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Environmental Cognition Patter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Lee, Mi-Kyung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6, no.6, 2009 , pp. 102-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Urban discourse can be used to create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rough open thinking,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It raises both physical and social issues surrounding the urban environment. It can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groups and lead the way to develop a community-oriented urban environment through inter-discourse agreement. The urban space of Cheonggye Stream has produced a wide range of urban discourse from 2003 to the present. Discourse regarding the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has been approached by fields including landscape architecture, ecology, urbanism, architecture, politics, and economics, among others. This discourse has reduced a variety of issues and ranges of debate.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se discussions into related fields and ideological attitudes, analysed their content,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In order to examine the mutual relationships existing among these discourses by different ideological group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yputting classified versions of discourses into a coordinate diagram. The overall topography showing the present status of Korea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urban environment could therefore be deter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ciplin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ook a middle ground between groups with practical and radical ideologies regarding the Cheonggye Stream project and was a mediator for both poles to find a point of contact. However, participatory discourse requires the disciplin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discourses on urban environment and take a more active stand corresponding to the zeitgeist and people's sense of public justice.
Keywords
Urban Discourse; Ideological Group; Compositions of Deba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은자, 최문석 (2006) 도심활성화를 위한 복원청계천의 문화경제학적 발전방안. 시정연구논총
2 조명래(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 청계천의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연구 ECO 통권 4 pp. 130-165
3 한겨레신문(2004d) 청계천 시민위 2기 출범 .2004년 10월 20일
4 박희수 (2005) 도시하천의 생태복원사업: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시개선 효과.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5 이무용 (2006)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논형
6 윤성복(2004) 소외, 청계천 복원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 서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2(1): 240-276
7 정성원 (2004) 전통, 근대, 탈근대의 결합 - 청계천 복원 담론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동양사회사상 제19집. pp. 81-108
8 조경진 (2006) 조경 사회 디자인: 문화친화적 조경이 요구된다. 조경
9 전상진 (2003) 세대 간격 좁히는 청계천 복원. 한겨레신문 2003년 6월 18 일
10 한겨레신문 (2003a) 청계천 제대로 살리는 길. 2003년 4월 10 일
11 한겨레신문 (2003b) 수표.광통교 그대로 복원해야. 2003년 7월 17일
12 한겨레신문(2005d) 청계천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2005년 10월 26 일
13 한격레신문(2006d) 청계천 '올덴버그 조형물' 항의 이벤트 잇따라. 2006년 1월 20일
14 한겨레신문 (2006e) 문화가 흐르는 '디지털 청계천'. 2006년 9월 13일
15 한겨레신문(2005h) 청계천 들머리 '올멘버그 조형물' 논란. 2005년 11월 30일
16 황기연(2003) 청계천 복원 기본계획의 핵심 논점. 도시문제 38(418) : 11-20
17 홍순민 (2004) 교수논평 청계천을 '중건'하자. 교수신문 2004년 4월 23일
18 Fairclough, N,(1993) Discourse and Social Change. Cambrige: Policy Press
19 이윤희 (2007) 클래스 올덴버그의 청계천 스프링 작품분석을 통한 도시 환경 조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명래 (2005) 청계천 복원의 성과와 한계. 대한토목학회지 53(11): 140-155
21 한겨레신문(2005g) 청계천 유지·관리비 한해 70억 .2005년 10월 6일
22 한겨레신문 (2004e) 청계천 '선교량 건설 중단 원형대로 복원을'.2004년 11월 18 일
23 임승빈 (2004) 청계천 복원 박경리선생 주장에 대해 조경인 임승빈씨 반론. 동아일보 2004년 3월 16 일
24 한겨레신문(2004a) 수표교 증축 흔적 모전교 양쪽 석축 발굴.2004년 2월 9일
25 한겨레신문(2006a) 청게천에 미국 작가 조형물이라니 '이명품' 시장이다'. 2006년 1월 22 일
26 최승담(2002) 청계천 복원의 관광적 의미와 수변공간 조성 방향. 관광 연구논총: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제 14호. pp. 33-45
27 한겨레신문(2005f) 청계천 안전에 더욱 신경써야. 2005년 10월 3일
28 한겨레신문(2004b) 문화화 보전 위원회 내일부터 본격 활동.2004년 3월 10일
29 한겨레신문(2005b) 청계천 물길에 외식.유통업 '웃음길' 2005년 10월 4일
30 조명래 (2006) 청계천 복원: 도섬재생인가 생태복원인가?. 한국의 전망 제 1호 서울: 새로운 사람들 pp. 160-180
31 한겨레신문(2004c) 청계천복원 시민위 집단 사퇴 .2004년 9월 16일
32 김영민 (2008) 문화비평: 실내화의 괴물들. 교수신문
33 주강현 (2003) 생활의 지문을 지우는 청계천 복원. 한겨레신문 2003년 7월 28 일
34 한겨레신문(2006b) '청계천 수심 다양하게 해야' 미래위한 대토론회. 2006년 1월 18 일
35 정일준 역 (1994) 미셀 푸코의 권력이론. Michael Foucault. Theory of Power. 서울: 새물결
36 Edgar. A.. P. Sedgwick(2003) Key Concepts in Cultural Theary 박병진, 이영욱(역). 문화이론사전. 한나래. 2003
37 안병옥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 자연의 정원화와 사회적 실험실로서의 청계천 복원. 환경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 통권 4호
38 김진애 (2005) 도시 데코레이터 이명박, 청계천복원은 일렀고 도심개발은 틀렸다. 인물과 사상 7(87): 67-78
39 한겨레신문(2002a) 청계천 복원 누가 처음 꿈꿨을까?. 2002년 6월 27일
40 한겨레신문 (2002b) 서울시, 청계천 주민상인협의회 발족.2002년 12월 29 일
41 한겨레신문 (2005c) 청계천 달구는 거리예술가들.2005년 10월 26일
42 양윤재 (2003) 청계천 복원 사업의 친환경성.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3 장은숙(2002) 청계천 복원의 환경정책적 함의. 서울행정학회지 13(3) 265-282
44 곽승준 (2003) 삶의 질을 위한 청계천 복원. 한겨레신문 2003년 5월 23 일
45 한겨레신문(2005a) '청계천 새물맞이' 엇갈린 두 시각. 2005년 10월 3일
46 최막중(2003) 복원 계획 성급하다. 교수신문 2003년 3월 17일
47 홍성태 (2003) 사회청계천 복원의 사회학 청계천의 공간문화: 파괴, 정체, 그리고 희망.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연구 ECO 통권 4호 pp. 211-230
48 강홍빈 (2004) 이명박시장 재개발사업 고삐 풀린 개발주의. 한겨레신문 2004년 6년 7 일
49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청계천, 공감각의 도시경관. 조경
50 한겨레신문(2005e) 수원천, 복개구가나 뜯어내 완전복원을. 2005년 10월 11 일
51 이정우(2005) 담론의 매혹 주체들의 백가쟁명. 한겨레신문 2005년 l월 6일
52 이정훈 (2007) 클래스 올댄버그 (Claes Oldenburg) 의 스프링 (spring)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한겨레신문(2006c) '브랜드 세계' 체험하실 분! 명동으로 오세요. 2006년 1월 10 일
54 유상오 (2003) 청계천 되살리기의 속도와 공감대. 한겨레신문 2003년 8월 11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