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 거주시설을 방문하여 시행한 무료 이동식 치과 진료에 대한 2014년 통계 (시설거주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이동치과진료에 대한 통계) (A SURVEY OF THE TREATMENT IN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SURVEY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 임현수;이효설;최성철;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8-61
    • /
    • 2015
  •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have more difficulty in caring oral hygiene than those living at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ent 2014 dental treatment records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203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participated in mobile dental clinic.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were 75.3%, mental disorder were 6.0%, crippled disorder were 7.4%, brain disorder were 6.5%, visual disorder were1.4%, auditory and speech disorder were 2.3% and autism disorder were 0.9%. Performed treatments were 99 scaling and curettage, 88 fluoride varnish and TBI, 4 extraction, 1 endodontic treatment, 16 caries control (resin filling, GI filling), 1 denture repair and 8 refuse the treatment. Free mobile dental clinic can not provide complex dental treatment. So, the organization should systemize advanced dental treatment and regular preventive programs. Furthermore, we need to have a more concerns abou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nstantly participate on a dental voluntary work.

장애인 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급식관리 실태 조사 (Survey of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according to Welfare Facility Type for Disabled Persons)

  • 오다영;나우리;황서현;이정주;양유진;이혜옥;방지현;이해영;손정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3호
    • /
    • pp.173-189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foodservice and hygiene management statuses at welfare facilities catering to disabled persons by facility type to provide basic data for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An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o workers at 1,984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531 facilities responded, which represented a response rate of 26.8%. The survey requeste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facility users, meals, hygiene, and management.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to investigate responses by facility type.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daycare centers were most common and accounted for 27.4% of responses.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sheltered workshops accounted for 16.9% and 16.4%, respectively, and residential facilities by disability type accounted for 13.0%. The presence of dietitians at welfare facilities varied by facility typ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94.7%)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ietitians, followed b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87.8%). On the other hand, sheltered workshops and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had the lowest percentages of dietitians (10.3% and 4.1%, respectively). This study highlights the variations that exist in foodservice management across different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and emphasizes the challenges faced by those responsible for managing foodservices and maintaining hygiene, particularly in large facilities with no dietitians. Therefore, we recommend tailored meal management guidelines be developed for each type of welfare facility for disabled persons.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 다면성 (Multifaceted Aspect of Inclusive Care Experienced by Residential Child Care Staffs)

  • 윤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05-317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을 통해 통합보육의 다면성과 성공적 통합보육 수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아동양육시설에서 통합보육을 경험한 10명의 보육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따라 전사 자료를 분석했다. 보육사들은 통합보육 수행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적응과정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에게 충분한 돌봄을 제공할 수 없어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들은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때에 받을 수 있도록 행정기관과의 즉각적 소통의 창구 마련, 장애아동 케어와 관련한 보육사 교육지원 및 특수교사 파견 등을 원하고 있으며, 3교대 정책에 대해서는 모두 반대의견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양육시설에서의 통합보육 다면성에 따른 지원방안으로서 보육사의 처우와 급여 문제, 시설보호아동들의 교육 기회와 양육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을 환기 하는데 있어 향후 연구 방향을 추가로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제정에 따른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인 가족대상 탈시설과 자립생활 인식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f Recognition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of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Deinstitutionalization of Disabled)

  • 김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60-666
    • /
    • 2019
  • 본 연구는 탈시설 지원법 제정과 관련하여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 가족을 대상으로한 탈시설과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된 사례는 810명이다. 조사결과로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제정을 인지한 이용자 가족 집단과 인지하지 못한 집단이 대략 절반으로 나뉘었으며 법제정 동의여부, 자치단체노력 여부, 자립가능성, 탈시설 동의여부에서는 동의하지 않거나 자립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가족의 인식은 제공된 정보가 없거나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탈시설과 자립생활에 관련한 서비스나 정보제공이 부족했음을 의미하며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전달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법제정 동의여부와 자치단체노력여부, 자립가능성에 대한 판단과 탈시설 동의여부는 퇴소 후 자립생활에 대한 긍정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퇴소 후 자립생활 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시설 이용자 가족의 올바른 인식과 나아가 이용자의 건강한 자립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보교육지원과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장애인가족 만족도와 장애인 삶의 질 매개효과 연구 (The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Disabled and Family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Family)

  • 김정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49-556
    • /
    • 2019
  • 본 연구는 거주시설 개편작업이 진행 중인 시점에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미래의 거주시설 유형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변인으로 장애인가족의 거주시설 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인 삶의 질에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전국 장애인거주시설의 18세 이상 65세 미만 856명의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810부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가족의 시설만족도는 가족생활만족도와 장애인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장애인 가족의 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장애인 삶의 질을 이끌어내기 용이하며 가족생활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장애인가족의 시설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인 삶의 질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어, 장애인 삶의 질이 높을 때 장애인 가족의 시설만족도와 가족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 본인의 삶 그리고 가족의 원만한 가족융합과 더불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장애인 거주시설 논의를 체계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거주지원서비스 정책과 실천을 재구조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y the Daily Time use Method-)

