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pyros lotus 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마을 내 잔존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실태진단 - 경주시 현곡면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the remaining old trees in the village - Focused on Hyeongok-myeon in Gyeongju-si -)

  • 김영훈;덩베이지아;천겅;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9-1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countermeasures by diagnosing the grow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undesignated old trees distributed in Hyeongok-myeon, Gyeongju, Gyeongsangbuk-do. The number of old trees surveyed was 2 weeks in Gajeong-ri, 2 weeks in Haguri, 3 weeks in Nae-Tae-ri, 1 week in Nawon-ri, 6 weeks in Oryu-ri, 3 weeks in Sangguri, and 2 weeks in Sohyeon-ri, The trees species composition was 6 trees Celtis sinensis Pers., 1 Diospyros lotus L. trees, 4 trees Salix chaenomeloides Kimura trees, 2 Styphnolobium japonicum L. trees, and 7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trees. Growth status is 7.1~22.0m in height, 14.6~25.1m in long axis, 10.2~19.2m in short axis, root diameter is 76.0~236.4cm, diamter at breast height is 67.0~220.0cm, soil acidity is pH4.9~7.0, soil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4.0-27.0mm. The result grade of the scoring data of health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monitoring generally, monitoring critically, and absolute monito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out of the 20 trees population in Hyeongok-myeon, the general monitoring grade was 7 weeks, the major monitoring grade was 13 weeks, and there was no absolute monitoring grade. Accordingly, the number of old trees of the general surveillance level was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and ecological surgical operations were introduced for the major surveillance level, but the case of village forests should be different, and sequential treatments were the old tree urgently needed. The level and bark of the target tree, the state of the crown, the root exposure, the presence of pests and pests, the vitality and the ground condition, the degree of pollution are normal, poor, or very poor, operation and protection management, soil improvement, removal of cover, and disinfection were urgently needed for the old trees with the surveyed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matters,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old number should be sought.

감나무 과실내(果實內)에 있어서 Tannin, 당(糖) 및 백질(白質)의 시기적(時期的) 변화(變化) (Seasonal Variation in Tannin, Sugar and Protein Contents of Persimmon Fruits)

  • 위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
    • /
    • 1971
  • 본실험(本實驗)은 전북지방(全北地方)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감나무 5품종(品種)(당유(當有), 월하(月河), 갑주백목(甲州百目), 평무핵(平無核) 및 흑시(黑杮))과 고욤을 실험재료(實驗材料)로 하여 및 과실내(果實內)에 있어서의 Tannin, 당(糖)및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의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를 L$\ddot{o}$wenthal법(法), Bertrand법(法) 및 Microkjeldahl법(法)에 의(依)하여 각각(各各) 측정(測定)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각품종(各品種)에 있어서 Tannin의 최대함량(最大含量)은 당유(當有) 4% 월하(月河) 5.46%, 갑주백목(甲州百目) 5.41%, 평무핵(平無核) 5.1%, 흑시(黑杮) 9.2%, 고욤 26.01%임으로 Tannin재료(材料)로서 이용(利用)코자 할 때는 고욤과 흑시(黑杮)가 적합(適合)한 것 같다. 2. 감에서 Tannin융 추출(抽出) 이용(利用)코자 할 때는 7월상순(月上旬)부터 7월(月) 하순(下旬)사이에 채취(採取) 이용(利用)함이 좋을 것 같으며, 고욤은 8월(月) 중순(中旬)에 채취(採取) 이용(利用)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 3. 감에 있어서 전당(全糖)의 변화(變化)는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고 있으며, 품종별(品種別) Linear regression은 다음과 같다. 당유(當有): $\hat{Y}=0.2394x+3.861$ 월하(月河) : $\hat{Y}=0.3093x-1.148$ 갑주백목(甲州百目) : $\hat{Y}=0.3173x-1.3708$ 평무핵(平無核) : $\hat{Y}=0.2796x+0.982$ 흑시(黑杮) : $\hat{Y}=0.3233x-3.242$ 고욤 : $\hat{Y}=0.1555x-4.780$ 4. 품종별(品種別) 단백질(蛋白質)의 년(年) 평균함량(平均含量)은 당유(當有) 5.32%, 갑주백목(甲州百目) 4.97%, 고욤 4.49%, 월하(月河) 4.11%, 흑시(黑杮) 4.02%, 평무핵(平無核) 3.6%이다. 5. 단백질량(蛋白質量)은 결실(結實) 당시(當時)에 가장 많은 양(量)을 함유(含有)하나, 성숙기(成熟期)에 이름에 따라 떨어지는 경향(傾向)이다.

  • PDF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기주선호성 (Host Preference of Ricania spp. (Hemiptera: Ricaniidae)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최용석;서화영;조신혁;황인수;이영수;박덕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9-329
    • /
    • 2017
  •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목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체를 섭식하였으며 특히 공주시 팔봉산 산림 속의 경우 노린재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멍석딸기, 복분자, 산딸기, 상수리나무, 산수유, 싸리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철쭉, 영산홍을 선호하였다. 성충 출현 이후 홍성군 용봉산 조사에서 산란전기간의 성충은 주로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을 가장 선호하였고 산란기에 접어 들면서 이들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 같은 1년생 초종에서의 거의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은 산란을 위하여 수목류나 관목류의 목본류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공주시 팔봉산 조사에서 산란기주는 주로 병꽃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개모시, 고욤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버드나무, 산철쭉, 층층나무 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정도, 산란수, 성충수는 산림 속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월등히 밀도가 높았으며 산란정도와 산란수의 경우 고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충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본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선호기주에 관한 보고로서 특정 시기에 선호하기는 기주를 선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트랩식물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