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curve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44초

자갈 및 암반 하상 산지하천의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 분석 (Analysis of Loop-Rating Curve in a Gravel and Rock-bed Mountain Stream)

  • 김동수;양성기;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853-860
    • /
    • 2012
  • 홍수 발생 시 모래하천의 수위-유량 관계가 고리형을 이룬다는 것은 많은 현장 계측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 또한, 홍수파 해석이나 사련에서 사구로 변동되는 하상해석을 통해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의 원인이 규명되어서 고리의 형태나 진행방향 등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도 상당부분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가 급한 자갈 및 암반으로 구성된 산지하천의 경우, 현장유량계측의 어려움과 관측 정확도의 문제로 고리형 수위-유량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물었다. 본 논문은 자갈 및 암반지형의 산지하천인 제주도 한천에서 2011년 태풍 무이파 때 계측한 홍수 유량을 바탕으로 수위-유량 관계를 구축하고, 자갈하천에서 형성되는 고리형 수위-유량곡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량계측 방식으로는 홍수기에 적합한 비접촉식인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홍수의 상승기와 하강기의 유량을 시간 단위로 계측하는 데 성공했다. 계측결과 수위-유량관계에서 뚜렷한 고리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리의 이력이 모래하천과 정반대로 동일수위에서 상승기의 유량이 하강기의 유량보다 작은, 고리 경로의 역전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역전현상은 자갈하천의 조도의 변화가 모래하천의 경우와 반대로 발생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쌍치 수위관측소의 수위-유량관계곡선 안정화를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Stage-discharge Rating Stabilization at the Ssang-chi Gauging Station)

  • 이정주;권현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81-87
    • /
    • 2010
  • 쌍치 수위관측소는 과거 12년 동안 봉부자로 유량을 측정해왔다. 그러나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전이가 수용할 수 없을 만큼 너무 크다. 전이를 분석해 보기 위하여 주요인자들을 검토하였고, 특히 부자법에 의한 유량 산정을 위해서는 두 단면이 필요하나, 상 하단측선의 관측수위가 없어 수위관측소의 수위만을 사용하여 계산된 오류를 교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준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 수위-유량관계곡선에 대하여 RMA2모형으로 수면곡선을 모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유량을 재 산정하여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재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전이의 변동 폭이 줄어들었으며 최근의 수위-유량관계곡선이 물리적으로 합당함을 확인하였다.

평균유속공식의 최적매개변수 산정에 의한 유량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Discharge by Estimating Optimum Parameter of Mean Velocity Equation)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78-5586
    • /
    • 2012
  • 이수 및 치수, 수공구조물 설계 등을 위한 하천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써, 유량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하천의 유량 생산은 수위-유량관계 곡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 곡선법은 측정된 수위와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홍수기 때의 유량을 회귀 분석으로 예측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간편하게, 특히 측정이 어려운 홍수기 때에 유량을 예측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이용하므로 동수반경, 에너지경사, 지형, 조도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인자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하나로 KSCE에 기 게재된 Choo 등(2011)에서 제안한 Manning식과 Chezy식의 경험적 매개변수의 편리한 산정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량을 예측하였다. 실험실 사행 개수로와 India 운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증명하였고 결정계수 0.8 수준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수리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간단하게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실무에서도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alytical Application of Glow Discharge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GD-AAS) Using Three Types of Jet Configurations Under Power Mode

  • Hwang, Jun Ho;Lee, Ki Beom;Kim, Min Su;Lee, Seong Ro;Kim, Hasuck;Kim, Hyo Jin;Lee, Gae Ho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443-448
    • /
    • 1995
  • Three anode configurations of six-jet, cone-jet and cylindrical-jet are tested for their analytical performance under power mode operation. The effect of pressure, power and gas flow rate on atomic absorption signals have been studied. The increase of atomic absorption signal of sample element is observed at a fixed pressure in all configurations as the gas flow rate increase up to 300-600 seem, and as the power dissipated in the glow discharge cell increase. The lower the pressure is in the glow discharge cell at a fixed discharge power and argon flow rate, the greater the absorbance of sample element is. The optimum conditions are taken from these data and a calibration curve of Cu in low-alloy steel sample is obtained. In this calibration curve, six-jet configuration shows the best analytical results varies as the sample element.

