996
  • 디자인은 현재 진행형이다. 디자인이라는 어구 자체가 결과물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process)을 지칭하는 것이고 그것이 결과는 매우 다양한 응용범위를 갖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풀어가기 위해서는 디자인 문제해결의 과정을 조직화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디자인 과정의 조직화란 디자인의 외적 혹은 내적인 문제들을 파악하여 창조적이고 합리적인 프로세스를 만들어, 디자이너들의 문제 해결 자로서의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일반화와 도구화로 인한 디자인 상황의 변화는, 시간 절약 및 표현의 다양화, 디자인 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을 낳았으나,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보다는 디자인의 평가가 결과물에 치우친, 때문에 시각적인 표현 방법의 측면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었다. 따라서 진행과정으로서의 프로세스 측면이 그 중요성에 비해 간과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발견된 것’이 아닌’발견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그 기본 개념인 창조적인 사고능력 및 상상능력의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수자가 취할 수 있는 text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text 모형에 따른 학습은, 학습자에게는 ’손에 의한 표현’이전에 다루어져야 할 ’머리로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을 통해 습득하게 하며, 교수 자는 교수 자와 학습자간의 전달경로를 보다 확실히 함으로서, 너무 주관적이어서, 혹은 너무 객관적이어서 오는 오류들을 최소화하고 전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훈련과정을 모색할 수 있다.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 극복을 위한 동기강화상담 분석 (Analysi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to Overcome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of Type 2 Diabetes)

  • 이현진;조정화;송영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85-493
    • /
    • 2018
  • 본 연구는 심리적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인슐린 치료 시작과 관련하여 겪게 되는 어려움과 동기의 변화과정을 파악하고자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동기강화상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동기강화상담 과정에 기초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consistent comparativ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관계 형성하기, 초점 맞추기(당뇨병 자가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스스로 탐색하기, 당뇨병 관리에 대한 한계점 인식, 합병증에 대한 걱정, 미래의 모습 상상하기), 유발하기(인슐린 투여 시 예상되는 장단점 그려 보기, 인슐린 강점 새롭게 알아가기, 인슐린 치료 시작에 대한 생각의 변화), 계획하기(변화에 대한 구체적 호기심 들어내기, 변화 계획하기), 변화행동 유지하기(변화 자신감 유지), 평가(내담자 상담자가 평가같이 내려 보기)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상자를 돕는 전문가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ne IP(intellectual property) Animation & Game in Chinese Market

  • Pan, Yang;Choi, Chul-Young;Meng, Zil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2호
    • /
    • pp.67-75
    • /
    • 2019
  • "No IP, No Content" has become a phenomenon in the content industry, high-quality IP has a strategic importance. It has become a Trinity in the movie-anime-game basic package, Competition is more intense. However, there is a tremendous amount of know-how hidden behind the use of IP to operate games well. We are worth exploring in detail.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digital IP marke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ll be the focus of our pragmatic research. As an emerging market in the digital industry, China has great research value. This paper analyzes the status quo of the current Chinese market by comparing the mature US and Japanese markets. For example, the research of American Disney Company analyzes the mature market structure of Japan. compared with the excellent case of the Chinese market legend of qin. By study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s digital market, analyzing the interest trends of the customer base, discovering existing problems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and judgment of the Chinese digital market in the future.According to the survey, the IP heat is mainly concentrated in six categories of games, animation, TV, variety, movies, and novels. At present, the most popular IP of manufacturers have three major categories. This article will conduct research and analysis on digital IP, and analyze the market status of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research on outstanding representative works in the market.

