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ria ciliar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Comparison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community, Korea

  • Jeong Ho Hwang;Jong-Hak Y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250-260
    • /
    • 2023
  • Background: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Poaceae) is a globally distributed weed, including in Afro-Eurasia, America, and Australia. As a highly gregarious plant, crabgrass is an important habitat for a diverse array of insects, and a potential habitat for agricultural pests. To compare the insect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crabgrass community, insects were sampled using sweep sampling (100 sweeps per sample) at five sites, including Daejeon (Daejeon and Gap rivers), Anseong, Namhae, and Inje, with a focus on the Daejeon River. Results: A total of 5,888 individual insects belonging to eight orders, 42 families, and 115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site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Hemiptera were the highest at all of the sites. In the present study, 73% of the insect population fed on D. ciliaris as a host plant. The dominant species in the D. ciliaris community was Laodelphax striatellus (Delphacidae), being ubiquitous at all the sites which showed a high abundance of rice pests in the communities and the suitability of D. ciliaris as an alternative host plant for them. The Shannon-Wiener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Inje on 17 September (2.88), and the Chao1-bc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the Gap River on 5 September (80). The sampling efficiency of 100 sweep samples (sample coverage) was calculated to be as high as 90%. The results of the samples taken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the Daejeon River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decreased gradually over time, and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decreased sharply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Similarity analysis indicated that sampling dates that were closer together yielded sampled assemblages with higher faunal similarity. In addition, in each sampling, the difference in the minimum temperature during the two-week period prior to sampling and faunal similar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that coul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insect diversity in D. ciliaris. The data can facilitate ecologic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grasslands generally,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ests that may disperse from D. ciliaris communities to nearby farmland.

Responses of weed community and soil biota to cessation of fertilization

  • Eo, Jin-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317-323
    • /
    • 2010
  • Nutrient availability is a critical component of agroecosystems, and is relevant to both above- and below- ground interaction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ffects the communities of weeds and soil organisms in a corn/wheat field. Changes in dominant weed species, substrate-induced respiration,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nematodes and microarthropods were evaluated. Microbial substrate-induced respiration (SIR)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arthropods decreased following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nd were partly correlated with the aboveground weed biomass. The cessation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but continuing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 reduced the population density of nematodes. In response to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weed communities were dominated by species with little dependency on fertilization. Amaranthus retroflexus was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orn field; however, it was replaced by Digitaria ciliaris after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In the wheat field,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led to a rapid reduction in the biomass of most weeds, except for Vicia angustifolia, supposedly as the result of symbiotic nitrogen fixation. Additionally, the fact that weed biomass was partially correlated with SIR or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arthropods may reflect a mutual feedback between soil organisms and wee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essation of fertilization alters communities of weeds and soil organisms through changes in weed biomass and interactions with symbiotic microorganisms.

친환경 고추밭 바랭이와 가는털비름 발생밀도에 따른 고추 수량 반응 (Yield Response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D. ciliaris and A. patulus in Eco-firendly Cultivated Field)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문병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38-43
    • /
    • 2012
  • 2011년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고추 친환경 재배포장에서 밭 잡초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잡초 중 바랭이와 가는털비름을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고추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건고추 수량 감소를 예측하여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였다. 잡초를 완전 방제 했을 경우를 가상한 건고추 수량은 바랭이에서 10a당 304.7 kg으로 가는털비름의 281.3 kg보다 다소 높았으며, 고추와 잡초의 경합력은 바랭이에서 0.063으로 가는털비름의 0.1723 보다 낮았고, 수량 예측식은 바랭이가 y=304.7 kg/(1+0.063x), $R^2$=0.967, 가는털비름이 y=281.3 kg/(1+0.1723x), $R^2$=0.952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을 10a당 6,500원, 제초제 살포 인건비를 20,000원, 건고추의 가격을 kg당 8,000원, 제초제 방제가 95%로 적용하여 구한 경제적 피해 한계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10a당 304.7 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063인 바랭이는 $100m^2$당 18.2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281.3 kg이고 잡초 1본 당 수량 감수 정도가 0.1723인 가는털비름은 $100m^2$당 7.2본이었다.