  • PDF

Study of AC-PDP's Discharge Characteristics with Variation time and Temperature in High Xe contents

  • Kim, Hyun-Gyu;Lee, Ho-Jun;Kim, Dong-Hyun;Park, Chung-Hoo;Cho, Sung-Yong;Ha, Chang-Seung;Wi, Sung-Suk;Sim, Choung-Hwan;Lee, Hae-Jun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32-735
    • /
    • 2009
  • In this paper, high Xe(Ne+Xe 10%, 20%, 30%) AC-PDP's dischar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ing time were studied. The static margin, Vt close curve, discharge time lag was measured for experiments. According to increase of Xe partial pressure, the static margin and luminance was increased. As the result of analysis for misfiring probability, the misfiring is frequently occurred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of aging time. To improve misfiring, we proposed 3Reset waveform and achieved misfiring probability which was improved.

  • PDF

Bayesian과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Stage-Discharge Curve Using Bayesian and Bootstrap Methods)

  • 임종훈;권형수;주홍준;왕원준;이종소;유영훈;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4-124
    • /
    • 2019
  • 본 연구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하천 유량 산정방법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천 유량 자료는 수문해석과 수자원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정확한 산정 방법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Bayesian 및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식의 매개변수와 기존의 매개변수를 비교하였으며,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준오차법에 t-분포를 적용한 추정치 결과의 신뢰구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회귀분석에 의한 추정값은 약 1~5 %미만의 차이가 보이며, 각 지점에서 수위에 따라 기존보다 더 적용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부분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별로 하천의 특성 및 수위에 맞게 적용한다면 보다 더 신뢰성 있는 유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체형원자로 SMART 냉각재 순환펌프의 전산성능예측 (Comput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 of Main Coolant Pump for the Integral Reactor SMART)

  • 김민환;이재선;박진석;김종인;김긍구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2-40
    • /
    • 2003
  • CFD analyses of the three-dimensional turbulent flow in the impeller and diffuser of an axial flow pump including suction and discharge part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validate the CFD metho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ain coolant pump for SMAR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ction and discharge shapes on the pump performance. To generate a performance curve, not only the design point but also the off-design points were compu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vailable experimental data in terms of head generated. At the design point, the analysis accurately predicts the experimental head value. In the range of the higher flow rates, the results are also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magnitude but also in terms of slope of variation. For lower flow rat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suction and discharge well describe the typical S-shape performance curve of the axial pump.

섬진강 쌍치유역의 기저유출 감수곡선식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 Flow Recession Curve Development in the Ssangchi Basin of the Sumjin River)

  • 김경수;조기태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6-72
    • /
    • 2000
  • 본 연구는 하천유량의 인위적 교란이 비교적 적은 쌍치유역에서 감수곡선식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대상유역에서 관측 수문곡선을 토대로 총 34개의 감수구간을 선정하였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감수계수(0.86)와 감수곡선의 초기유량(0.40 ㎥/sec)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결과를 토대로 선형 및 비선형 감수곡선식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여 대상유역에서 감수곡선식을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에서 산정한 선형 및 비선형 감수곡선식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관측유량에 대한 상대오차 및 평균오차를 산정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선형 감수곡선식이 선형 감수곡선식에 비해 오차의 정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 PDF

팔당댐 방류량 검정을 위한 고안지점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작성 (The Rating Curve of Goan Station for Calibration of Discharge of Paldang Dam)

  • 서규우;허준행
    • 물과 미래
    • /
    • 제28권6호
    • /
    • pp.169-181
    • /
    • 1995
  • 1986년 이후 급격한 하상변동에도 불구하고 고안지점의 수위-유량 관계곡선에 대한 수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90년 홍수시 한강홍수통제소로 제보된 팔당댐 하류부 수위나 방류량 자료들이 고안지점에서 계측된 수위자료에 의한 유량자료와의 비교에서 서로 간의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하류부의 하상변동을 고려하여 팔당댐에서 고안지점 하류를 포함하는 약 2.2km 구간에 대해 1/100 축척의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이 작성된 팔당댐 방류량 산정공식에 의한 방류량자료와 고안지점에서의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작성하였다. 한편 수리모형 실험성과로 작성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RMA-2V모형에 의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위-유량 관계 곡선 및 새로운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비교, 검정하였다.

  • PDF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 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33-44
    • /
    • 2003
  • 유황곡선은 하천유량의 변동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인위적인 유량조절이 없는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을 조사하여 보았다. 유황분석은 IHP대표유역과 대하천 주요 수위관측 지점의 수문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유황은 유역면적에 의존하나 유황계수는 판수계수를 제외하면 유역면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았으며 특히 풍수계수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평수량에 대한 갈수량 및 저수량의 비로 정의한 유황변동계수는 유역면적이 증가하면 작아지고 하천 경사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저수유황변동에 비하여 갈수유황 변동이 유역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