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 of Vowe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북한 모음 /ㅜ/$\rightarrow$/ㅡ/에서 발견되는 과잉교정 현상 (The Hypercorrection of Vowel /u/$\rightarrow$/i/ in North Korean Dialects)

  • 강순경
    • 음성과학
    • /
    • 제6권
    • /
    • pp.33-44
    • /
    • 1999
  •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ether the phenomenon of /u/$\rightarrow$/i/ is a hypercorrection or not in the North Korean dialects. Most North Koreans pronounce /i/(gold) as /kum/ because the vowel /i/ merges into the peripheral vowel space of /u/ in their dialects. The merger of back vowel is one of most distinctive characters in North Korean dialects. But some speakers pronounce /chubann/(exile) as /chiban/. This time /u/ in peripheral space moves to /i/ in central vowel space. It seems that the vowels /i/ and /u/ exchange places with each other when they uttered in North Korean. Though it was observed that the vowel movement of /i/$\rightarrow$/u/ was caused by the merger of back vowels, the reason why vowel /u/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central space of vowel /i/ has not been analyzed yet. This experiment starts with hypothesis that the movement of /u/$\rightarrow$/i/ might be caused by hypercorrection.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u/$\rightarrow$/i/ pronunciation of North Koreans. The second step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North Korean pronunciation with those of South Korean pronunciation and observe whether tendency of /u/$\rightarrow$/i/pronuncia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standard Seoul dialect and other South Korean dialects.

  • PDF

Vowel Formant Trajectory Patterns for Shared Vowels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 Chung, Hyun-Ju;Kong, Eun-Jong;Weismer, Gary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4호
    • /
    • pp.67-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ross-linguistic difference in the spectral movement pattern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Eight American vowels /a/, /e/, /$\varepsilon$/, /i/, /I/, /o/, /u/, and /$\mho$/, and five Korean vowels, /a/, /e/, /i/, /o/ and /u/ in a fricative-vowel environment produced by adult speakers of each language were analyzed. The spectral movement patterns of the first two formant frequency valu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vowels had minimal spectral movement, both in F1 and F2 values, as compared to American English vowels. Moreover, no consistent direction of movement was found in the three corner Korean vowels, while American English vowels showed consistent direction of movement for each vowel of the same phonemic category.

  • PDF

터치스크린에서의 모음의 방향성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의 설계 (A Design of Korean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of Vowel on the Touch Screen)

  • 임양원;임한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24-932
    • /
    • 201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되었지만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대한 한글 입력 방식은 키패드를 이용한 버튼식 방식이 대부분이며, 터치를 이용하더라도 기존 쿼티키를 그대로 적용한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터치만 할뿐 기존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서는 제한적인 화면의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한글입력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모든 모음에 한글 창제원리에 맞는 방향성을 할당하여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보다 입력에 필요한 한글입력자판을 단순화하면서 한글 입력의 신속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nglish vowel production conditioned by probabilistic accessibility of words: A comparison between L1 and L2 speakers

  • Jonny Jungyun Kim;Mijung Lee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probabilistic accessibility of the word being produced - as determined by its usage frequency and neighborhood density - on native and high-proficiency L2 speakers' realization of six English monophthong vowels. The native group hyperarticulated the vowels over an expanded acoustic space when the vowel occurred in words with low frequency and high density, supporting the claim that vowel forms ar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babilistic accessibility of words. However, temporal expansion occurred in words with greater accessibility (i.e., with high frequency and low density) as an effect of low phonotactic probability in low-density words, particularly in attended speech. This suggests that temporal modific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part of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that are enhanced in communicatively driven focus realization. Conversely, none of these spectral and temporal patterns were found in the L2 group, thereby indicating that even the high-proficiency L2 speakers may not have developed experience-based sensitivity to the modulation of sub-categorical phonetic details indexed with word-level probabilistic informat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how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are shaped in a word-specific manner for the sake of communicatively driven lexical intelligibility, and what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lack of native-like sensitivity in L2 speech.

챈트 및 읽기 발화조건에 따른 한국어 모음 포먼트 비교 (A comparison of Korean vowel formants in conditions of chanting and reading utterances)

