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people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6초

건강보험빅데이터의 고혈압 입원율 분석을 통한 장애인의 의료접근성 실증 분석 (Empirical Analysis of Medical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Health Insurance Big Data)

  • 전희원;홍민정;정재연;김예순;이창우;이해종;신의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ompare and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accessibility and health inequality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We calculated the ACSC hospitalization rate, which is a medical accessibility index, for hypertension,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at accounts for more than 20% of death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Big Data.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01,520, including 64,018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537,501 people without.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hypertension hospitalization rates adjusted for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using SAS 9.4 program. Results: Before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the hypertension hospitalization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1.55%, and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0.49%. After adjusting,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2.11 times higher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preventable hospitalization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higher than that of people without, suggesting that the disabled have problems with access to medical care and health inequality. Therefore, the government's policy improvement is required to close the medical gap for the disabled.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 신경안;이은아;김도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8-96
    • /
    • 2020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활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장 전문가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Field Experts for the Provision of Rehabilitation Sports Activities Services for the Disabled)

  • 강동헌;박지영;은선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13-231
    • /
    • 2021
  • 퇴원 이후의 의료적 조치와 재활치료 이후 연계되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체계의 부재로, 장애인들은 개인별 장애유형 및 특성과 신체기능에 적합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실정에 처해있다. 2017년도 12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들이 재활운동 및 체육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에서 제시한 전문가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선정의 기준은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 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문가(관련 학계, 시설 담당자, 체육 지도자 등)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은 7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Disabled)

  • 권말숙;이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67-3674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학년을 고려하여 같은 비율로 목적유층표집을 실시한 79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은 복지 생활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며, 국가나 지역사회가 돌봄의 주체가 되고, 장애의 정도나 종류에 따른 특수학교나 일반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거주지역내 특수학교 설치가 교육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는 대학생이 많았다. 정보수집 경로는 매스컴을 통해서, 인식개선은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장애인을 지원하는 방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영역별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 교류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전공계열, 성별,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정립과 긍정적 태도를 확립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장애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증진 전략: 대구.경북지역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Strategie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n Physical Activity Programs among the Disabled Using Community Resources: Focusing on the programs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 김가은;김영복;김완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5-13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rategy of promoting participation on physical activity programs among the disabled through analysis of satisfaction o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based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151 disabled people who had physical disability or brain disorder. They had participated o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which were opened in 13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of Daegu and Gyeongbuk.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survey for 2 weeks in May, 2011.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n physical activity program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As for cognitive factors, 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satisfaction by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fitness maintenance factor (p<0.05,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atisfaction by the participating attitude and the participation motives, such as goal-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motives. 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satisfaction by the duration, frequency per week, time per once, and components in term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clusions: To revitalize the physical activity-for-all project for the disabled, it needs to develop the strategy and to enhance the health education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지체 장애인 여성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 및 기능성 의복 디자인 개발 연구 (A Research on the Design Preferences among and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lothing Designs for Disabled Women)

  • 정삼호;이현정
    • 복식
    • /
    • 제56권6호
    • /
    • pp.58-71
    • /
    • 2006
  •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the functional clothing designs for disabled women in the manner of investigating design preferences among them by means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150 disabled women as respondents and interviewe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satisfaction with ready-made clothes, the respondents answered 'very satisfied' (1.6%), 'usually satisfied' (14.1%), 'moderate' (20.3%) and 'unsatisfied' (53.1%), suggesting that they had been generally unsatisfied with ready-made clothes. 2. There were more disabled women preferring to ready-made clothes with one-grade bigger (loose.) size than the actual one (53.1%) instead of completely fitted size (43.8%) when they purchased such cloth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y prefer to ready-made clothes with bigger size than the actual one because most of such clothes are made up of non-elastic materials which may be unfavorable for wearer's activities. 3. It was found that primarily worn upper garment among them was T-shirt (59.4%). The reason may be that T-shirt is favorable for using prosthesis and orthotics such as wheelchair, walking stick and crutches thanks to its remarkably high activity as well as simple to maintain, compared with other kinds of upper garments. 4. Regarding preferences to functional clothing designs, the primarily worn lower garment among them was trousers (85.9%); the reason was easiness to move. The main reasons of avoiding to wear a skirt included 'difficult to move' (40.6%) and 'exposed disabled region' (30.3%). Accordingly, functional clothing for disabled women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for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ssociated with the disabled region such as wheelchair user, crutch user or brace user, In addition, the designs should be made so that they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for non-disabled people.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

  • 유용식;권순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08-51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학교생활과 개인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장애이해교육이 시간을 무조건 많이 제공하기보다는 4주라는 짧은 시간이라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사회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장애아동들의 사회생활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식이나, 장애에 대한 무지로 인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접근방식의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통약자 지원시스템을 위한 요구사항과 유즈케이스 (System Requirements and UseCase for Mobility Impared People)

  • 남두희;임관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8-71
    • /
    • 2007
  • 교통약자 즉, 장애인과 노약자의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을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의 실현은 건축, 도시, 교통, 도로 등 통합적인 측면에서 생활환경의 설계기준 재정비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과 함께 사회활동에 필요한 편의시설의 다양한 정보접근과 이용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하며,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편의시설의 이용성을 제고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편의시설의 이용성 향상을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대표적 교통약자인 장애인 노약자가 사회생활을 하기 위하여 주거지를 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장애인, 노약자의 행태조사 및 요구조사를 통한 요구사항분석과 장애인, 노약자 중심의 생활 및 이동지원시스템관련 국외 연구동향 및 관련 기술요소파악 및 시스템 요구조건과 유즈케이스를 도출하였다.

  • PDF

2008년도 직무교육참여 공공기관치과의사 대상 전문교육발전방안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Survey o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dentist's professional education by the participating dentists of the 2008 public dentist's education)

  • 김미자;김미경;유희영;최용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호
    • /
    • pp.31-4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ublic dentist's professional education for 81 dentists employ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and dental clinics in the National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was to improve public dentist's abilities to perform their duties. The 3days education was from 28 May until 30 May in 2008. The total 81 participants consisted of 8 medical position dentists, 20 employment position dentists, and 53 public health dentists. The survey provided appraisal of the education and suggestion of the development after this educ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 l. The public dental health project for the disabled people(91.4%) was a top priority. The second rank was the public dental health education project (87.6%) and the public dental health project for the aged people(86.4%) was followed. 2.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public dentist's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s were necessary(87.6%). 3. The participants did not have difficulties in attending this education(56.8%). 4.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2008 public dentists' professional education were satisfied with this educational programs(81.4%). 5. Not only did the public dentists need the preventive dentistry programs and the treatment of the disabled people but also needed the health administrative programs and the health statistical programs in the future.

  • PDF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 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and the Predictor Factor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 이계승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75-402
    • /
    • 2014
  • 이 연구는 장애와 그에 따른 부가적 실체(낙인, 편견, 차별,, 사회적 제약 등)들로 인해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 사회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차~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3206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초기 높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완만하게 감소하고,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가파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