최적화된 Gradient-Boost를 사용한 서울 자전거 데이터의 결정 요인 예측 (Predicting Determinants of Seoul-Bike Data Using Optimized Gradient-Boost)

  • 김차영;김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61-866
    • /
    • 2022
  • 서울시에서는 공유 자전거 시스템, "따릉이"를 2015년부터 도입, 운영하여, 교통량 감축과 대기오염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 자전거 시스템, "따릉이"의 운영전략 미훕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대다수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해결하고자 하는 전략적 "자전거 배치"에 집중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중 다수가 날씨나 계절과 같은 특징을 그룹화함으로써 수요를 예측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는 이들 예측방법이 주로 시계열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딥러닝/머신러닝으로 수요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하면서, 새로운 특징을 발견하고 선택된 특징들의 중요도를 비교, 이를 순서화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요 예측이 가능함을 보인다. 그리하여, 우리는 기존의 딥러닝/머신러닝 및 시계열 분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비교적 정확한 결정계수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개선된 수요예측이 가능하도록 한다.

비용 최소화 방법을 이용한 모서리 감지 (Edge Detection using Cost Minimization Method)

  • 이동우;이성훈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9-64
    • /
    • 2022
  • 기존의 모서리 감지 기법들은 모서리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정의된 형태의 모서리만을 발견하기 때문에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에 대한 모서리를 발견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서리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이 비용최소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비용함수 및 비용요소를 정의하여 사용하며, 이 비용함수는 후보 모서리 생성 전략에 따라 생성되는 후보 모서리 모형에 대한 비용을 계산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타나게 되면 해당 후보 모서리 모형이 해당 이미지에 대한 모서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최소화 방법의 문제점인 정의된 형태의 모서리만을 발견한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에 대한 모서리를 발견하기 위한 후보 모서리 생성 전략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점을 반영한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해 개선 내용을 확인하였다.

POI 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추천 시스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n POI)

  • 펭소니;박두순;김대영;양예선;이혜정;싯소포호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7-379
    • /
    • 2022
  • POI refers to the point of Interest i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LBSN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GPS, and the Web (web2.0 and 3.0), LBSNs have attracted many users to share their information, physical location (real-time location), and interesting places. The tremendous demand of the user in LBSNs leads the recommendation systems (RSs) to become more widespread attention. Recommendation systems assist users in discovering interesting local attractions or facilities and help social network service (SNS) providers based on user locations. Therefore, it plays a vital role in LBSNs, namely POI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machine learning model, most of the training data are stored in the centralized data storage, so information that belongs to the user will store in the centralized storage, and users may face privacy issues. Moreover, sharing the information may have safety concerns because of uploading or sharing their real-time location with others through social network media. According to the privacy concern issue, the paper proposes a recommendation model to prevent user privacy and eliminate traditional RS problems such as cold-start and data sparsity.

성향점수매칭(PSM)-이중차분(DID) 결합모형을 이용한 혁신조달 정책의 기업지원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Firm Support Effects of the Innovation Procurement Polic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 in Differences)

  • 김주원;박원익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3호
    • /
    • pp.201-230
    • /
    • 2023
  • 혁신조달 제도는 전략적 공공조달 정책의 일환으로 혁신제품 지정 및 우선구매제도를 활용해 기업의 혁신역량 향상과 공공부문의 사회문제 해결능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으로 도입됐다. 혁신제품에 대한 시범구매 사업은 2019년에 처음 도입됐으며 2020년부터 정부 부처의 혁신제품 지정·발굴 체계가 확립된 후 혁신제품 우선구매제도가 본격적으로 실시됐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조달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해당 제도의 기업지원 효과에 초점을 맞춰 정량적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2017년에서 2021년까지의 기업 재무제표 및 고용 자료를 이용했으며, 분석방법으로 성향점수매칭(PSM) 및 이중차분(DID) 방법을 활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혁신조달 제도가 기업성장과 고용증대에 기여했으며 추가적인 공공 및 민간판로 개척 효과를 창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혁신조달 참여기업이 제품지정 종료 이후에도 자생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혁신제품 지정기업과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적극 매칭하는 등 혁신조달 제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Dental Coordinator의 직업의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Research Relative to the Subjective View o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Dental Coordinator)

