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persons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4초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Vacuum Oral Cleaner Developed for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 Lee, Jae-Hyun;Jung, Ki-Won;Kim, Hee-Kyung;Koo, Ki-Tae;Kim, Sung-Hu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2호
    • /
    • pp.1035-1044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laque removal effects of vacuum oral cleaner developed for the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with those of manual toothbrushes and high pressure injection oral cleaner (dental water jet). Meterials and methods : Thirty human subjects were measured with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PHP index) and O'Leary index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oothbrush, high pressure injection oral cleaner and vacuum oral cleaner. These three different oral hygiene methods were conducted with seven-day intermittence.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fine plaque removal rate of three different oral hygiene methods (${\alpha}=.05$). Results : According to the efficacy analysis of plaque removal before and after the oral cleaning using each of three methods, significant reduction in plaque after the treat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state when using toothbrush, high pressure injection oral cleaner, and vacuum oral cleaner was observed (P < 0.001). PHP index of tooth brush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pressure injection oral cleaner, while PHP index of vacuum oral clean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ither of the other two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O'Leary index among the three methods. Conclusion : Effect of plaque removal using the vacuum oral cleaner is comparable to that of manual tooth brush or high pressure injection oral cleaner, so it will be helpful for self-oral hygiene care of the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 PDF

전·후기 노인들의 감각기능,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 전소연;이석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3-36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451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raw data of a 2014 National Survey on Korean Older Person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Results: The key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5% had poor vision function(young-old 3.5%, old-old 7.1%), 3.8% had poor auditory function(young-old 1.7%, old-old 6.7%), 33.0% ha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young-old 30.9%, old-old 35.7%), 3.6% were disabled(young-old 1.6%, old-old 6.3%) and cognitive function influences physical function more greatly than does sensory function. Additionally, in the young-old groups, vision among sensory functions, attent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and IADL among physical functions,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luential. However, in the old-old groups, auditory function among sensory functions, orient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and IADL among physical functions, turned out to be the most influential.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that functions in the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must be considered with all three functions-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that this comprehensive approach is necessary in national policy making.

구개열 환자 발음 판별을 위한 특징 추출 방법 분석 (Analysis of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Distinguishing the Speech of Cleft Palate Patients)

  • 김성민;김우일;권택균;성명훈;성미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372-137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구개열 환자의 장애 발음과 정상인의 발음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징 추출 방법들의 성능을 분석하는 실험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 연구는 발성 장애인의 복지 향상을 추구하며 수행하고 있는 장애 음성 자동 인식 및 복원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의 기초과정이다. 실험에 사용된 음성 데이터는 정상인의 발음, 구개열 환자의 발음, 그리고 모의 환자의 발음의 세 그룹으로부터 수집된 한국어 단음절로서 14개의 기본 자음과 5개의 복합 자음, 7개 모음이다. 발음의 특징 추출은 LPCC, MFCC, PLP의 세 가지 방법으로 각각 수행하였고, GMM 음향 모델로 인식 훈련을 한 후, 수집된 단음절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인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인과 구개열 환자의 장애 발음을 구별하기 위하여 특징을 추출함에 있어서 MFCC 방법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개열 환자의 부정확한 발음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복원하는 연구와 구개열 장애 발음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흡연으로 인한 생산성 손질 추정 (Estimation of Productivity Losses due to Smoking)

  • 김태현;문옥륜;김병익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9-187
    • /
    • 2000
  • Cigarette smoking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preventable morbidity and premature mortality (WHO, 1995), The prevalence of smoking among men is very high in Korea. This study estimated productivity losses due to smoking in Korea, 1997. The derivation of cost estimates for mortality, disability, hospitalization and use of physician services related to cigarette smoking is bas 어 on the calculation of attributable fractions suggested by MacMahon and Cole and Smoking-Attributable Mortality, Morbidity, and Economic Cost(SAMMEC) software. To estimate the number of deaths from neoplastic, cardiovascular, respiratory diseases associated with cigarette smoking, estimates for adults(aged 20 years and over) were based on 1997 mortality data, 1995 data on smoking prevalence fro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moking-attributable indirect morbidity cost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 As the result of cost estimation, these productivity losses were 336-430 billion won. During 1997, 8,620-10,804 deaths were attributed to smoking. Cigarette smoking resulted in 133,991-169,422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YPLL) to life expectancy. For smoking -attributable indirect mortality costs, the present value of future earnings(PVFE) for the age at death are 299-384 billion won. Smoking-attributable indirect morbidity costs, the costs of lost productivity for persons who are disabled by smoking-related chronic diseases are 37-46 billion won.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losses due to smoking were restricted to the health effects of smoking. It is possible that these costs were underestimat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data. Smoking is the leading preventable cause of illness and de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elementary data for antismoking policy.