토양 방선균 Actinomycetes G-0299의 바랭이에 대한 선택적 살초특성 (Herbicidal Characteristics of Soil Bacteria Actinomycetes G-0299 to Southern Crabgrass)

  • 최정섭;김영숙;김재덕;김혜진;고영관;박기웅;문석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212-221
    • /
    • 2017
  • 방선균 G-0299의 살초특성을 확인하여 천연 제초제 후보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선발된 방선균 G-0299는 바랭이에서만 살초력이 발휘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엽처리 효과,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 생화학적인 반응에서 광조건에서만 발현되는 독특한 살초특성을 보였다. 방선균 G-0299 배양 여액 농축 시료를 처리했을 때 속효성이며, 고사 또는 백화현상이 발현되는 등의 특징으로부터 광합성 저해 또는 protox 저해 제초제와 비슷한 작용기전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겠으나 오직 바랭이에서만 살초력이 발휘되는 특이한 현상을 고려하면 상관성을 설명하기는 곤란하였다. 따라서 천연 제초활성 후보소재 방선균 G-0299의 보다 상세한 살초기 전에 관해서는 추가 연구를 통해 구명되어야 할 것이다.

대구광역시 가로수 하단부 식생의 평가 (Vegetation Assessment of the Street Tree Sites in the Daegu Metropolis)

  • 김정섭;조광진;김종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80
    • /
    • 2005
  • In order to search for ecologically indicative characteristics on the street tree plots in Daegu area, plant communities and their flora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05 plots were collected and numerically analyzed by PCo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These plot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containing 139 species, 97 genera, 42 families(including 37 exotic species): urban-dry type, urban-wet type, rural-dry type, rural-wet type. Habitat connectivity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cover, extent and frequency of human impacts, and soil moisture recognizably were the main factors to allow the plots differentiation. Indicative species composition to these four types was generated as 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Oxalis corniculata to the urban-wet, Digitaria ciliaris-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 to the urban-dry, Setaria viri-dis-Artemisia-Lactuca indica var. laciniata to the rural-wet, and Setaria viridis-Digitaria ciliaris-Erigeron canadensis to the rural-dry, respectively. Mean species number per plot for rural type was 2.5 times higher than for urban types. Street tree species representative to the rural-wet type is Zelkova serrata, which is a key species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alluvial land of Daegu area. Street tree plots were characterized by Eleusine indica showing the highest r-NCD value and also C4-assimilation grass plants. Views on the efficacy of the rural-wet type and the reinforcement of vegetation connectivity and soil moisture in rehabilitating street tree plots, are discussed.

농업환경 평가를 위한 지표곤충 선발 (Selection of Indicator Insects for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 최영철;박해철;김종길;심하식;권오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7-273
    • /
    • 2004
  • 농업환경 평가를 위한 지표곤충을 선발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홍천A), 홍천군 남면 명동리(홍천B)와 양평군 단월면 덕수리(양평)에서 농경지 주변에 서식하는 곤충을 채집, 동정하고 자연환경을 조사하였다. 시험지역의 벼 재배특성을 조사한 결과, 홍천A 지역은 농약을 년 2-3회 살포하고, 화학비료의 시비 등 일반관행 농법으로 이루어 졌으며, 홍천B 지역은 오리농법을, 양평 지역은 왕우렁이 농법을 도입하여 무농약, 무시비로 재배하면서 호맥을 재배하여 녹비로 이용하였다. 각 조사지역 내에서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세 지역 모두 바랭이(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ois) 등이 우점하였으며, 서식 식물 종수는 세 지역 모두 다양한 종이 서식하였고 녹지자연도(DGN)는 홍천A 지역(1.6)보다 홍천B 지역(2.0)과 양평 지역(3.6)이 높았다. 각 조사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곤충을 채집, 분류 동정한 결과, 세 지역 모두 8, 9월에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채집 종수는 6월부터 9월까지 30종 이상이었다. 홍천A 지역에 비해 홍천B 지역과 양평 지역에서 채집된 곤충의 종수가 더 많았으며, 딱정벌레목의 종수가 다른 목의 곤충의 종수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세 지역의 곤충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DI)는 홍천B 지역이 0.24로 가장 낮았으나, 종다양도(H'), 풍부도(RI)와 균등도 지수(DI)는 홍천B 지역과 양평 지역이 홍천A 지역보다 높았다. 세 지역의 시기별, 종별 채집빈도 등을 종합분석한 결과, 농업생태계 환경평가를 위한 유망 지표 곤충종으로 홍천A 지역은 딱정벌레목의 등빨간먼지벌레, 홍천B 지역과 양평 지역은 남방폭탄먼지벌레와 좀방울벌레가 선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YIELD AND DIGESTIBILITY OF FORAGES IN EAST INDONESIA II. GRASSES

