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Information

검색결과 3,406건 처리시간 0.039초

Internet GIS를 이용한 방재정보시스템 구축 (The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Internet GIS)

  • 여운기;장경수;전지영;지홍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20-6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Internet GIS to manage disaster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and timely. This system has good potential with environment of Internet which has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rapidity, wide reach, generality, cost effectivity for disaster management. With this system, general user can easily retrieve disaster information with visuality such as maps. graphs, and texts just by using web browsers. Hence the need of developing Internet GIS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is growing in these days.

  • PDF

Expansion of ATSC 3.0-Based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 Song, Chong-Hy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3호
    • /
    • pp.227-232
    • /
    • 2022
  • Disasters are now becoming commonplace and especially the vulnerable group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foreigners are in a state of overlapping disasters. In this situation, ATSC 3.0-based UHDTV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has been develop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demand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impaired. The demand analysis data is very important to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how that it is essential to link the UHDTV disaster signals with home-network, IoT, wearable devices, and various assistive devices for the impaired (hearing aid, smart light bulbs, warning light, etc.). In outdoor space, UHDTV disaster information must be connected to public display media, digital signage, kiosk, screens in bus or taxi. If communication aids for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are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isaster information, it will help to minimize disaster damage.

연안도시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분석 (Analysis on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Building Disaster Map of Coastal Cities)

  • 김정옥;김지영;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60
    • /
    • 2016
  • 연안도시는 태풍에 의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석이나 해일뿐만 아니라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이나 저지대 침수 등의 복합원인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재해정보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해지도를 주목하고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를 정립하였다. 연안도시 맞춤형으로 설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프레임은 크게 복합재해콘텐츠, 대피 및 시설콘텐츠, 학습콘텐츠로 구성된다. 제안한 연안도시 복합 재해정보 콘텐츠는 국민안전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픽토그램 긴급알림 전달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Novel Disaster Pictogram Emergency Alert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 김용욱;김현철;조범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76-83
    • /
    • 2023
  • 연구목적: 지진, 호우, 태풍, 화재 등 긴급한 재난 알림 전달이 필요한 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은 소리를 통한 알림을 인지할 수 없으며 문자를 통한 알림의 인지율도 비장애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서 일반적인 수단의 재난알림을 신속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청각장애인의 재난안전 긴급알림 인지의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픽토그램을 통한 재난안전 긴급알림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재난문자 통보문의 문구를 기반으로 청각장애인이 인지하기 보다 용 이한 일련의 픽토그램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위해 재난안전 관련 긴급 통보문과 관련되는 픽토그램 기반의 알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자동변환에 적합한 인공신경망 구조와 훈련방법을 구성하여 재난문자에 대응되는 픽토그램 기반의 청각장애인 재난안전 긴급알림 시스템 구성이 제안되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인 뿐만아니라 일반인 또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픽토그램이 신속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취약계층의 취약성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종 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보건방재체계의 현황 (Health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for Response to Newly Emerging Terrorism)

  • 왕순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3-89
    • /
    • 2005
  • The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spite of many obstacles,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for response to newly emerging terrorisms due to the existing problem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The newly emerging terrorism in 21th century like biochemical terrorism has made us focus on terrorism preparedness, but health and medical aspect of terrorism has been overlooked. The health disaster system is more necessary for 21th terrorism response as well as the disaster engineering, economic and administrative aspects. The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for bioterrorism has been developed by Ministry of Health with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and no case has been found in Korea yet and the resources of personnel and equipment as decontamination system in medical facilities are lacking in case of chemical terrorism. So through the multiple access method reflecting the risk factors in real terrorism field and human based health disaster concept, the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system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 should be suggested.

  • PDF

재난안전 분야 핵심 학술지 탐색 및 네트워크 분석 연구 (Study on Determining Core Journals and Network Analysis in the Field of Disaster & Safety)

  • 김병규;류범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73-397
    • /
    • 2019
  • 최근 발생하는 재난의 형태는 복합적이며 대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고 없이 발생하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활용되는 정형화된 재난안전정보 이외에 재난안전 분야의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DB와 재난안전정보 공유 플랫폼 기술개발 R&D 사업에서 개발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재난안전 분야 학술지를 식별하고 논문 콘텐트의 데이터 식별 및 전처리를 통해 인용관계 네트워크, 공저 네트워크,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분석 단위별로 구축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난안전유형별 국내 및 해외 핵심 학술지, 주요 연구기관, 주요 키워드와 개별 정보간의 연결 구조가 자세히 파악되었으며 사례별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정보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System using Service of Internet portal site)

  • 이중기;김성후;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45-751
    • /
    • 2012
  • 빈번한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사회적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에서는 더욱 체계적인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전자재해지도와 같은 GIS기반의 재난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특정지역만을 고려하는 독립적인 형태의 데이터체계와 정보제공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 및 활용측면에서는 취약점을 가진다. 또한, 재난정보서비스를 구축할 경우 데이터의 작업과정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데이터의 인덱스코드에 대한 연구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도 및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 활용하여 더욱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정보서비스를 구현하였다.

LOD기반의 재난안전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 김태영;강주연;김혜영;김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63-188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해 LOD기반의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 및 오프라인 인터뷰를 수행하여 재난안전정보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재난안전정보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재난안전정보 영역과 함께 도출된 재난안전정보 LOD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 LOD의 구축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LOD 구축 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적용하였다. 특히, 재난안전정보 6가지 영역을 토대로 표준용어집 및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온톨로지 개념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Two Models to Assess Fuzzy Risk of Natural Disaster in China

  • Chongfu, Huang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6-26
    • /
    • 1997
  • Chin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where natural disaster strike frequently and cause heavy damage. In this paper, we mathematically develop two models to assess fuzzy risk of natural disaster in China. One is to assess the risk based on database of historical disaster effects by using information diffusion method relevant in fuzzy information analysis. In another model, we give an overview over advanced method to calculate the risk of release, exposure and consequence assessent, where information distribution technique is used to calculate basic fuzzy relationships showing historical experience of natural disasters, and fuzzy approximate inference is employed to study loss risk based on these basic relationships. We also present an examples to show how to use the first model. Result show that the model is effective for natural disaster risk assessment.

  • PDF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재난정보전달 방안 (Method of Transfer Disaster Informations using a Smart-Watch)

  • 이병훈;김명진;정우석;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5-6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난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용한 웨어러블 기기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는 무선 이어폰, 스마트밴드, 스마트워치와 같은 기기들이 있다. 이러한 기기 중에서 재난 발생 시 사용자가 재난 정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기로는 스마트워치가 있다. 하지만 현재 재난문자는 스마트폰에서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수신 받은 재난 정보를 스마트워치로 전달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과 같은 연구가 지속될 경우 재난 발생 시 다양한 환경에서 재난을 인지하고 재난에 대한 대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