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ilities

검색결과 1,795건 처리시간 0.028초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Study on the Creation of Jobs in the Social Farm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66-479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농업에서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가능성을 모색하여 창출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사회적 농업 활동 중에서 발달장애인 대상 사례를 참조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사회적 농장 다섯 곳을 방문하여 관찰하고, 담당자를 인터뷰하였다. 연구내용은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로서 사회적 농업의 의미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농업에서 지속가능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사회적 농업은 초기단계 있으며, 발달장애인에 대한 치유와 돌봄 중심의 농업체험 중심의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향후 지속적인 농업교육과 활동을 통해서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농업 일자리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농업 분야에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일자리 창출모형은 크게 치유중심의 체험형, 돌봄 중심의 보호작업형, 사회적 일자리 모형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일자리 모형에 스마트 팜 모형과 식물공장 모형을 추가하였다.

A Strategies for Using Smartphone as a Social Real Life T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Park, Sa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55-262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활성화된 사회 환경 속에서 발달장애 학생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회 실생활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발달장애 학생, 정보사회, 스마트폰 사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주제 관련 선행연구 문헌들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발달장애 학생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사회통합 능력 향상 지원 방안을 기술한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기술한다. 셋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 적응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요구 영역을 기술한다. 이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학생이 정보사회에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익히고 배워 이용함으로써 주변 사람들과 상호교류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업재활과 사회통합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교육적으로 지원,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장애인의 인권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이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58-175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차별금지를 위해 과거에 장애인복지법을 개정하는 등의 노력을 경주하기는 하였으나, 인권보장과 차별금지에 관한 조항들이 여전히 강력한 처벌 규정이나 구체적인 구제방법을 담지 못하는 등의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2007년 3월 6일 국회를 통과하여 법률 제8341호로 제정되었고, 20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장애인의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 기초는 평등권의 보장에 있다. 모든 영역에 있어서 소극적으로는 장애인에 대한 부당한 갖가지의 차별을 방지하고, 적극적으로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물리적 제약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현재의 장애인"과 "잠재적 장애인" 사이에 실질적 평등이 구현되는 것이다. 장애인 기본권의 실질적 기초가 되는 평등의 의미는 능력에 따른 평등이 아니라 장애인의 "수요(needs)에 따른 평등"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장애인에게 필요한 것은 돈과 쌀만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실질적으로 평등하게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받고 행복을 추구하며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출발은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올바른 시행이라고 본다.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 -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Mental Health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7-)

  • 홍화영;김종덕;신재승;김재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3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olving mental health problem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the mental health. Methods: We used the chi-square test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data of the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7. 6,437 responses of secondary processed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Socio-economic, health behaviors and risk variables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leisure activities have less depression for two weeks and less suicidal impulses (Depression: [OR]=1.80 p-value<.0001, Suicide Impulse: [OR]=2.26 p-value<.0001).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 of leisure activities, some significance was relevant to depression for two weeks (Depression: [OR]=1.65 p-value=0.0052).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improving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m. In addition, a high quality leisure program should be provided that meets the individual's need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Social Activities)

  • 정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11-7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391명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와, 사회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교차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79.7% 미취업 상태는 39.3%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신중하게 검증한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5.2배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로 볼 때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적극적인 취업지원과 취업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원고용과 장애인 표준사업장 확대, 직무지도원 제도 도입과 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제언하였다.

장애인 차별금지 및 인권보장에 관한 담론 (Discourse o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Guarantee of Human Rights)

  • 김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5-200
    • /
    • 2022
  • 장애인 인권이 우리 사회에서 논의 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이다. 1975년 UN총회에서 채택된 장애인 권리 선언을 바탕으로 1988년 12월8일 장애인 인권 헌장이 채택되었다. 장애인 인권은 모든 인간이 가지는 인권의 기본사항을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 받아서는 안된다는 중요한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장애인의 인권은 보편적 가치이며, 기본 권리이자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선언이다. 인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다루는 중요한 이념이다. 인권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본 패러다임이다.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은 어떠한 이유로도 차별 받지 아니하여야 하며 장애인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그들은 사회복지서비스를 동등하게 받아야 하며 체감 가능한 정치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인권에 관한 사항에 대해 장애인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장애인 인권을 보호하고 변화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지역사회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지방정부의 실효성을 담보한 제도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nal Stress in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aternal Quality of Life)

  • 이재혁;김희영;이종화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1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stress in rearing children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rearing these childre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others.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5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SPS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1) The mean score for maternal stress in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3.46, and for quality of life, 2.80. 2) Stress in rearing these childre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761, p=.000).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decrease the stress of rearing these children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offered to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PDF

치과진정법과 전신마취를 이용한 장애환자의 보철치료 (Prosthodontic Treat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Dental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 김윤희;이진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1
    • /
    • 2012
  • In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poor oral hygiene because of less attention and ability to perform a dental care. So the increased prevalence and severity of dental disease were common oral state. Although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need a adequate dental treatment, it is often very difficult to treat because of noncooperativity and involuntary muscle movements. Dental treatments under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were make to provide a high-quality dental service because of decreased anxiety and fear associated dental treatment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ntal professionals must be able to select and apply the proper sedation methods in agreem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ies, general conditions, sedation experience and capacity of dentist, type and time of dental treatment, equipments of dental clinic, consent of patient's protector. The proshodontic treatment procedures, such as abutment preparation, dental impression taking process, try-in process of prosthesis and adjustment of occlusion, are difficult even for patients without disabilities. Those procedures are more difficult to patients with disability because it's too hard to control breathing and muscle. In this report, we performed prosthetic dentistry procedures to three patients with disabilities under dental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ic Ability on Receptive Attitud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강영심;이정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429-1439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ic ability on receptive attitud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measure cognitive, emotional empathy ability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argeting 300 students of middle school 2,3 grades. Empathy ability consists of 20 questions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composed of 31 questions, which are three sub-areas like personal life, school life and learning activities. Aft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op 30%, middle 40% and bottom 30% according to their empathy ability,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ceptive attitude as a whole and the sub-areas. And the top group with high empathy ability had more acceptable attitude.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eptance attitud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gnitive empathy ability rather than emotional empathy ability.

만성질환 및 장애자의 성(性) 재활에 관한 문헌 고찰 (Literature Review about Sexual Adjustment for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ies)

  • 김순용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
    • /
    • 1997
  • Improving quality of life can be achieved by rehabilitating one socially and restoring their sexual life. Holistic ca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ans the rehabilitation nurse intervenes when problems of sexual function are discovered, observed, or expressed. However, most people with chronic illnesses and disabilities must confront prevalent myths about their sexual nature and abilities. These myths often have their basis in the notion, common in our society, that the only people who are sexual are those who are young and beautiful. People who are obese, old, or do not conform to current standards of sexual attractiveness are usually deemed as asexual or undesirable. These narrow sterotypes have been particularly damaging to physically or mentally disabled people. People with chronic illnesses and disabilities often have special needs regarding their sexual behavior. Most of us will confront chronic illness or disability in our own lives to some degree. In addition, illnss or disability can occur at any age. In this study, I discuss some of the special needs of people with chronic illnesses and disabilities and the methods of coping with those needs. I also discuss some of the sexual concerns that people with chronic illnesses and disabilities have in common, and the assessment of sexual function and nursing strateg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