  • 박지혜;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85-94
    • /
    • 2020
  • 모음의 조음은 발화 시 자음과 결합하여 인접한 자음의 조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음위치를 형성하고 적절한 구강개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나 언어병리 분야의 다양한 대상자들은 이에 어려움을 보인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치료를 위해서 언어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노래(챈트)가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챈트조건과 읽기조건에 따른 모음 특성을 비교하여 챈트조건이 모음 발화 강화의 수단으로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20~30대 일반 성인 60명(남 30명, 여 30명)이었으며, 모음 /이/, /아/, /우/가 포함된 챈트 및 읽기 과제를 각 4회씩 반복 발화하도록 하여 녹음한 뒤 음성 자료를 분석하였다. 음향 변수를 분석한 결과, 읽기조건과 비교해 챈트조건 발화에서 F1, F2 값이 더 커지고, 모음 삼각형 무게중심의 이동 방향이 전방화, 하강화 된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남녀 비교 시 여성의 값이 유의하게 컸고, 4회 반복 발화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발화조건 중 단어 수준과 구 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보이지 않았으며, 챈트조건의 음악요소에는 악센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챈트의 사용이 웅얼거리는 듯한 발화를 하는 대상자들에게 적절한 구강개방을 이루도록 도울 수 있으며, 후방화된 조음 위치로 인해 오조음을 보이는 이들에게 모음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Sound change of /o/ in modern Seoul Korean: Focused on relations with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 Igeta, Takako;Sonu, Mee;Arai, Takayuki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109-119
    • /
    • 2014
  • This article represents a first step in a large study aimed at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volved in sound change of /o/ in (Seoul) Korea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a production study and a perception experiment. For the production study we examined vowel production data of 20 young adult speakers, measuring the first and second formants, then conducted a discriminant analysis based on those values. In terms of their F1-F2 values, the distribution of /o/ and /u/ were close, and even overlapping in some circumstanc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This tendency was more apparent among the female speakers than the males. Moreover, with the females' distributions, /o/ was frequently categorized as /u/, suggesting that the direction of the sound change is indeed increasing from /o/ to /u/. Nex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proximity on perception, we used the production data of five randomly selected speakers from the production study as stimuli for a perception experiment in which 21 young adult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performed a vowel identification task and provided a Goodness rating on a 5-point scale. We found that while rates of correctness were high, when these correctness scores were weighted by the Goodness rating, these "weighted correctness" scores were lower in some cases, indicating a degree of confusion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vowels.

한국어 모음 입술독해를 위한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o-temporal Features for Korean Vowel Lipreading)

  • 오현화;김인철;김동수;진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입술독해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음성학에 기반하여 음성의 시각적 기본 단위인 viseme을 정의하고 입술의 움직임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특징들을 추출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먼저, 다수의 화자로부터 한국어 모음에 해당하는 입술의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각모음별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여 7개의 한국어 모음 viseme을 정의하였으며 입술 윤곽선상의 특징점과 시공간적 특징 벡터들을 추출하여 은닉 마르코프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입술독해를 위한 각 특징 벡터별 성능을 비교하였다. 7개의 한국어 각 viseme에 대한 인식 실험 결과에서 입술의 안팎 윤곽선의 정보가 모두 반영된 특징 벡터가 입술독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윤곽선 상의 특징점들의 시간적 움직임 크기와 방향이 입술독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 acoustic study of fricated vowels in Nuosu Yi: an exploratory study

  • Perkins, Jeremy;Lee, Seunghun J.;Li, Xiao;Liu, Hongyo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109-115
    • /
    • 2014
  • Fricated nuclei in Nuosu Yi were found to be more correctly described as fricated vowels, rather than syllabic fricatives due to the presence of clear formant structures typical of front vowels. In this exploratory study, two types of fricated nuclei were examined: retroflex "yr" and non-retroflex "y". The retroflex nucleus "yr" had higher F1 and lower F3 than non-retroflex "y", indicating a lower tongue height. On the other hand, F2 was found to correlate not with nucleus retroflexion, but instead with onset consonant retroflexion: F2 was higher following retroflex onsets, in both vowels. This effect was persistent through the entire vowel, suggesting a phonological effect, rather than a coarticulatory one. Interpretation of the F2 results require accompanying articulatory data since the usual coupling of F2 and tongue backness does not always hold for retroflex vowels. Examining the articulation of the fricated nuclei in Nuosu Yi i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동적자소분할과 신경망을 이용한 인쇄체 한글 문자인식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nted Hangeul Recognition with Dynamic Jaso Segmentation and Neural Network)

  • 이판호;장희돈;남궁재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133-2146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동적자소분할 방법과 자소분할 결과 얻어진 가변분할 망눈으로부터 특징벡터를 추출해 신경망에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각 문자에서 4방향 기여도와 $8\pm8$망눈을 사용하여 256차원의 특징벡터를 구한 후, 신경망에 의해 한글을 6형식으로 분류한다.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모음의 통계적인 위치정보와 문자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문자를 자소 단위로 분할한다. 분할된 자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망눈을 구성하고 특징벡터를 추출해 자소인식 신경망에 입력함으로써 문자인식을 행한다. 4개의 서체(3개의 서체는 학습, 1개는 인식실험), KS C 5601내의 2350자의 문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학습에 사용된 서체에 대해서는 97%이상, 나머지 한 서체에 대해서는 94% 이상의 인식률을 나타내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