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Radiography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간엽유착과 담낭염을 동반한 선천성 복막심낭 횡격막 허니아의 효과적 수술처치 (Surgical Correction of Congenital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with Adhered Hepatic Lobes and Cholecystitis)

  • 남현숙;곽호현;이세호;박경미;박인철;한정희;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2012
  • A six months old, male Shih Tzu dog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r lethargy, respiratory embarrassment. Survey radiography revealed enlarged cardiac silhouette due to displacement of gas-filled intestine in the pericardium. Although there were no specific clinical signs, this case was diagnosed as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PPDH) based on the results of positive contrast radiography and thoracic ultrasonograpic findings. In addition, the thickened gall bladder wall observed in ultrasonography, increase of alkaline phosphatase and neutrophils indicated cholecystitis. Two hepatic lobes and gall bladder were severely necrotized and adhere to the diaphragm. Direct reduction of the herniated organs might cause hepatic hemorrhage and bile juice leakage which may induce very poor prognosis. To solve the problems, the adhered organs were dissected with part of diaphragm, and lobectomy with cholecystectomy was performed for prevention of some possible complications including peritonitis. This is case report describing resection of part of diaphragm adhered to herniated organ reduce the risk of possible hepatic hemorrhage during surgical correction of PPDH followed bycholecystectomy and lobectomy.

Measurements of simulated periodontal bone defects in inverted digital image and film-based radiograph: an in vitro study

  • De Molon, Rafael Scaf;Morais-Camillo, Juliana Aparecida Najarro Dearo;Sakakura, Celso Eduardo;Ferreira, Mauricio Goncalves;Loffredo, Leonor Castro Monteiro;Scaf, Gulnar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4호
    • /
    • pp.243-24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inverted digital images and film-based images of dry pig mandibles to measure the periodontal bone defect depth. Materials and Methods: Forty 2-wall bone defects were made in the proximal region of the premolar in the dry pig mandibles. The digital and conventional radiographs were taken using a Schick sensor and Kodak F-speed intraoral film. Image manipulation (inversion) was performed using Adobe Photoshop 7.0 software. Four trained examiners made all of the radiographic measurements in millimeters a total of three times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to the most apical extension of the bone loss with both types of images: inverted digital and film. The measurements were also made in dry mandibles using a periodontal probe and digital caliper. The Student'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epth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two types of images and direct visual measurement in the dry mandibles. A significance level of 0.05 for a 95% confidence interval was used for each comparis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th measurements in the inverted digital images and direct visual measurements (p>|t|=0.0039), with means of 6.29 mm ($IC_{95%}$:6.04-6.54) and 6.79 mm ($IC_{95%}$:6.45-7.11), respectively. There was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lm-based radiographs and direct visual measurements (p>|t|=0.4950), with means of 6.64mm($IC_{95%}$:6.40-6.89) and 6.79mm($IC_{95%}$:6.45-7.1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eriodontal bone defect measurements in the inverted digital images were inferior to film-based radiographs, underestimating the amount of bone loss.

흡입화상 치료과정에서 생긴 공동성 폐 병변 (A Case of Cavitary Lung Lesion as a Consequence of Smoke Inhalation Injury)

  • 신현원;김철홍;엄광석;박용범;장승훈;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이일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64-570
    • /
    • 2006
  • 화상환자에서의 흡입화상은 이환률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호흡기계의 손상은 침범 부위 및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기도 손상의 경우 성문하 협착 등의 기도폐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폐실질의 손상은 저산소증, 폐렴, 호흡부전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병태생리를 제공하게 된다. 흡입화상의 초기 방사선소견으로는 정상, 경화, 기관지주위 비후, 심인성 및 비심인성 폐부종, 무기폐, 간질성 혹은 폐포성 폐 침윤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후기 변화로는 기관지확장증, 폐쇄 기관지염 및 폐 섬유화 등이 증례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성인 흡입화상 환자에서의 공동성 병변에 대해서는 보고 된 바 없다. 저자들은 44세 남자로 얼굴 및 양손에 9%의 경미한 피부 화염화상을 입었으나 흡입화상으로 인한 호흡기 합병증에 대한 치료가 더 중요시 되었던 환자로 치료 과정에서 좌상엽의 공동성 병변을 관찰하게 되었다. 추적 과정에서 이 공동은 계속 변화하는 양상이었으며 한차례 대량 객혈이 있었으나 그 후로는 다른 호흡기계 합병증 없이 저절로 소실해 가는 과정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구내 촬영용 방사선 장치의 촬영조건에 따른 선량변화 분석 (Analysis of Condition Changing on Dose Variation using Intraoral Radiation Devices)

