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466

Study on the Creation of Jobs in the Social Farm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m, Jae-Hyun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and to derive job-creation plan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ases of social farms targe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overseas social farming activities. And we visited and observed 5 social farms in Korea and interviewed the person in charge. The content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social farming as a job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ways to create a sustainable job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farming in Korea is in its infancy, and most of the activities are centered on agricultural experiences focused on healing and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it was concluded that continuous agr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are sufficient as suitable agricultural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job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The job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a healing-oriented experience model, a care-oriented protective work model, and a social job model. In addition, a smart farm model and a plant factory model were added to the social job model.
Keyword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Farming; Creation of Job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애, 발달장애인 도시농업분야 직업영역개발-식물공장을 중심으로, 2013 EDI 연구보고서 다이제스트, 한국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2 서울특별시, 2018년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지원 사업 안내, 2018.
3 농림축산식품부, 2020년 신규 사회적 농장, 거점농장선정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9.
4 김정섭, 나현수, 사회적 농업, 연대와 협력의 실천, 농업전망[1] 농업.농촌의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pp.155-17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5 이정해, "유럽의 사회적 농업- 실천과 지원 정책," 농정연구, 제63호, pp.48-71, 2017.
6 농림축산식품부,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시범사업시행지침, 2018.
7 F. D. Lacovo and D, O. Connor,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Toscana: ARSIA, 2009.
8 김정섭, 안석, 이정해, 김경인,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9 임송수, 임지은, 사회적 농업: 패러다임의 전환, KREI 현안분석 제26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10 김경미, 정순진, 김재순, 장혜숙, 치유농업분야 주요개발기술과 향후 계획, 2018년도 도시농업 개발기술현장 설명회 자료집, 치유농업연구실, 2018.
11 L. Fazzi, "Social Co-operatives and Social Farming in Italy," Sociologia Ruralis, Vol.51, No.2, pp.119-136, 2011.   DOI
12 임송수, 김승애, "유럽의 사회적 농업 개관과 이탈리아 사례," 세계농업, 제195호, pp.9-30, 2016.
13 이혜진, "영국의 사회적 농업," 세계농업, 제196호, pp.9-26, 2016.
14 안규미, "독일의 사회적 농업," 세계농업, 제197호, pp.9-30, 2017.
15 정상택, "독일의 사회적 농업 사례," 농정연구, 제63호, pp.127-148, 2017.
16 전영현, 임송수, "일본의 사회적 농업," 세계농업, 제196호, pp.27-47, 2016.
17 코시바유리에외, 홍지영 역, "일본의 사회적 농업-농업과 복지의 연계," 농정연구, 제63호, pp.72-98, 2017.
18 이윤정, "네덜란드의 사회적 농업: 치유농업을 중심으로," 세계농업, 제195호, pp.31-45, 2016.
19 황정섭, 황윤민, "케어팜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네덜란드와 벨기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358-272, 2020.   DOI
20 임송수, "사회적 농업: 결론 및 시사점," 세계농업 제197호, pp.31-45, 2017.
21 카와테 토쿠야, 일본의 복지농업 현황과 지원정책, 치유농업과 농촌관광의 6차 산업화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pp.67-84, 2015.
22 김범규, 유은경, 김경애, 2013년 직업영역개발 사업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23 http://purme.org/
24 현정훈, 진홍섭, 홍자영, 안수향, 최종철, 이효성,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1차 산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농업분야 고용사례 및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25 김진우, 김고은, 김미옥, 김용득, 김행란, 발달장애인복지론, EM커뮤니티, 2014.
26 박주영, "뇌병변 장애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pp.542-552, 2019.   DOI
27 남용현, 김기룡, 송남영, 발달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 장애인고용공단,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