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al Broadcas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Application of Network Coding to IEEE 802.16j Mobile Multi-hop Relay Network for Throughput Enhancement

  • Lee, Kyung-Jun;Sung, Won-Jin;Jang, Ju-Wook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0권4호
    • /
    • pp.412-421
    • /
    • 2008
  • We observ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relay stations (RSs) allowed in current IEEE 802.16j draft standard for multi-hop relay networks may involve severe interference among the RSs, hence leading to throughput degradation. Allowing only 1/3 of the RSs to simultaneously transmit instead of 1/2 RSs as in the current draft standard reduces the interference but results in reduced throughput. To remedy this problem, we devise schemes to incorporate network coding at link-layer level (decode-and-forward) into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RSs. Data movement is rearranged to maximize coding gain. Formula is derived to dictate exact movement of packets traveling between base station (BS) and mobile stations (MSs) via intermediate RSs. The frame structure in the current IEEE 802.16j draft standard does not allow broadcast needed for network coding. We devise a new frame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broadcast. A new R-MAP (pointers to the burst data) is introduced to implement the broadcast. Since our new frame structure is used only for BS to RS or RS to RS communication, our schemes retain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MSs based on IEEE 802.16e standard. Simulation based on simple configuration of RSs shows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erms of system throughput and round trip delay. For a 4-hop relay network with 1 BS and 4 RSs with symmetric traffic in uplink (UL) and downlink (DL), throughput is improved by 49% in DL and by 84% in UL traffic compared with IEEE 802.16j draft standard under the assumption that omni-directional antennae are used in BS and RSs.

Lower-order ARMA Modeling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for Sound-Field Synthesis Systme

  • Yim, Jeong-Bin;Kim, Chun-Duck;Kang, Seong-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37-44
    • /
    • 1996
  • A new method for efficient modeling of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HRTF's) without loss of any directional information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HRTF's were empirically measured in a real room and modeled as the ARMA models with common AR coefficients and different MA coefficient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RMA model, psychophysical tests show that the proposed ARMA model,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A model, requires a small number of parameters to represent empirical HRTF's and improves the back-to-front confusions in sound-field localization. Thus, significant simplifications in the implementations of sound-field synthesis systems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proposed ARMA model.

  • PDF

영상 스티칭 관점에서 SIFT 특징점 추출시간 감소를 위한 파라미터 분석 (Parameter Analysis for Time Reduction in Extracting SIFT Keypoints in the Aspect of Image Stitching)

  • 문원준;서영호;김동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59-573
    • /
    • 2018
  • 최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등 가장 많은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응용되고 있는 영상매체 중 하나가 전방위 영상 또는 파노라마 영상이다. 이 영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된 영상들을 스티칭하여 생성하는데, 그 과정에서 스티칭에 필요한 특징점들을 추출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IFT 특징점을 추출하는 연산시간을 감소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SIFT 특징점들을 추출에 관여하는 파라미터들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파라미터는 가우시안 필터링에 사용되는 가우시안 커널의 초기 표준편차, 국소극점을 추출하기 위한 가우시안 차영상군의 수, 그리고 옥타브 수의 세 가지이다. SIFT 알고리즘으로는 이 알고리즘을 제안한 Lowe 방식과 컨볼루션 캐스캐이드(convolution cascade) 방식인 Hess 방식을 고려한다. 먼저 각 파라미터 값이 연산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제 스티칭 실험을 수행하여 각 파라미터가 스티칭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두 분석결과를 토대로 성능저하 없이 연산시간을 최소로 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추출한다.

Digital TV 리모컨의 포인팅 방식에 대한 사용성 평가 (Assessment of the Usability of Digital TV Remote Control Pointing Methods)