  • 김영재;이용탁;송현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37-142
    • /
    • 2012
  • 본 연구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 동일조건 하에서 촬영장비의 기종을 다르게 한 경우와 동일 기종에서 노출조건을 일정하게 하였을 경우 획득되는 방사선의 선량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비의 기종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3대의 각기 다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상악 전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의 3가지의 촬영조건을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고 장치의 재현성 검사를 위해서 각 장치에 동일한 조건으로 3회 조사하여 선량변화를 알아보았다. 선량의 측정은 반도체 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필름의 농도값을 획득하여 진단에 유효적인 범위에 만족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같은 촬영기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각 부위별로 선량의 차이는 최대값과 최소값이 적게는 3배 많게는 10배의 선량 차이를 보였다. 흑화도의 범위 또한 적절한 범위인 0.25~2.0를 초과한 2.10~2.95의 허용범위를 보였다. 동일한 촬영기로 특정 부위를 같은 조건에서 촬영하더라도 측정된 선량값은 큰 차이를 보였으며 필름의 농도 분석의 결과 적합한 농도 분포를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재촬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진단시 오류를 일으킬 수 있어 환자의 피폭에 직 간접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치과 방사선 촬영장치 또한 정기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표준화된 촬영조건과 현상조건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헤테르접합을 이용한 누설전류 저감을 위한 다층구조의 방사선 검출 물질 개발 (Radiation detector material development with multi-layer by hetero-junction for the reduction of leakage current)

  • 오경민;윤민석;김민우;조성호;남상희;박지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1-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헤테로 접합을 이용하여 누설전류를 저감 시키는 기술을 적용하여 Particle-In -Binder을 이용한 방사선 영상 센서의 변환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는 디지털 방사선 영상 검출기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인 직접방식에 사용되는 핵심 소자로 기존의 비정질 셀레늄(Amorphous Selenium)을 대체하여 더욱 효율이 높은 후보 물질들이 연구되어지는 가운데 태양전지와 반도체 분야에서 이미 많이 사용되어온 이종접합(Hetero junction)을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저감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Particle-In -Binder 제작 방법은 검출 물질 제작이 용이하고 높은 수율과 대면적의 검출기 제작에 적합하나 높은 누설 전류가 의료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문제가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층 구조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저감시킨다면 Particle-In -Binder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향상된 효율의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를 제작 할 수 있다고 사료 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누설전류 및 민감도, 그리고 선형성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제작된 다층 구조의 방사선 검출 물질의 특성 평가가 이루어 졌다.

  • PDF

디지털방사선촬영술을 이용한 합착용 시멘트의 방사선불투과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adiopacity of Contemporary Luting Cements by Digital Radiography)

  • 안서영;이두형;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77-38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임상에서 사용되는 8종의 합착용 시멘트의 방사선불투과성을 디지털 방사선 촬영술로 평가하는 것이었다. BisCem, Clearfil SA Luting, Duolink, Maxcem Elite, Multilink Speed, Panavia F 2.0, RelyX Unicem Clicker, V-link의 8종의 재료를 5개의 원형 시편 (직경: 4 mm, 두께: 1 mm)으로 제작하였고 사람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 시편을 1 mm 두께로 준비하여 알루미늄 스텝 웨지와 함께 촬영하였다. 관전압 70kVP, 관전류 4 mA, 노출시간 0.156초, 초첨 필름간 거리는 30 cm으로 영상판을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평균 회색조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흡수계수로 환산한 후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이용하여 각 합착용 시멘트의 등가 알루미늄 두께를 구하였다. 합착용 시멘트의 평균 방사선불투과성은 알루미늄 두께 0.71 ~ 5.66 mm로, RelyX Unicem Clicker (0.71 mm Al)을 제외하고는 등가 알루미늄 두께 보다 높은 방사선불투과성을 보여 ISO 규격을 만족하였으며, 법랑질은 1.79 mm, 상아질은 0.19 mm 두께의 알루미늄에 해당하는 방사선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공간선량률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Dose Rates during Dental Panoramic Radiography)

