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Related Curriculu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교과의 성취기준 중복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for the Dupl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between Science and Other Subject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231-24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 교과목들 사이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중복성 문제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한 내용 범주는 '우리 몸과 건강', '생물과 환경', '생식과 발', '생물의 다양성', '기술의 세계', 그리고 '자연재해' 등이고, 이들 범주에 제시된 과학과의 성취기준들이 실과, 사회, 체육, 도덕 교과와 중복되어 있다. 이 중 '우리 몸과 건강', '생물과 환경', '생물의 다양성', '자연재해' 범주의 성취기준은 교과목간 중복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관련 교과목들이 공통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교육과정에 진술된 세부적인 성취기준들이 해당 교과목의 본질적인 특성을 비교적 잘 반영하여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생식과 발생', '기술의 세계' 범주의 성취기준은 타 교과목과 중복성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련 교과목들의 성취기준을 하나로 합치거나 통합하는 것과 같은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하며, 또한 관련 교과교육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범교과적인 논의와 조정을 통해 각 교과목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성취기준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ISO 심사원 역량요소의 중요도와 보유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Level & Present Level Analysis of ISO Auditor' Competency Factors)

  • 조기훈;양승원;이동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9-43
    • /
    • 2020
  • 본 연구는 ISO 심사원이 현장중심의 심사역량 제고를 위해서 개인적 특성과 함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지식 및 전문기술 역량의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사원이 필요로 하는 심사역량을 ISO 19011 기반의 전문지식영역, 직무기술영역에 개인적 특성 영역을 더하여 총 50개의 역량요소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현재 활동 중인 ISO심사원을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SO 심사원의 역량영역별 중요도와 보유도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전체역량과 각 역량영역별 최우선 순위와 차기우선 순위의 역량요소를 Borich 계수와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확인된 각 역량영역별 최우선순위의 역량요소들을 고려하여, 심사원의 심사역량 개선을 위해 관련 교육과정 등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품질, 환경, 안전보건, 사업연속성 등 ISO 경영시스템의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afety Measure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Firefighters' 『Investigation Report on Accidents to On-Site Workers』

  • Jo, Chang-Hyu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34-344
    • /
    • 2021
  • The study has suggested a way to minimize safety accidents found in on-site firefighting activity by analyzing firefighters' [investigation report on accidents to on-sie workers]. The study resul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report on on-site workers] shows that while accidents are found to most frequently have occurred to low-ranking firefighting officers such as Sobangsa and Sobanggyo and firefighting officers with career of less than 5 years, fire-extinguishing activity proved to be the most prone to accidents in the category of activity. Second,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variance between injury extent and area based on cause of acciden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nce. In addition,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cause of accident based on category of activity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alling over and sliding' being the highly likely cause of accident in fire containment and rescue activities and 'reckless move' being highly likely case of accident in emergency activities. Third, the result of verifying factors behind the extent of injury done to on-site workers shows that when accident is caused by 'incomplete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extent of injury is substantial. It was also found that rescue activity is accompanied by substantial extent of injury. As a solution to this,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stablish, extend and operate safety-specific curriculum for entrants, develop materials regarding risk prognosis training and explicate training-related regulations, set up safety management measure for a single squad team, upgrade performance of private protection equipment, institutionalize SOP by on-site activity stage, materialize and activate swift rescue team and increase objectivity and proficiency of safety accident investigation.

지역사회와 연계한 공학계열 종합설계 연구 (Research on comprehensive engineering design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 허원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3-139
    • /
    • 2021
  • 4차산업혁명시대, 국제 경쟁력과 신기술을 갖춘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공학 계열 교육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공학 계열에서의 종합설계는 설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산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미래형 인재를 길러내는 교과목으로써 학생들이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실무와 관련한 실제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2019년 공학 계열 종합설계 교과목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대학에서 배운 신기술을 실제 실무에 적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지역 복지시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실무중심의 결과물을 개발한 운영사례를 제시한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사회 복지시설의 문제를 찾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난대응 교육 VR 콘텐츠를 개발한 교육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기존 지진 VR콘텐츠의 움직임 한계를 모션 체어와 연결함으로써 해결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현장에서의 적응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지역사회에 필요한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재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Measures to Enhanc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 Park, Dong-Kyun;Kim, Do-Kyu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1호
    • /
    • pp.27-32
    • /
    • 2009
  • The private security will overcome the limit of public police system and implement a small and efficient government concept.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is security system has naturally been expanded in its functions from crime prevention to prevention of disasters. To manage the emergency by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 private security services to involve some peculiarity and specialty. The policy agenda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for crisis management are suggested. First of all, to provide quality services for emergency management, the guards from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receive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o secure the specialty.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curity instructors with intensive education system for them. Security instructors should be able to effectively handle lots of different matters in the fields of security, but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of education for security instructor indicates that there is not much chance of it. Third, must be natural in light that the private organizations have some limitations in their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scopes. Private security duties are well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police. Lastly, development of high quality crisis management commodities in the private security becomes even more significant. The government should be determined to make an effort to grow the private industry and foster a political environment for the same purpose.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인지행동요인 간의 관련성: 대학생활관 입사생 건강안전기초조사결과를 중심으로 (Association with safety consciousness and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health and safety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on campu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5-3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fety consciousness (SC), cognitive-behavioral strategy (CBS), and safety behavior (SB)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on campus.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to compare the safety behavior by sex, safety related factors, and safety consciousness index in the SPSS 23 program using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health and safety behaviors survey were 2,721 students who have been in dormitories on campus. On the mean of items, the Public Safety Consciousness Index (PSCI) was 93.1, SC was 26.9, CBS was 15.7, and SB was 50.4. I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C, CBS, and SB among university students (r=0.74-0.78), and CBS was identified as the mediator. Finally, it was significant increase the SC, CBS, and SB by sex and participation on safety education, but decrease by age and experience of accident and disaster.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afety education program enhancing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n campus. And it suggests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curriculum of university to improve health status and achieve academic goals.

유해화학물질 취급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ustomized Educ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 이효은;김민규;이봉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6_2호
    • /
    • pp.979-986
    • /
    • 2022
  • Chemical accidents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the industry develops. To prevent such chemical accidents, Korea enacted the Chemicals Control Act. Through these laws, systematic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began. There are various positions in the companies. hazardous chemical supervisors, equipment and technical human, operators and employees. Chemicals-related education for each position should b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urvey, hazardous chemical supervisors and equipment and technical human liked the overall content of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the education subject on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facilities. Conversely, the operators liked the course on how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employees preferred subjects such as classif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Currently, various modular textbooks are widely available.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provide customized subjects that are preferred and intere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n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understanding har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in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의학사서의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교육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and Americ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s to Improve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for User Services: Focusing on MLA and KML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9-9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의학사서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학사서 역할을 조사하여 교육영역을 항목화한 후 미국의 MLA와 한국의 KMLA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의학사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으로 첫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유형, 교육영역, 교육내용, 전문 분야를 선정한 인증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KMLA 가치를 표방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행 교육영역 중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교육설계·상담' 등에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 '재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 정보서비스' 교육을 위해서는 국내 의학사서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규정 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면 교육 참여가 어려운 사서를 위하여 온라인 교육내용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내용만 제공하고 의학사서점수 부여에는 차등을 두거나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