  • 정경균;김인수;박승권;박용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57-668
    • /
    • 2011
  • DTV는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 점차 진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DTV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관한 연구로 Remote Pointing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업계에서 최근 시도되고 있는 3개의 서로 다른 인터렉션 방식의 Pointing Device 선정하여 경험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기존의 ISO 9241-Part 9에 제시하고 있는 직선궤도상의 Directional Task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곡선궤도상의 Steering Tunnel Task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측정변수로는 수행시간, 정확도,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 그리고 사용자 행위를 포함하였다. 평가결과, 직선궤도 상의 움직임에서 GyroPoint 방식이 Hall Mouse와 OFN 방식에 비해 높은 수행시간을 보였으나 정확도는 낮게 나타났고, 곡선궤도상의 평가에서는 GyroPoint 방식 Hall Mouse와 OFN방식 수행시간과 정확도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 밖의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는 각 Pointing Device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 Pointing 방식에 따라 서로 장단점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궤도 측면과 더불어 곡선궤도를 함께 고려한 평가로 DTV 사용 환경을 반영한 사용성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졌다. 무엇보다 진화되는 DTV 환경에 적합한 리모컨 개발을 위한 평가기준과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상파DMB TPEG 기반 사용자 주도형 메시지 서비스 모델 설계 (TPEG-based User Created Message Service Model Design for Terrestrial DMB)

  • 이상희;조강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17-827
    • /
    • 2008
  • 본격적인 전국방송이 시작된 지상파DMB(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2008년 8월을 기점으로 단말기 보급대수 1,500만 시대가 되었다. 지상파DMB 서비스 그 자체는 상당히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고정형 TV의 이동 수신이라는 보완재 역할에 아직 머물러 있다. 신규 매체로서의 확고한 자리매김과 적자에 허덕이는 사업자의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이는 지상파DMB의 데이터 서비스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을 이용한 교통여행정보(TTI;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서비스가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 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이 교통정보 위주로 다양하지 않아 TPEG 서비스가 크게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TPEG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웹2.0(Web2.0) 환경에서처럼 확장된 DMB2.0 시대 도래에 적합한 양방향 서비스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동통신망 인프라를 이용한 지상파DMB 양방향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는 TPEG-POI(Point of Interest) 응용 서비스의 제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주도된 여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TPEG-UCM(User Created Message) 응용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여 개인 양방향 미디어를 실현하여 사용성을 보였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모드 결정 고속화 기법 (Fast Mode Decision Algorithm for Scalable Video Coding (SVC) Using Directional Information of Neighboring Layer)

  • 정현기;홍광수;김병규;김창기;유정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8-121
    • /
    • 2012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동영상 압축 표준인 H.264/AVC에서 확장된 표준으로써 시간, 공간, 화질적인 측면에서 확장성을 제공하는 부호화 방법이다. 여러 측면에서 제공하는 확장성으로 압축에 대한 효율 등은 좋아졌지만, 상대적으로 복잡도의 큰 증가로 인해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복잡도의 감소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B-화면에서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계층 간 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 부호화 과정의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모드 결정 고속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우선 업-샘플링 (Up-sampling)된 하위 계층의 최적 모드와 이웃한 매크로블록의 최적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SKIP 모드를 검색한다. 그런 후 현재 수행하는 매크로블록의 예측에 이웃한 매크로블록의 최적 모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업-샘플링 된 하위 계층의 최적 모드의 방향성 정보가 순 방향과 역 방향, 양쪽 방향에 따라서 검색 모드 수를 달리하는 방법으로 모드 결정을 고속화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고속화 방법을 수행함으로 얻은 실험 결과는 SVC의 부호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참조 소프트웨어의 원본 대비 53%까지 감소시키며 이에 따른 비트율의 증가나 화질의 열화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양방향 예측 모드를 위한 저복잡도 LIC 방법 연구 (Low-complexity Local Illuminance Compensation for Bi-prediction mode)

  • 최한솔;변주형;방건;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63-47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화면 간 예측에서 LIC(Local Illuminance Compensation)의 복잡도 감소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LIC는 화면 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 블록과 참조블록의 주변 복원샘플을 이용하여 지역 조명 보상을 수행한다. 지역 조명 보상을 위해 필요한 가중치와 오프셋을 주변 복원 샘플을 이용하여 부/복호화기 양측에서 계산하기 때문에 별도의 정보 전송 없이 부호화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지만 부호화 예측 단계 및 복호화 단계에서 가중치와 오프셋을 구하기 때문에 부/복호화 복잡도가 높아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 복잡도 LIC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양방향 예측 시 가중치 없이 오프셋만으로 조명보상을 적용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양방향 예측에서 LIC를 양방향예측을 통해 구해진 참조 블록의 가중 평균 단계 이후 적용하는 방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RA(Random Access) 조건에서 MPEG 표준 실험 영상의 B, C, D 클래스를 이용하여 BMS-2.0.1과 BD-rate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결과로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BMS-2.0.1 대비 BD-rate 성능 관점에서 Y, U, V 각각에 대하여 평균 0.29%, 0.23%, 0.04%의 BD-rate 결과를 보이고 부/복호화 시간은 거의 동일하다. BD-rate의 손실이 있었지만, LIC 파라미터 유도과정에서 곱셈 연산이 제거되고 덧셈 연산이 절반으로 감소됨에 따라 LIC의 계산 복잡도가 크게 감소되었다.

