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간병요양중인 산재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간병인에 대한 만족도 (Survey of ADL of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and the Caregiver Satisfaction Degree)

  • 최정명;오진주;김춘미;이현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ith a caregiver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ervices according to kinds of caregiver,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78 patients in three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s of H, A and D cities from July to August, 2006. Five inspectors interviewed with the disabled by visiting the hospita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s, t-test, etc.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ADL which ranged from 1 to 7 was 3.6. The 51.5 percent of caregivers for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ere non-professional and the 48.5 percent of caregivers were professional. 50.9 percent of the reason for the family caregivers was because of economical one. The caregiver satisfaction degree was 3.7 out of 4. The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professional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non-professional family caregivers for their excellent knowledge and techniques. Conclusion: A nursing expenses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as intended to provide appropriate nursing services for the patient and so, it should not be a kind of income. So, the system for caring services should be investigated and the qualification of caregiver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or ADL.

  • PDF

고용주의 정신장애인 고용경험에 관한 연구 (The Lived Experiences of Employers among Employ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 변은경;김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33-4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고용경험이 있는 고용주의 고용경험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고용주 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는 녹음하였으며, 자료는 Braun과 Clarke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주제모음,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1) 막연한 걱정에 부딪침, 2) 계속되는 설득으로 혼란스러움, 3) 내 업무의 경계가 흔들림, 4) 팀의 일원이 되어감, 5) 더 나은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기대함, 6) 사업체가 단결되어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 근로자의 고용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신건강분야는 정신장애인을 고용하는 고용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ibuting factors of wage inequality in employment compan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최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07-2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 기여요인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노동자의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8년 기업체 장애인 고용실태조사』의 원자료 중 주요 변수에 결측이 발생한 케이스를 제외한 3,546건이며, SPSS 25와 STATA 14를 이용하여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불평등 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은 '교육수준' 12.63%, '자산' 6.37%, '직무숙련 정도' 4.87%, '여성고용비율' 3.30%, '판매이익' 2.33%, '장애인 노동자 대상 교육 및 훈련 실시' 1.19%, '노동조합가입률' 0.67%, '직장유형' 0.42%, '평균 근로시간' 0.41%, '장애인의 작업 수준에 대한 인식' 0.34%, '장애인 고용이 기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0.23%, '장애인 고용비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0.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자에게 적절한 임금이 제공되기 위한 장애인 고용기업 차원과 사회적 차원, 장애인 노동자 차원에서의 접근을 제안하였다.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조직 환경, 직무 환경 및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성과 소진의 관련성 (Disabled workers living facilitie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relevance of the exhaus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clients)

  • 김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34-8242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조직 환경, 직무 환경 및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성과 소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에게 보다 질 높은 업무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광주 전남지역에 소재한 장애인생활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 환경, 직무 환경,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소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 환경(${\beta}$=-.200, p=.001)과 직무 환경(${\beta}$=-.460, p<.001)은 유의미한 독립적인 요인이었고 설명력은 31.0%였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성(${\beta}$=-.059, p=0.258)은 소진에 유의미한 요인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종사자들은 항상 자긍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하여야 하고, 시설은 조직 환경 및 직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의 식생활영역에서 가사노농 상품대체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and the determinants on it in the domain of food: Focused on the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 김효정;김미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levels of market goods substitution of housework and find out the determinants on it in the domain of food among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equencies, percentile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convenience foods, frozen foods had the highest substitution level, whereas prepared stew had the lowest.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traditional storage foods was the middle. And in dining-out service, the substitution level was mostly high: the level of delivery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dining-out.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these results showed that market goods substitution tended to increase, and its level in the domain of food will promote continually over tim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bstitution level of convenience food wer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occupation, the existence of elderly/disabled person in the family, sex-role attitude, and weekly hours at home-based work.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traditional storage foods was influenced by sex-role attitude, occupation, educ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existence of elderly/disabled person in the family.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substitution level of dining-out service were weekly hours at home-based work,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sex-role attitude.

