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lief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5초

유럽의 광대역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로드맵

  • 박성균;김남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3호
    • /
    • pp.11-19
    • /
    • 2016
  • 본고에서는 유럽의 PPDR-TC(Public Protection Disaster Relief- Transformation Center)에서 연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광대역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다양한 고려사항들과 적용 기술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도출된 여러 가지 진화 경로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해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재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추진 중인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참조할 점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자연재해 분류 표준안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Standardization for Natural Disaster Classification)

  • 한승희;양금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309-319
    • /
    • 2007
  • 자연재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발생한 재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여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명확한 자연재해의 범주를 정해야 하고 분류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또한 재해발생 시 신속한 현장조사와 함께 데이터가 구축되어 전문가 차원에서의 원인규명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분류체계는 자연재해대책법상에 정해져 있다. 그러나 이 분류는 재해의 관리적 차원에서 분류한 것이므로 기술정보의 구축을 위해 전문가적인 입장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선진 각국들의 분류사례를 수집분석하고 관련분야의 전문가 의견이 고려된 한국형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자연재해관련 정보의 체계적인 DB가 구축된다면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자연재해의 분류체계를 수집 분석하여 전문기술분야에 맞는 한국형 자연재해분류체계안과 온톨로지를 제시하였다.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GPS 기반 Self Triage 앱 개발 (Development of GPS based Self Triage App for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 박주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0-24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 triage application for rescue requests by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Literature was reviewed in order to define application trends and needs. Methods: Development of the self triage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six stages as a hybrid model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ification) of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and Driscoll & Alexander model. Application system function and contents were tried with 6 experts and 4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Results: Expert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for self triage showed that reliability at 5 point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utility at 4.8 points. Scores for quickness and expressiveness were low at 4.6 and 4.2 points respectively. User acceptability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was measured at 66.73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for self triage is helpful to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by providing relief in disaster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use of this application as a self rescue ability can be made available for disaster situations.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rescuers and public relations to improve the access rate of disaster app service.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Established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1-56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전 과정에 적용하여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간 사회 경제 환경 피해 등을 최소화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예측 및 위험징후 모니터링 기술에 의한 예측평가와 재난정보수집분석 및 현장상황 실시간 감지 분석에 의한 5세대 통신시스템의 예방,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몸으로 기억하는 교육과 훈련에 의한 대비, 재난안전관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인공지능에 의한 대응, 정찰 탐색 및 방재 구호에 위한지능형로봇에 의한 복구와 피해규모 분석 현장상황 공유하기 위한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조사 분석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 후 상황에서의 모바일 응용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in Post-Disaster)

  • 유대훈;최웅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97-105
    • /
    • 2013
  • 재난으로 인해 초토화 상황이 발생하면 전기 단절로 기지국을 이용하는 통신 수단이 두절된다. 공공 안전 및 재난 구조 전파 통신 표준 관련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용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운영을 위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막대한 투자비용이 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통신으로는 부족하며, 국가 자원이 투입되긴 전 국민들에게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반인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응용의 설계를 제안하고, 개념 증명을 위해 이를 안드로이드 폰 응용으로 구현한다.

TETRA-TRS의 ITU-R M.2033 기반 국내 재난안전 무선통신망 주파수 소요량 산출 (Spectrum Requirement Estimation for Korea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Based on ITU-R M.2033 in TETRA-TRS)

  • 이순화;김장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A권10호
    • /
    • pp.858-864
    • /
    • 2012
  • 국내에서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을 위해 정부는 국가차원의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을 2015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재난용 신규 주파수 지정을 요청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TETRA와 WiBro 기술방식을 대상으로 주파수 할당 여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U-R M.2033에서 권고한 주파수 산출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을 위한 기술적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TETRA-TRS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소요량을 산출하였다.

국내 공공안전재난구조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 소요량 산출 (Estimation of Spectrum Requirements for Korean Wireless Communication of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 이순화;윤재선;김장복;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09-216
    • /
    • 2011
  •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을 위해 공공안전재난구조 무선통신에서도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에 따른 여유 주파수를 공공안전재난구조 무선통신 주파수에 추가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U-R M.1390에서 권고한 주파수 산출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 공공안전재난구조 무선통신을 위한 입력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요구되는 주파수 소요량을 산출하였다.

Development of a Targeted Recommendation Model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in the Whole Disaster Chain

  • Su, Xiaohui;Ming, Keyu;Zhang, Xiaodong;Liu, Junming;Lei, D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14-27
    • /
    • 2021
  • Strong earthquakes have caused substantial losses in recent years, and earthquake risk prevention has aroused a significant amount of attention.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can help improve the self and mutual-rescue abilities of people, and can create convenient conditions for earthquake relief and reconstruction work. At present, it is difficult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s to meet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of multiple scenarios, as they are highly specialized. Aiming at mitigating this shortcoming,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four user roles (government users, public users, social force users, insurance market users), and summarizes their requirements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in the whole disaster chain, which comprises three scenarios (pre-quake preparedness, in-quake warning, and post-quake relief). A targeted recommendation rule base is then construct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user's location, the earthquake magnitude, and the time that has passed since the earthquake occurred, a targeted recommendation model is built. Finally, an Android APP is implemented to realize the developed model. The APP can recommend multi-form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to users according to their requirements under the three scenarios. Taking the 2019 Lushan earthquake as an example, the APP exhibits that the model can transfer real-time information to everyone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an earthquake.

Deline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plan, relief camp and prioritization using GIScience

  • Joy, Jean;Kanga, Shruti;Singh, Suraj Kumar;Sudhanshu, Sudhanshu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5
    • /
    • 2021
  • Rising urban flood patterns are a universal phenomenon an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city government and urban planners worldwide. Urban flood problems range from relatively localized incidents to substantial incidents, which lead to cities being flooded for a few hours to several days. Therefore, the effect may be widespread, such as the temporary displacement of individuals, disruption to civic facilitie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pidemics. The problems raised by urban flooding are highly challengeable and compound by ongoing climate change, with advers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rainfall and gaps in intra-urban rainfall distribution. Unplanned construction and invasions of large houses along rivers and watercourses have interfered in natural rivers and watercourses. As a result, the runoff has risen in proportion to the urbanization of the urban floods. The location of the relief camp and the priority for evacuation were determined, and the safest route to avoid floods were established. This method can be used for emergency planning in future flood incidents, and it will help plan disaster preparedness for Panchayat. This study will promote the flood plain's potential use for disaster management and land use planning virtually.

인명구조용 근력지원장치의 적용가능한 재난현장 분석 (Analysis of the Disaster Sites using Power-assisted Devices for Rescue)

  • Lee, Minsu;Park, Chan;Kim, Jingi;Lee, Donge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73-2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명구조용 근력지원장치 개발의 필요성, 목적,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개발완료 예정인 근력지원장치가 적용가능한 재난현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재난을 분류하고 근력지원장치가 적용가능한 대표적 공통 재난현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용가능한 재난현장으로 13개 재난현장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로 사회재난현장으로 8개 현장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현장은 화재현장(진압), 화재현장(구조), 붕괴사고현장, 교통사고현장, 폭발사고현장, 화생방사고현장, 환경오염사고현장, 기타 안전사고발생 현장이다. 두 번째로 자연재난현장으로 4개 현장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현장은 지진발생현장, 홍수발생현장, 태풍발생현장, 기타자연재난현장이다. 마지막으로 기타 재난현장으로 1개 현장으로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