  • PDF

지속적·포괄적 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활용체계 연구 (A Study on Disability Database and Applicable System to Provid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Service)

  • 이희연;호승희;강현규;이승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308
    • /
    • 2011
  • Background : Demands have increased for a variety of welfare services and customized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A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PWD was needed to provide for comprehensiv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disability database and an applic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service for PWD. Methods : We analyzed local and abroad disability-related policies and systems and derived the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through a survey among rehabilitation specialists. Result :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was composed of 7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 Medicine, Assistance, Education, Employment, Economics and Daily & Social Life. The applicable system of integrated database for PWD was proposed to help conducting policies in such areas as follows ; 'welfare', 'education and culture', 'economic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Health'. Conclusion : The main goal of disability policy an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disability-related data integrating database of PWD. Accordingly, specific objectives and directions for disability policies should be set and efficiently managed and operated.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may be utilized for disability-related policies and service monitering, sustainable and integrated managemen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based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이용행위 분석 (An Analysis on the Users' behavior of the Parking Area for the handicapped)

  • 양숙미;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55-63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중 위반행위에 초점을 두고 위반행위 실태를 분석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점검하여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16개 시도의 관공서, 상업시설, 공동주택, 의료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고속도로 휴게소 등 총 50개소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행위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위반행위는 장애인 주차가능표지 미 부착 행위와 보행 장애인 미 동반 위반행위로 나타났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인식과 홍보를 확대해야 하고, 주차단속에 초래되는 비용 인력 민원 등의 관리운영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위반 행위 개선을 위해 위반행위 발생 후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마련해야 한다.

음료용기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Cap이 달린 유리 및 PET용기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for Drink Bottle)

  • 김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72-181
    • /
    • 2006
  • 유니버설디자인은 사물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음료용기를 통해 지금까지 발견할 수 없었던 모순이나 불합리성을 인식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하여 문제점 도출과 방법에 대하여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음료용기에 대한사용자는 어린이와 노인, 여성과 남성, 일반인과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음료용기의 설계는 건강하고 평범한 남자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어 있어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 즉, 어린이나 장애인은 Cap을 열 수 없거나 외부의 도움 없이는 마실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음료용기를 대상으로 어린이에서부터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문제점에 대한 정량과 정성적 평가를 하였으며 정량적으로는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X^2$)을 활용하였고 정성적으로는 선행연구결과 자료를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서 결과를 지적하였다, 그 대안으로써는 음료용기 디자인을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방법을 개념적 접근에서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community attachment)

  • 김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05-31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에 대한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애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대상은 D시의 지체장애인 227명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독립t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남성(성별), 40대와 50대(연령별), 1급과 2급(장애등급별)의 지역사회 애착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정도에 있어서는 정체성에서는 운동기간과 운동시간, 의존성에서는 운동기간, 친분성에서는 운동기간과 운동강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공동체 의식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심리적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질 필요가 있다.

국내 민간기업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f Major Web Sites in Korea)

  • 현준호;홍경순;신광우;민홍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7-43
    • /
    • 2007
  • 인터넷은 생활의 필수수단이 되어가고 있으나, 장애인은 인터넷 활용이 비장애인에 비해 낮은 실정이며 인터넷 이용에 많은 차별을 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표준제정, 인식제고를 위한 세미나,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정도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민간부문에 대한 실태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포털, 방송사, 신문사, 금융, 교육, 교통 등 장애인의 실생활에 유용한 15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웹 접근성 준수여부를 평가하였다. 15개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의 주요 4개 항목(대체 텍스트, 프레임 사용제한, 키보드 사용보장, 논리적 구성)을 평가해 본 결과, 15개 사이트 모두 웹 접근성의 기본적 항목조차 모두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접근성의 가장 기본적인 지침인 대체 텍스트 제공에 있어서도 1개사를 제외하고 모두 준수하지 못해 국내 민간기업의 웹 접근성 노력은 전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치과병원 근무 치과위생사의 직급체계와 직무유형 조사 (Survey on Grade System and Job Types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

  • 이정숙;조영식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3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uccessful organiz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organizations by understanding rank systems and duty types of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dental hospitals. Methodology/Approach: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 interview survey two times targeting the entire dental hospitals. The first survey secured the response results of 113 hospitals in the result that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190 dental hospitals in the whole country except 24 ones including dental college hospitals, dental hospitals affiliated with medical colleges or general hospitals, military dental hospitals, and dental hospitals for the disabled among the 214 ones which were registered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s of December 2015. The second survey conducted the interview survey targeting persons in charge of personnel management by selecting 34 dental hospitals with rank systems of 4 rank systems and above. Finding: The dental hospital has found that dental hygienists-centered human resources were composed. The number of ranks has found that 1 to 6 levels are shown and level 3 is highest. Titles of staff levels have found that 32 places are highest in order of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