  • PDF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Work Type and Job Satisfaction of Physically Challenged Laborers on Life Satisfaction

  • KIM, Jae-Chen;KIM, Jong-Jin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0호
    • /
    • pp.15-21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influential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hysically challenged laborers preparing for support plans for their future. This is to enjoy a better life and have social opportunities and to review institutional support or plans for implementation to be applied for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4,161 disabl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mong 2,124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957 wage workers (45%) were primarily extract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581 (27%) with sufficient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s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 First,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tire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People showed higher retired life satisfaction. Secondly,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ver relationship after retirement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Conclusions -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was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influential power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oceed a research as to which factor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in the medium of job satisfaction and also about pl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n experts or the disabled.

국내 장애인 운전재활 연구동향: 2000년도 이후 (Research Trends in Driving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in South Korea since 2000)

  • 조은주;노동희;김광재;배선영;강성구;문성배;감경윤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의 운전재활에 관한 연구동향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를 대상으로 '운전재활'과 '장애인 운전'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선정된 문헌은 총 58편이며, 문헌을 포함하는 학술지는 총 16종이었다. 검색된 문헌은 연구형태와 동향, 질적수준, 연구주제, 연구대상, 발간 학술지 및 학회 등으로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을 4년 간격으로 분석하였을 때 2012년 이후 출판문헌이 29편(50.0%)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시간의 경과할수록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연구형태는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가 22편(37.9%)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설문조사와 고찰연구가 그 뒤를 이었다. 연구의 질적수준은 level I이 전체에서 7편(12.1%)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level III과 IV가 각각 22편(37.9%), 26편(44.8%)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병변장애 연구가 49편 중 19편(38.8%), 연구주제로는 임상평가에 대한 연구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다. 발간 학술지 및 학회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고. 학술지에 따른 연구주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와 대한재활의학회지에서 임상평가 연구가 각각 5편(8.6%), 6편(10.3%), 한국재활복지공학회와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서는 차량개조를 위한 제언이 각 5편(8.6%), 3편(5.2%)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운전재활의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주제, 대상자 진단명, 주로 발간한 학술지의 연구시기,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및 결과 연구, 운전중단하기 및 비주행평가에 관한 연구 등 현실적, 제도적 지원 미비로 인해 연구가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각 유관학회 및 학회지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 및 방향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보다 심도 깊고, 타 분야와의 연계성이 높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요양종결 이후 산재근로자의 취업기간 분석 (An Analysis on the Employment Duration of the Workers Injured in Industrial Accidents)

  • 이승렬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3호
    • /
    • pp.25-52
    • /
    • 2004
  • 1998~2000년에 신규로 장해등급이 판정된 남성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하여 산재보상 수급자 데이터베이스와 고용보험 피보험자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함으로써 취업력(labor history)을 재구성하였다. 이 자료에 기초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원직장복귀가 산재근로자의 주요한 직장복귀 경로이며 고용유지에도 유효하였던 반면, 요양종결 이후의 취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직률을 보였다. 그리고 직장복귀자의 약 6할은 이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자 가운데 77%는 이전 직장의 취업기간이 1년 미만이었다. 한편 다중위험모형을 이용한 취업기간 분석에서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에는 직업탐색기간이 길수록 산재근로자의 취업기간이 짧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요양종결 이후의 첫 직장에서 일자리를 유지하는 기간이 길수록 이후의 취업과 고용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 PDF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Ethical Consciousness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 박종두;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49-15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20년 한국 사회복지사 통계연감의 비율을 기반으로 서울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512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했다. 연구는 IRB 승인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과 통계는 SPSS & AMOS 25.0를 활용했다.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랩핑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정(+)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윤리의식에 관한 역량강화 지원 및 자기효능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와 실천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Working Relationship Scale)

  • 권자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239-263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Working Relationship)'를 측정하는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진행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해 첫째, 문헌연구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3회의 포커스면접을 통해 실천관계척도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학과 교수 2인 및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인 실무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예비문항을 569명의 정신장애인 대상의 실증조사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무선 분할하여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요인 1은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실천과 관련된 '전문가 기여', 요인 2는 '부정적인 실천관계', 요인 3은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친밀감을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로 나타났다. 나머지 표본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33문항의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을 개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