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curve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7초

개수로에서의 대표 매개변수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harge Estimation by Representative Parameter Method in Open Channels)

  • 추태호;채수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7-644
    • /
    • 2012
  • 습지 생태계 및 하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유량의 산정은 항상 중요한 관심사였다. 이러한 유량의 산정은 그동안 수위유량 관계곡선에 의존하여 왔으나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이용하는 수위-유량곡선의 한계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수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Manning식과 Chezy식을 사용하여 구간 내 대표 매개변수 산정법을 통하여 유량 산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RMSE와 Discrepancy Ratio를 사용하여 나타내었고 실험실 수로와 자연하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결과의 차이는 존재하였으나 산정된 유량과 측정된 유량 사이가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e여 여러 하천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쉽고 빠르게 하천의 유량을 산정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연하천 유량산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Stream Discharge Estimation Program)

  • 이상진;황만하;이배성;고익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27-38
    • /
    • 2006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rogram to estimate discharge efficiently considering major hydraulic characteristic including water level, river bed, water slope and roughness coefficient in a natural river. Stream discharge was measured at Gongju gauge station located in the down stream of the Daechung Dam during normal and dry seasons from 2003 to 2004. The developed model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rating curve at T/M gage stations, and was used for runoff analyses. Evaluating the developed river discharge estimation program, it was applied during 1983-2004 that base flow separation method and RRFS (Rainfall Runoff Forecasting System) which is based on SSARR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voir Regulation). The result presents the stage-discharge curve creator range at the Gong-ju is overestimated by approximately $10-20\%$, especially at the low stage. It is attributed to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the study. The discharge simulated by the RRFS and base flow separation, which is calibrated using the measurement at the early spring and late fall season during relatively d]v season, shows the least errors. The coefficient of roughness at Gongju station varied with the high and low water level.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자동구간분할을 위한 변동계수 활용기법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Metho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Automatic Multi-segmentation Method of a Rating Curve)

  • 김연수;김정엽;안현욱;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0호
    • /
    • pp.807-816
    • /
    • 2015
  • 일반적으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은 선형성과 등분산성 가정을 기반으로 구축되지만, 측정단면의 형태, 단면 상 하류의 지형요인 등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위 및 유량의 관계는 관계식 구축에 이용되는 가정에 위배된다. 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곡선식을 분할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측정단면의 변화를 고려한 관계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구간분할의 주요 근거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관성을 배제하고 관측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화된 분할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곡선식의 구간 분할을 위하여 변동계수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변동계수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된 변동계수가 전 단계에서 계산된 95% 신뢰구간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구간을 분할하였다. 즉,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변동계수의 분포를 이용하여 분할을 위한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의 추정능력 검토를 위하여 가상의 곡선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에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실제유역에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금강에 위치한 무주 및 산계교 수위관측소 지점에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자동으로 분할된 관계곡선식을 사용하여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삽을 하는 경우 역시 그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측값을 활용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구축 시 구간 분할 전 후의 잔차 데이터에 대하여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구간분할 후 잔차가 정규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변동에 따른 소양강유역 수질의 통계학적 해석 (A Stochastic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on the Basin of Soyang River with Discharge Variation)

  • 최한규;백경원;최용묵;최진우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233-240
    • /
    • 200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fficiently managing large scale of rivers such like Songyang-river through predicting water quality change wit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ing in nutrients and pollutants. The main resul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ly operating reservoirs through controling water quality and qua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y of flow and water quality was analyzed and pollution loading into the basin was estimated. Three areas of Soyang-river upstream and one area of Suip-cheon in Yanggu-gun were selected as research sites. Flow and water quality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The relation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concentration and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load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respectively. We provided a rating curve through measuring quantity of discharge(collecting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ograph and pollution loading curve through water quality data.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quantity of discharge per unit area and pollution loading per unit area in each basin. As resurt of this research, Buk-cheon spot revealed an excellent first grade water quality for the items including $BOD_5$, DO, and 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k-cheon spot's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loading was 0.896~0.996, showing the validity of analysis applying correlation curve formula of quantity of discharge and pollution loading in the same spot. Also, pollution loading per unit area of the items including $BOD_5$, COD, DO, SS, T-N, T-P increased as the area of basins get increased following the sequence of Buk-cheon, Suip-cheon, Naelin-cheon spots.

  • PDF

국내 지방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 Discharge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ivers in Korea)

  • 손호근;이정식;신사철;문창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1-39
    • /
    • 2014
  • 본 연구는 하천 계획수립 및 활용을 위하여 국내 하천을 대상으로 적합한 유사량 추정공식과 장 단기 하상변동을 정량적으로 제시한다. 산지 및 도시하천을 대상으로 유사특성을 분석하고, 총유사량 과 장 단기 하상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사량 추정공식과 HEC-RAS 4.1 모형 및 CCHE2D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정 Einstein 공식을 적용하여 추정한 총유사량이 해당 하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대상하천의 중 장기적인 하도관리를 위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 부유사량-유량 관계곡선과 총유사량-유량 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셋째, 단기하상 변동 분석에서는 산지하천이 도시하천보다 하상변동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장기하상 분석에서 도시하천은 현재 안정하상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경년별 수리특성량 변동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적포교(赤浦橋) 및 진동(津洞) 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the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 at Jeokpogyo, Jindong of the Nakdong River -)

  • 이재준;설지수;곽창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0호
    • /
    • pp.867-87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상이 경년별로 변화함에 따라 발생되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2006 년)의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기준으로 채택하여 일원화시키고, 과거의 하상상태와 경년별로 작성되어 왔던 수위-유량 관계곡선들과의 관계 및 수위, 단면적, 유속 등에 대한 수리기하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점으로는 낙동강의 주요지점인 적포교와 진동 지점을 택하였으며, 과거의 실측 유량값을 최근(2006년)하에서의 유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얻어지는 수위(환산수위)와 과거수위와의 관계 및 환산유속과 과거유속간의 관계 그리고 수위-통수단면적 관계, 수위-유속 관계 등의 상관식을 도출하여 기왕의 많은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관해석을 실시하였다.

