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al Sign Syste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정보전달을 위한 유도사인 조형요소와 사용성에 관한 연구 - 코엑스 몰의 신 ${\cdot}$ 구(新 ${\cdot}$ 舊) 유도사인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formative elements and usability of the directional sign fo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Focus on the old and new directional sign at the COEX Complex -)

  • 이유경;백진경;이경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117
    • /
    • 2005
  • PDF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대형쇼핑몰 유도사인 시스템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Formative Elements of the Directional Sign System for the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Shopping Mall Complex)

  • 이유경;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73-382
    • /
    • 2004
  • 현대사회는 도시팽창 문제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해결을 위해 복합기능을 가진 대형건물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내부공간의 기능과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쇼핑몰 내에서의 길찾기(wayfinding) 문제는 고객이 수월하게 해결 할 수 있다면 결과적으로 쇼핑몰이나 일반 상점에게 더 많은 이익이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다양한 연령층과 성별, 지식정도 등에 구애됨 없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신속ㆍ정확하고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유도사인(directional sign)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의 문헌 분석을 통해 시각적 관점에서 유도사인의 조형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여, \circled1문자, \circled2픽토그램, \circled3색채, \circled4레이아웃, \circled5형태, \circled6위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특징을 알아보았다. 둘째, 지하공간이 생겨난 배경과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국내 3곳의 지하쇼핑몰 유도사인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들의 유도사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비교ㆍ종합하여 길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장소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쇼핑몰이라는 특정 장소의 조사와 장소별 제안으로 그 장소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지만, 향후 이용자들의 인지심리와 장소의 환경적 특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쇼핑몰뿐만 아니라 다른 건축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유도사인 디자인 전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속철도역 안내표지판의 특성 분석 및 표준화 방안 (Analyzing the situation of directional sign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and the method to standardize them)

  • 한찬석;김부원;김시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6-1406
    • /
    • 2008
  • The Directional sign system in Korean high speed railway stations has a lot of problems. For an example, It lacks of consistency in the shape or allocation. Also, the signs do not match with the actual directions sometimes. Last but not least, the view is blocked by the other signs such as advertisement or other barriers.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that includ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First, we categorized signs into directional signs, locational signs, and informational signs. Then, we examined the actual high speed railway stations in Korea to learn the real situation. Finally,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ar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 PDF

도서관 서고 유도 Sign System 현장 사례 연구 - S대학 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Sign System in a Library)

  • 박상근;이재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339-359
    • /
    • 2019
  • 본 연구는 서고 내부에서 이용자가 목표지에 보다 능률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고 Sign System의 구체적 적용에 대한 사례 및 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 중앙도서관의 서고 구조, Sign 현황, 이용자 관찰, 이용자 선호조사, 시안제작 등의 절차를 거쳐 도서관 서고 현장에 새로운 Sign을 적용하였다. 상세한 제작과정 및 이용자의 반응을 파악하고, 추후 대형 도서관 서고 Sign 제작 시 보완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언하였다.

고속철도역 안내표지판의 특성 분석 및 표준화 방안 (Analyzing the Situation of Directional Sign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and the Method to Standardize Them)

  • 김부원;한찬석;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539-543
    • /
    • 2008
  • 현재 고속철도역의 안내표지판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모든 고속철도역에서 모양이나 배치에 대한 통일성이 없다. 그리고 시설물의 안내 표시가 실제 위치와 전혀 다른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도 있다. 또한, 광고나 다른 장애물에 가려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내표지판의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의 특성을 포함하는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공하는 안내정보의 의미와 방법에 따라서 방향안내, 위치안내, 정보안내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유형에 따라 전국의 고속철도역을 조사하여 안내표지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안내표지판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 방향인지를 위한 유도사인에 관한 연구 -3차원 공간에서의 2차원적 방향표식을 중심으로 (Effective directional signs for the clear cognition of directions -2-D expression of directional sighs in 3-D spaces)