  • 고종경;박명환;김용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09-516
    • /
    • 2016
  • 저선량 장시간(15초 내외) X선을 조사하는 치과 파노라마 촬영장치는 교육 목적의 사용에는 원자력안전법의 규제를 받으며, 이에 따라 방사선안전 설비(경보장치, 인터록)를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방사선량 및 공간선량률을 측정하여 방사선안전 설비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 등의 방사선방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치과 파노라마 전용팬텀의 직접 피폭부위인 치아와 간접 피폭부위인 수정체와 갑상선에서 유리선량계 소자(GD-352M)를 부착한 후 X선을 3회 반복 조사하여 형광유리선량계 시스템으로 선량을 판독하였다. 팬텀 절치부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을 $45^{\circ}$ 각도로 분류하여 7방향으로 구획하여 각 방향마다 30, 60, 90, 120 cm의 거리에서 공간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직접 피폭부위는 최대 $984.5{\mu}Gy$가 측정되었다. 공간선량률은 30 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0 cm로 거리가 증가할수록 선량이 감소하였다. 방향에 따라서는 30 cm 거리에서 회전 시작부위의 공간선량률이 $3,840{\mu}Sv/h$로 가장 낮은 부위인 $778{\mu}Sv/h$에 비해 4배 차이가 났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위치할 수 있는 60 cm 거리에서의 공간선량률은 평균 $408{\mu}Sv/h$로 측정되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방사선관리구역 내에 의도하지 않은 피폭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피폭선량 예측이 가능하도록 공간선량률에 대한 방사선안전 교육이 필요하지만, 현재 의료법에 의해 의료기관에서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인터록 등의 설비는 교육용 치과 파노라마 촬영실의 공간선량률이 낮은 것을 감안할 때 원자력안전법에서 의무화 되어 있는 것은 과한 규제로 사료된다.

Diagnostic accuracy of artificially induced vertical root fractures: a comparison of direct digital periapical images with conventional periapical images

  • Lee Ji-Un;Kwon Ki-Jeong;Koh Kwang-Joo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4호
    • /
    • pp.185-190
    • /
    • 2004
  • Purpose: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for the detection of root fractures in CMOS-based digital periapical images with conventional film-based periapical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extracted single-root human teeth with closed apices were prepared endodonticall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rtificially induced vertical root fracture group and control group. All radiographs were obtained using the paralleling technique. The radiographs were examined by 4 observers three times within a 4 week interval.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obtained from four observers. Intra- and inter-examiner agreements were computed using kappa analysis. Results: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z) was used as an indicator of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imaging system. Az values were as follows: direct-digital images; 0.93, film-based images; 0.92, and inverted digital images; 0.9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aging modalities (P<0.05). The kappa value of inter-observer agreement was 0.42 (range: 0.28-0.60) and intra-observer agreement was 0.57 (range: 0.44-0.75). Conclusion :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diagnostic accuracy for the detection of vertical root fractures between digital periapical images and conventional periapical imag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MOS sensor is a good image detector for the evaluation of vertical root fractures.

  • PDF

입자침전법을 이용한 광도전체 필름의 X선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치원;강상식;조성호;권철;남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176-176
    • /
    • 2007
  • Flat-panel direct conversion detectors used in compound substance of semiconductor are being studied for digital x-ray imaging. Recently, such detectors are deposited by physical vapor deposition(PVD) generally. But, most of materials (HgI2, PbI2, TlBr, PbO) deposited by PVD have shown difficult fabrication and instability for large area x-ray imaging. Consequ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pplicable potentialities for screen printing method that is coated on a substrate easily. It is compared to electrical properties among semiconductors such as $HgI_2$, $PbI_2$, PbO, HgBrI, InI, and $TlPbI_3$ under investigation for direct conversion detectors. Each film detector consists of an ~25 to $35\;{\mu}m$ thick layer of semiconductor and was coated onto the substrate. Substrates of $2cm{\times}2cm$ have been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radiation detectors. Dark current, sensitivity and physics properties were measured. Leakage current of $HgI_2$ as low as $9pA/mm^2$ at the operation bias voltage of ${\sim}1V/{\mu}m$ was observed. Such a value is not better than PVD process, but it is easy to be fabricated in high quality for large area x-ray Imaging. Our future efforts will concentrate on optimization of growth of film thickness that is coated onto a-Si TFT array.

  • PDF

Jaw les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tooth: A radiographic diagnostic guide

  • Mortazavi, Hamed;Baharvand, Marya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147-157
    • /
    • 2016
  • This review article aimed to introduce a category of jaw les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tooth. General search engines and specialized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PubMed, PubMed Central, MedLine Plus, Science Direct, Scopus, and well-recognized textbooks were used to find relevant studies using keywords such as "jaw lesion", "jaw disease", "impacted tooth", and "unerupted tooth". More than 250 articles were found, of which approximately 80 were broadly relevant to the topic. We ultimately included 47 articl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topic of interest. When the relevant data were compiled, the following 10 lesion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relationship with impacted tooth: dentigerous cysts, calcifying odontogenic cysts, unicystic (mural) ameloblastomas, ameloblastomas, ameloblastic fibromas,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s,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s,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s, ameloblastic fibro-odontomas, and odontomas. When clinicians encounter a lesion associated with an impacted tooth, they should first consider these entitie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This will help dental practitioners make more accurate diagnoses and develop better treatment plans based on patients' radiograp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