유량-부하량관계식을 이용한 지석천 유역의 부하지속곡선 적용 및 유황별 유달율 산정 (Application of Load Duration Curve and Estimation of Delivery Ratio by Flow Durations Using Discharge-Load Rating Curve at Jiseok Stream Watershed)

  • 박진환;김갑순;황경섭;이용운;임병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3-530
    • /
    • 2013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and pollutant loading according to flow conditions at jiseok stream watershed (JSW). A flow rate and pollutant load in the study watershed were estimated by equation of stage-discharge and discharge-loads rating curve. By using the methods above, I've evaluated the water quality (WQ) of the JSW if it i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arget. I've collected the data of BOD and T-P from the JSW every 8 days for the duration of 12 months. And then, I've schematized the data upon the load duration curve and the results showed me that the WQ of JSW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arget. I've also collected the same data every each day for the duration of 12 months from JSW and have schematized the data agai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t also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arget. To be concluded, I've determined that point pollution sources of JSW gives more significant impacts to the WQ than non-point pollution sources of JSW and hence, as time goes, point pollution sources will keep depriciating the WQ of JSW. Therefore, further efforts will be required to JSW to maintain the WQ.

유출모의를 위한 주요제어지점 유량특성 분석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Characteristic at Control Point for Runoff Model Application)

  • 이상진;이배성;류경식;황만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905-914
    • /
    • 2006
  •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적용과 더불어 관측자료의 정확한 평가 및 검증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금강유역에 적용하여 모의결과를 주요제어지점인 공주지점의 유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이수기시 저수위 구간에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해 과거 관측유량자료(Rating Curve)의 신뢰도분석 및 유량 재관측($'03{\sim}'05$년)을 실시하였고, 유출성분 분석기법을 활용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여 제어지점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SARR 모의결과 및 유출성분분석에 의한 장기유출량 산정결과는 재관측된 유량과 근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존의 관측유량은 지점의 공간적 특성에 기인한 수리학적 영향으로 인해 평 갈수기시 약 $10{\sim}20%$ 과대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관한 보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C-PDPs with a grooved front dielectric layer

  • Jeong, Jin-Hee;Lim, Jong-Lae;Kim, Oe-Dong;Choi, Kwang-Yeol;Yoo, Eun-H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266-1268
    • /
    • 2005
  • The influence of the grooved dielectric layer on discharge and luminous characteristics has been investigated for various depths of the groove to achieve a high luminance efficiency AC-PDP operated at a lower voltage. We use the voltagethreshold curve technique and address delay jitters to explai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It shows that the surface discharge voltage rely on the depth of the grooved dielectric layer. Vertical discharge voltage remains almost the same as the groove depth increases. The influence of the grooved dielectric layer on discharge and luminous characteristics has been investigated for various depths of the groove to achieve a high luminance efficiency AC-PDP operated at a lower voltage. We use the voltagethreshold curve technique and address delay jitters to explai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It shows that the surface discharge voltage rely on the depth of the grooved dielectric layer. Vertical discharge voltage remains almost the same as the groove depth increases.

  • PDF

수위유량곡선보정방법에 대하여 (A Method of Rating Curve Adjustment)

  • 박정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16-4120
    • /
    • 1976
  • With the use of many rivers increased nearly to the capacity, the need for information concerning daily quantities of water and the total annual or seasonal runoff has became increased. A systematic record of the flow of a river is commonly made in terms of the mean daily discharge Since. a single observation of stage is converted into discharge by means of rating curve, it is essential that the stage discharge relations shall be accurately established. All rating curves have the looping effect due chiefly to channel storage and variation in surface slope. Loop rating curves are most characteristic on streams with somewhat flatter gradients and more constricted channels. The great majority of gauge readings are taken by unskilled observers once a day without any indication of whether the stage is rising or falling. Therefore, normal rating curves shall show one discharge for one gauge height, regardless of falling or rising stage. The above reasons call for the correction of the discharge measurements taken on either side of flood waves to the theoretical steady-state condition. The correction of the discharge measurement is to consider channel storage and variation in surface slope. (1) Channel storage As the surface elevation of a river rises, wat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river channel. There fore, the actual discharge at the control section can be attained by substracting the rate of change of storage from the measured discharge. (2) Variation in surface slope From the Manning equation, the steady state discharge Q in a channel of given roughness and cross-section, is given as {{{{Q PROPTO SQRT { 1} }}}} When the slope is not equal, the actual discharge will be {{{{ { Q}_{r CDOT f } PROPTO SQRT { 1 +- TRIANGLE I} CDOT TRIANGLE I }}}}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 TRIANGLE I= { dh/dt} over {c } }}}} and the celerity is approximately equal to 1.3 times the mean watrr velocity. Therefore, The steady-state discharge can be estim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Q= { { Q}_{r CDOT f } } over { SQRT { (1 +- { A CDOT dh/dt} over {1.3 { Q}_{r CDOT f }I } )} } }}}} If a sufficient number of observations are available, an alternative procedure can be applied. A rating curve may be drawn as a median line through the uncorrected values. The values of {{{{ { 1} over {cI } }}}} can be yielded from the measured quantities of Qr$.$f and dh/dt by use of Eq. (7) and (8). From the 1/cI v. stage relationship, new vlues of 1/cI are obtained and inserted in Eq. (7) and (8) to yield the steady-state discharge Q. The new values of Q are then plotted against stage as the corrected steadystate cur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