  • 심은미;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5-22
    • /
    • 2003
  • 공공시설물에서의 사인은 정확한 의미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유도사인의 경우는 우리 주위환경과 루트를 적절히 표시하고 인식시키면서 우리의 행위를 유도해 주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유도사인은 3차원적 공간의 방향을 2차원적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는 실제의 3차원 공간 속을 이동할 때 혼란을 유발시키는 한 요인으로 간주된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유도사인의 역할을 재 검토해보고 시지각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유도사인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재 이용되는 역의 유도 사인은 방향정보 전달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화살표의 표현방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공간 인지적 메카니즘을 토대로, 방향 정보 전달에 있어 현행의 2차원적 화살표 표현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이러한 새로운 모색은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구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Real Time Recognition of Finger-Language Using Color Information and Fuzzy Clustering Algorithm

  • Kim, Kwang-Baek;Song, Doo-Heon;Woo, Young-W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1호
    • /
    • pp.19-22
    • /
    • 2010
  • A finger language helping hearing impaired people in communication A sign language helping hearing impaired people in communication is not popular to ordinary healthy peop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real-time sign language recognition from a vision system using color information and fuzzy clustering system. We use YCbCr color model and canny mask to decide the position of hands and the boundary lines. After extracting regions of two hands by applying 8-directional contour tracking algorithm and morphological information, the system uses FCM in classifying sign language signals. In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is proven to be sufficiently efficient.

수치영상처리 및 패턴 인식에 의한 도로교통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안 연구 (A Study of Effective Method to Update the Database for Road Traffic Facilitie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 최준석;강준묵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37
    • /
    • 2012
  • 도로의 확장 및 신규 도로의 설치로 인하여 도로교통시설물의 변경 및 신규설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및 운전자의 증가와 함께 교통안전을 위한 도로 및 교통안전표지는 지속적인 증설과 관리가 요구된다. 도로 시설물 중 교통안전표지판을 신속하게 갱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표지판에 대하여 자동인식기능을 개발하고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효율적 갱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좌표측정을 위한 전방위 카메라 표정요소 산출, GPS/IMU/DMI 통합시스템 구축 및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법을 제시하였다.

박물관 전시부문의 관람객 유도사인과 공간구조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al Information Sign to Destinations and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Exhibition Spaces of Museum)

  • 임채진;박무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05-212
    • /
    • 2006
  •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an ultimate objective in planning an exhibition space is spectators' experiences shaped by a result of their first-hand experiences and responses within an exhibition space, and this result can be recognized in the spectators' movement. Thus, the sign system that can directly affects viewers' main line of flow and movement patterns was examined vis--vis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 in a triangular composition with the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and the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the findings, predictive values before and after a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the sign system to the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was analyzed and its validity was asses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were drawn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s of direction sign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viewers' movement,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 exhibition space. In terms of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space units that form the space structure, it suggests that the distribution of sign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can adjust the degree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Even though exhibition spaces for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useums, but the research was limited with a focus on the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and sign systems. Thus, it is proposed that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y including varieties of exhib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지하철 환승공간에서 경로탐색(wayfinding)을 위한 시환경 지각 요소에 관한 연구 - 지하철 사당역, 서울역, 종로3가역, 공덕역을 중심으로 - (Visual Performance Evaluation Study of Wayfinding Factors in Subway Transfer Station - Focus on the Sadang Subway Station, Seoul Subway Station, Jongro3-ga Subway Station and Gongduck Subway Station -)

  • 송현지;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67-177
    • /
    • 2013
  • The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 use of ground space as comfort and efficient as that of ground space. The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provide visual informations in underground spaces wher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only by the surroundings expand their role as affordance for wayfind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performance evaluation of wayfinding factors on the subway transfer station platform and aisle as major space for movement in four subway transfe stations and analyzes the material, pattern, color, and lighting provided by the visual environment in underground space as directional marked label, regional differentiation and sig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e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directional marked label at the subway platform and transfer aisle, following patterns are colors, finishing materials and lighting for the sake of safety and convenience,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following colors are patterns for the space division. Finally sign system which practically provides the most information, however, it is most insufficient to be a space-preception el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tform structures, such as an island platform and a separate platform, the main areas of and necessity for the space-perception elements may bring about changes. Third, these four stations that has been analyzed for this study, lighting, compared with color, finishing material and pattern, has been highly insufficient to be a perception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