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Reside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이 주민방재역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구 신덕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mpact on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Residents in Resident Participation Safety Improvement Project -Focused on Project of Creating a Safety Village in Sindeok, Daegu-)

  • 윤상훈;박소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58-767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이 주민방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사업 전·후의 주민방재역량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은 사업 전·후로 주민방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피난대비정도, 조직방재역량과 관련된 부분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을 추진할 때, 주민 및 지역의 방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고민해야 한다.

표본추출법을 이용한 연안주민의 재해대응능력 평가 및 특성 분석 (Assess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nd Feature Analysis for Coastal Residents of Korea using Sampling Process)

  • 강태순;오형민;김종규;정광영;황순미;김수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1
    • /
    • 2017
  • 본 연구는 연안주민의 재해대응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표본크기는 4,520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pm}1.5%p$이다. 조사결과 10개 지문 중 비상연락망 파악이 72%, 재난방송청취가 6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자율방재단이 17%, 재난대비 훈련 참여가 18%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재해대응능력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응급처치요령과 재난대비 훈련 참여는 10대와 2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업군별로는 공무원이 재해대응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적 분석결과 동해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남해안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안주민 재해대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재난대비교육 및 홍보 개선이 필요하다.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조사 연구 -인제군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 중심으로- (A Research Study on Monitoring for Establishing Disaster Safety Villages in Rural Areas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in Garisan-ri, Inje-gun-)

  • Koo, Wonhoi;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98-4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하여 최근 발생한 충청지역 수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6년 수해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 마을에 대해서 방재적 측면으로 복구하여 현재까지 방재체험마을로 운영하고 있는 지역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 현황에 대해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은 수해복구 당시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으며 현재까지 농산촌 재난안전마을의 수범사례로 운영되고 있고 주민의 방재역량도 강화하기 위해 자체 훈련,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절하게 적용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