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analysis

검색결과 580건 처리시간 0.033초

Coherence Structure in the Discourse of Probability Modelling

  • Jang, Hongshic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4
    • /
    • 2013
  • Stochastic phenomena induce us to construct a probability model and structure our thinking; corresponding models help u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reality. They in turn equip us with tools to recognize, reconstruct and solve problems. Therefore, various implications in terms of methodology as well as epistemology naturally flow from different adoptions of models for probability. Right from the basic scenarios of different perspectives to explore reality, students are occasionally exposed to misunderstanding and misinterpretations. With realistic examples a multi-faceted image of probability and different interpretation will be considered in mathematical modelling activities. A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mathematical modelling activity for probability learning was elaborated through semiotic analysis. Especially, the coherence structure in mathematical modelling discourse was reviewed form a semiotic perspective. The discourses sampled from group activiti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semiotic perspectives taxonomical coherence relations.

조응어 해석을 위한 역동적 모델 (A Dynamic Approach to Anaphoric Resolution)

  • 정소우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2권1호
    • /
    • pp.1-26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approach to anaphoric resolution in conjunction phrases, in terms of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Unlike Kamp, van Genabith, and Reyle (forthcomming)'s analysis, it proposes two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s for conjunction phrases; one for coordinate phrases such as and conjunction phrases and the other one for subordination conjunction phrases such as when subordination phrases. Following Chung (1992), Chung (2004), every element is process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and conjunction operators in a non-sentence-initial position cause the ongoing DR to split in two with the same index. DRS conditions and accessibility are accordingly modified so that DRs for conjunction clauses can be accessible from DRs for main clauses.

  • PDF

청계천복원관련 담론분석을 통한 환경인식 지형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Cognition Patter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 이미경;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2-114
    • /
    • 2009
  • 도시담론은 도시공간에 대한 이해, 개방적 논의와 성찰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의 공간을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도시담론은 도시환경의 물리적 사회적 쟁점들을 부각시킨다. 이의 해결로 시민집단의 참여를 독려하며 간담론적인 합의도출을 통한 도시환경의 공동체적 발전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청계천이라는 공간은 2003년 청계천 복원사업 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2005년 공사가 완공되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의 도시담론을 형성시켜왔다. 청계천복원관련 담론은 조경, 생태, 도시, 건축, 정치경제, 행정적 관점 등 다양한 시점에서 청계천을 접근해 갔으며, 다양한 쟁점들과 논쟁구도를 형성해 나갔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노정되고 있는 청계천복원에 관한 담론내용을 정리 및 분석, 해석하였다. 집단 간의 가치관의 차이와 갈등, 간담론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분석의 틀을 근거로 하여 담론을 분야별로 유형화하고 시기별로 이념집단 간의 대립구조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계천 담론을 매개로 한국 시민사회가 인지하고 있는 환경인식의 현 지형을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 발전방향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의 추진 주체인 서울시의 실용적 접근에 대하여 시민사회와 보존주의 및 급진주의 집단은 가장 첨예한 대립구도를 형성했다. 도시설계나 조경 등 기술 분야는 절충주의적 태도를 가지고 양자 간 접점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앞으로 이러한 도시담론 활성화 추세에 조경분야도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견해들을 수용하고 독자적이면서도 공공적 정의에 부합하는 입장을 모색해 나갈 필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Text of Interactions: An Analysis of Written Discours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 Lee, Younghwa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27-228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Korean EFL students' letter writing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data comprised interviews and examples of letter writ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ngaged in unique ways in which they oriented their meaning-making to broad views concerning rhetorics and components. Students' approaches involved a particular context and the recontextualized English formal letter, which reflects their textual interactions in writing. This paper concludes that specific discourse communities, life-world, and learning purposes impact on students' English writing.

  • PDF

An Exploratory Analysis of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and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in Earth Science Classes

  • Shin, Myeong-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1-53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characterize the earth science inquiry in schools in terms of science teaching interaction and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 The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with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in three aspects including (1) student oriented class implementation, (2) subject knowledge and representation, and (3) classroom communication. Fourteen earth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scored with RTOP. The class was evaluated to be transitional stage in term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g., moving toward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Korean teachers tend to lean their classes more on propositional knowledge than procedural knowledge. To interpret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an earth science teacher with a RTOP top rank was selected. Her class was then videotaped for detailed analysis. I adopt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ommunicative approaches and discourse patterns among the five aspects of interactions presented by Mortimer and Scott (2003). It was found that this earth science teacher used more authoritative patterns than the dialogic. In addition, she used IRE discourse pattern more frequently. Interestingly, teachers interacted with their students more frequently in the form of repeated (or IRE chain pattern), that is IRFRF (teacher initiation-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dialogic communicative approaches, while simple IRE occurred in an authoritative approach. In earth science classrooms, typical interaction may well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IRFRF chains to allow students free conjectures and abduction.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의 주체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Media Discourse on the Agent in the Press)