다중 비주얼 특징을 이용한 어학 교육 비디오의 자동 요약 방법 (Automatic Summary Method of Linguistic Educational Video Using Multiple Visual Features)

  • 한희준;김천석;추진호;노용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452-1463
    • /
    • 2004
  • 양방향 방송 서비스로의 전환을 맞아 다양한 사용자 요구 및 기호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증가하는 방송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 이용하기 위해 비디오의 자동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구성이 잘 갖추어진 어학 교육 비디오의 자동 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내용 기반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먼저 디지털 비디오로부터 샷 경계를 검출한 후, 각 샷을 대표하는 키프레임으로부터 비주얼 특징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다중 비주얼 특징을 이용해 어학 교육 비디오의 세분화된 내용 정보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내용 정보를 기술하는 요약문을 MPEG-7 MDS(Multimedia Description cheme)에 정의된 계층적 (Hierarchical Summary) 구조에 맞추어 XML 문서로 생성한다. 외국어 회화 비디오에 대해 실험하여 제안한 자동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이 교육 방송용 컨텐츠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비디오 요약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터보부호를 이용한 반복 위상 추정기법 (Iterative Phase estimation based on Turbo code)

  • 류중곤;허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2호
    • /
    • pp.1-8
    • /
    • 2006
  • 본 논문은 유럽의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의 업 링크 채널 규격인 DVB-RCS에서 사용되는 터보부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반송파의 위상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위상 추정기는 위치에 따라 크게 외부 단일 추정기와 내부 복수 추정기로 나누었고, 외부 추정 방식은 ML(Maximum Likelihood)과 LMS(Least Mean Square)을 이용하였으며 복수 추정기의 경우에는 LMS(Least Mean Square)와 PSP(Per Survivor Processing)방식 적용하였다. 단일 추정기의 경우 3가지 다른 APP(A Posteriori Probability)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단일 추정기와 복수 추정기사이의 성능을 AWGN채널에서 위상오차와 위상잡음(Winner process)이 더해진 모델에서 비교하였다. 복수 추정기의 경우 향상된 2가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째는 Forward-Backward(Bi-directional)방식의 채널추정기법이고 둘째는 Forward 채널추정 값과 Backward 채널추정 값의 차이의 정보를 이용하는 Binding기법이다.

대역의 특성을 이용한 웨이블렛 기반 영상 압축 부호화 (Wavelet-Based Image Compression Using the Properties of Subbands)

  • 박성완;강의성;문동영;고성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18-13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렛 변환에 의해서 얻어진 고주파 대역에 웨이블렛 변환을 반복 적용하면 분해된 대역들이 필터링 방향에 따라서 대역 내의 웨이블렛 계수의 자승합으로 정의되는 에너지량을 다르게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압축 부호화한다. 2차원 영상에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면 하나의 저해상도 영상과 세 개의 고주파 대역을 얻을 수 있다. 원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성분은 웨이블렛 변환에 의해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대각 방향의 윤곽선 형태로 세 개의 고주파 대역에 나뉘어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세 개의 고주파 대역에 다시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면, 윤곽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얻어진 대역에서는 에너지량이 크게 나타나지만, 윤곽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역 통과 필터링되어 얻어진 대역에서는 에너지량이 적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압축을 위하여 에너지량이 적은 대역들을 부호화 과정에서 제외하며 제외되지 않은 나머지 대역들은 대역에 따라 DPCM 또는 임계값을 이용하여 양자화한 후에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압축률과 화질면에서 기존의 웨이블렛 변환과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