  • 김미옥;김고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317-342
    • /
    • 2010
  • 본 연구는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4시간을 관찰 기록하는 생활시간조사방법을 활용하여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그 안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생활시간연구방법 중에서는 시간수지연구방법 중 '활동의 빈도'와 생활시간 중 '생활'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분석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2004)를 기준으로 하여, 거주시설 일상생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상호작용 분석은 Flanders(1963)의 언어 상호작용분석모형을 기초로, 지적장애인과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 정도, 유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로 거주시설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있는 그대로 조명하여 그들의 일상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구축하고, 이용자와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점, 생활시간조사방법을 적용한 점 등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련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PDF

무장애 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국내외 편의시설 관련법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onvenience Facilities Laws for the Barrier-free Environment Construction)

  • 윤영삼;강병근;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9-36
    • /
    • 2010
  • Recently, the system that can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barrier to disabled, ensure the substantial independence of disabled and help participation in community of disabled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truction of the Barrier-free environment' which members of societies included the disabled can live safely in the daily living environment. To achieve this result, this study is shown establishment and complementary direction of the policy related convenient facilities by comparing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of the convenient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conflicting part between related laws and design standards shold be constantly supplemented. Secondly, policy to promote convenient in residential part is needed. Thirdly, composition of the organization that can support professional housing reconstruction is required. Fourthly, from early stage of policy making, not only opinion reflection of users but also maintenance of convenient facilities, continuous maintenance plan and making a policy for verification system is needed. Finally, when the revision of the existing policies or new policies undergo, 'Barrier-free perspective' should be considered.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과 종사자의 인권 인식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taff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전동일;김낭희;서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1-18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장애인과 종사자 간 인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4년 장애인 거주시설 인권실태조사'에서 수집한 602개 장애인 거주시설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권과 관련한 16개 항목(인권보장 12개 항목, 인권침해 4개 항목)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권보장 영역의 모든 항목에서 시설 내 장애인의 인권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장애인보다 종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인권침해 영역에서도 종사자 폭행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종사자가 장애인보다 시설 내에서 장애인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p<.05). 연구를 통해 시설 거주 장애인과 종사자는 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인권침해에 대해 서로 상당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인식 차이의 원인은 첫째, 시설 내 종사자의 역할과 장애인의 욕구가 상호 충돌할 수 밖에 없는 거주시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둘째, 인권보장이나 인권침해에 대해 장애인과 종사자 간에 서로 합의된 구체적인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인 거주시설의 장애인과 종사자 간 인권인식 격차 해소를 위해 통합인권교육, 합의된 인권지표개발 등의 전략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후원을 중심으로

  • 김미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61-297
    • /
    • 2004
  •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provid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th proper social services,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but also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ack of skills in developing abundant resources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vise policies in resource development.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Employees in charge o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udy population were two types of welfare facilit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total of 29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63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ponse rate was about 62%.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amount of resource mobilization in the year 2001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donor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gift-in-kind. Three types models were constructed per each welfare facil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community environment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resource development factor.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in various models. In the models of donors,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amount of gift-in-kind, at least one out of four variables in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was significant. Welfare centers which establish the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hire employees to take care of resource development, and adopt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e centers where employe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responsibilities (dual duty), did not have more resources mobilized than those with no employees for resource development. Using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many models, except for the donor model. In additio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urban area have more donors and donations, and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those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those hiring more employee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ose for the disabled and those hiring less employees. As for the gift-in-kind model, the centers located in high income area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and mentally retarded receive less gift-in-kind than those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mobilize resources the welfare centers as well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eed to hav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resource development staffs, and adopt computer software to systematically organize donors.

  • PDF

장애인거주시설 내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dicatorsto Create a Healing Environment in Disabled Residential)

  • 유현정;양희승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5호
    • /
    • pp.343-358
    • /
    • 2022
  • 최근 증가하는 장애인구와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정부는 장애인을 위한 기본법과 편의증진법의 제정 등 장애인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하여 녹색환경 불평등 문제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녹색복지와 환경복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녹색환경복지가 정책적으로 지원되고 있지만, 조성된 녹색복지공간 및 치유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환경을 물리적 측면·심리적 측면·사회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치유환경의 역할 및 공간적 기능이 적합한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전문가 FGI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측면 평가항목 26개, 심리적 측면 평가항목 14개, 사회적 측면 평가항목 11개로 최종 51개의 치유환경 평가항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내 조성된 치유환경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향후 조성될 치유환경의 계획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