  • 김형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42-251
    • /
    • 2011
  • 언론에서 소셜 미디어는 미래 지향적이면서 선구자적인 이미지로 묘사될 때가 많다.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는 이러한 언론 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언론의 소셜 미디어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함의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언론에서 소셜 미디어는 사회의 발전과 민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연적인 당위성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거부할 수 없는 사회적 변화의 흐름인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기업, 정부, 정치인, 일반인들까지 소셜 미디어 이용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프라이버시 침해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인 면은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이러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새로운 미래를 향한 진보의 시간에 필요한 규율적 훈련을 사람들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동 간호관리자의 문제상황 관리 경험 (Nurse Managers in a Difficult Situation on Caring Client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조명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6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scourses and the patterns of problem solving behaviors among the nurse managers. The focus of the study was the difficult situations in caring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thods: Field study was performed at a for-profit hospital from March, 2004 to March, 2007.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 head nurses and 2 nurses in charge.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iterative interviews and participant-observa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axonomy and critical discourse analyzing were applied. Results: The nurse mangers who showed wholistic patterns of behavior took the role of a broker among the client system, professional nursing system, medical system, and other allied health system. The nurse managers whose approach was profession-centered took the role of protector of nursing system. The nurse manager who practiced nurse-oriented pattern of behavior tried not to have harm against other members of health system. The experiences of nurse managers were effected from the discourses of patriarchal and market mechanism. Conclusion: The situation that provoke conflict between clients and nurses become more common with the changes to the health care system and to society. Nurse managers take the role of these conflict problems. The successful solving of conflict in a nursing care setting promotes the quality of care and satisfaction of clients. Programs for enhancing nurse's problem solving competency should anchored be in their practices.

  • PDF

M. Foucault의 권력지식관계론에 기초한 한국의 복지담론 해석 (Exploring Welfare Discourse in Korea Based on M. Foucault's Power And Knowledge Relations)

  • 서정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79-101
    • /
    • 2015
  • 담론의 역할은 무엇일까?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특정 사회와 시기의 권력(power)은 담론을 통해 인식과 규범 체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knowledge)을 생성하여 사회와 구성원을 통제한다는 권력지식관계(power and knowledge relations)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권력지식관계론의 근간을 이루는 배제의 형성(인식의 통제), 그리고 물질성 및 실천성(규범체계)을 분석 틀로 삼아, 4명의 전임 한국대통령의 복지관련 연설문에 대한 담론해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로 복지와 성장의 균형 그리고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복지-성장-고용의 연계), 개인의 경제적 자립과 자활, 선별적 복지의 지향, 의존적이고 시혜적인 복지를 배제하는 지배적인 인식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권력이 항상 체계적이고 정립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인식과 규범의 괴리 문제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푸코의 담론해석은 한국의 낮은 복지지출에 대한 인과적 추론을 제시하는 반면, 지식의 생산자와 주입자로서의 권력의 역할에 대한 과도한 초점은 어떻게 현대적 변화들을 지식체계에 수용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남긴다.

  • PDF

사회적 담론공간 분석: 신자유주의, 신보수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ocial Discursive Space: Critique of New Liberal and New Conservative Discourses)

  • 김예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8권
    • /
    • pp.7-36
    • /
    • 2002
  •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 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보육정책 이슈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인식과 복지정치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beneficiary groups'policy priorities in the child-care politics)

  • 홍경준;김민성;김사현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265-291
    • /
    • 2013
  • 이 연구는 보육정책 수익자 집단의 정책 선호와 관련하여 두 가지의 연구 과제를 제기하고 복지정치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이미 제도화되어있는 보육서비스를 기반으로 형성된 수익자 집단은 보육정책의 여러 이슈에 대해 각각 상이한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이익집단 정치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보육정책 이슈의 중요성 정도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상이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한편, 수익자 집단이 가지는 선호, 혹은 인식은 담론에 의해 변형되거나 여과될 수 있기 때문에 담론정치는 복지정치의 또 다른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보육정책 이슈들 사이의 우선순위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인식이 2010년 지방선거 이후 등장한 무상보육 담론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수렴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복지정치의 또 다른 차원인 담론정치의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이 연구의 두 가지 연구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보육정책의 이슈가 체계적-포괄적으로 분류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이 일관성 있게 계량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보육정책의 이슈를 4개의 상위계층과 11개의 하위계층으로 체계화하고, 계층화분석과정 기법을 이용하여 부모, 보육시설장, 보육교사와 같은 보육정책 수익자 집단의 인식을 중요성의 정도와 순위로 계량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