  • 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13
    • /
    • 2002
  •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basic material in discovering the subjective types of the dental coordinators occupational consciousness, utilizing the Q-Method Theory, which is capable of measuring the subjective nature of human being by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so as to have the dental coordinator to possess the desirable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al view together for them to have self-confidence as a lifetime specialty occupation. Upon completion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subjective views pertaining to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the dental coordinator. The result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 Type 1 is the Taking Serious View on the Patient Service, which priority is placed on kindness and looking after any difficulties of the patient, namely, it is the type that puts the importance on the high level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based on good service. Because of the kind service to the patient, those under this category considered their job satisfaction have been improv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were developing the services, which satisfy themselv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thought that they should make things smooth for any development of problems that may aris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entist. Type 2 is the Taking Serious View on Career and Organizational Strength. This is a type that aims on the systematic nature of the internal job, namely, organizational strength itself viewed from the stand point thai either self-confident or work merit is proportional to experience. This type is to actively treat the problem and endeavor to solve the issue when dissatisfaction is held by the dental hospital system, which is either followed according to the work responsibility or by an organization having an appropriate system on remuneration, Type 3 is the Placing of Importance on the Overall Circumstances. This is the type that places importance on the overall now of the dental hospital, and it is the type, that most greatl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dental coordinator. The dental coordinator should provide the sense of reliability to both the dentist and to the staff of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and should be able to adjust smoothly the overall now of the medical treatment. The dental coordinator is expected to be a medical service specialist, who is cap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taff of the medical treatment intuitively and to adjust the relation between the employees. With the above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re was no mutual exclusiveness between the respective types, there are particular characteristics among each typ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discovered and analyzed the subjective view types relative to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dental coordinator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enable the dental sanitary students and the graduates of the Dental Sanitary Department, who are aspiring to become dental coordinator, as the basic guide material to be actively utilized.

  • PDF

지방경찰청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부산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Metropolitan Police Agencies :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 김현정;김수정
    • 기록학연구
    • /
    • 제68호
    • /
    • pp.73-10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경찰청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경찰청의 정보공개처리대장(2010년~2020년 6월), 이의신청처리대장(2010년~2020년 6월), 원문공개율(2014년~2019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정보공개 처리율, 이의신청 처리 현황, 원문공개율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산경찰청 홈페이지와 정보공개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해 사전정보공표 및 정보목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공개 접수건수 대비 타 기관으로의 이송율이 높고 이의신청을 통해 비공개 결정이 공개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며 원문공개율이 낮고 사전공표되는 정보의 수가 적고 홈페이지의 이용자 편의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부산경찰청과 유관 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의 범위를 이용자들에게 명확하게 안내하고, 원문공개를 확대하고, 사전공표할 정보를 발굴하고 홈페이지의 편의성을 높일 것 등을 제안하였다.

빅딜, 오픈액세스, 구글학술검색과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구독 (Big Deal, Open Access, Google Scholar and the Subscription of Electronic Scholarly Contents at University Libraries)

  • 심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3-163
    • /
    • 2012
  • 현재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 입수는 일명 빅딜로 불리는 수백, 수천 종의 전자학술지 묶음을 다년간, 고정된 인상율로 계약하는 구독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된 이러한 구독방식은 대학도서관과 이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했다. 하지만 이들 패키지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이러한 방식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pay-per-view 방식을 제외하면 구독기반 모형의 구체적인 대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도서관 예산문제가 심각한 뇌관으로 남아있다. 2000년대 초반 시작된 오픈액세스 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술지의 출판과 유통의 장벽을 제거하고 있다. 오픈액세스 출판 규모는 매년 두 자릿수로 증가하고 있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논문은 Scopus와 Web of Science 인용데이터베이스에의 편입비율이 20%에 육박하는 등 양적, 질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04년에 시작된 구글 학술검색은 현재 대다수 학술출판사의 학술지 논문에 대한 편리한 검색 및 접근 도구로 성장하고 있다. 비록 학술지 선택의 기준, 제한된 검색 기능, 독점화에 대한 우려 등이 있지만 구글 학술검색을 대학도서관 데이터베이스의 대안으로 진지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학도서관의 예산 문제, 오픈액세스 출판의 활성화, 구글 학술검색과 같은 무료 도구의 성장은 구독기반 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파괴적인 변화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학도서관 사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을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