  • Bulo, D.;Blair, G.J.;Till, A.R.;Stur, 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335-342
    • /
    • 1994
  • This study was undertaken at Gowa, South Sulawesi, Indonesia, as part of a larger forage genetic resource evaluation project. The experimental program consisted of a field experiment where grass and legume species were grown in monocultures and the dry matter yield, rumen bag digestibility (RBDMD) and N content of leaf and stem components were monitored in the wet and dry seasons. Eight species of grass (Brachiaria decwnbens cv. Basilisk. Panicum maximum cv. Riversdale, Urochloa pullulans CPI 41192, Imperata cylindrica from Maiwa, South Sulawesi, Digitaria milanjiana CPI 41193, Cenchrus ciliaris cv. Malopo, Heteropogon contorlus and Setaria sphacelata cv. Splenda) were studied. P. maximum was the highest yielding grass in the wet season and B. decumbens in the dry season. The highest RBDMD in the whole plants were U. pulluians, P. maximum, S. sphacelata and D. milanjiana after 2 weeks regrowth in cycle I and S. sphacelata, B. decumbens, D. milanjiana and C. ciliaris in cycle 2. When total digestible DM was calculated for the whole of cycle I, P. maximum, B. decumbens and S. sphacelata were superior, but B. decumbens produced over twice as much as the other species in the dry season (cycle 2). The leaf N concentration of all grasses exceeded 1.0% (6.25% crude protein) in the regrowth in cycle I but did not exceed 0.5% in the dry season regrowth (cycle 2).

소리쟁이(Rumex crispus L.)로부터 신규 살초활성물질 Angelicin의 분리 (Isolation of a New Herbicidal Compound Angelicin from Curly Dock (Rumex crispus L.))

  • 조남규;이사은;최정섭;황기환;구석진;왕해영;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3-19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생식물인 소리쟁이 (Rumex crispus)로부터 살초활성물질을 분리하고, 그 화학구조를 구명하는데 있다. 소리쟁이 메탄올 추출물의 유채에 대한 $GR_{50}$값은 $935{\mu}g\;g^{-1}$이었다.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분획층을 대상으로 activity-directed bioassay를 수행하여 가장 살초활성이 높았던 ECDA 분획물을 얻었다($GR_{50}$ 값, $53{\mu}g\;g^{-1}$). ECDA 분획물을 GC-MS,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186.2, 화학구조식 $C_{11}H_6O_3$, furanocoumarin 골격구조를 하고 있는 2Hfuro[2,3-H]-[1]-benzopyran-2-one(angelicin)으로 밝혀졌다. Angelicin의 물피(Echinochloa crus-galli), 바랭이(Digitaria ciliaris), 자귀풀(Aeschynomene indica)에 대한 seed bioassay 결과 각 식물에 대한 $GR_{50}$값은 426, 66, $216{\mu}g\;g^{-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리쟁이 유래 신규 살초활성물질 angelicin은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충북지역 주요 밭작물 재배지 발생 잡초 분포 현황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 이채영;박재성;김은정;이희두;홍의연;우선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09-218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충북지역 11개 시 군의 795지점에서 주요 밭작물 재배지의 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충북지역의 밭잡초 조사결과, 42과 188종이 발생하였고, 생활사별로는 각각 일년생이 96종, 월년생이 40종, 다년생이 52종이 발생하였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6종, 벼과 19종, 마디풀과 13종, 십자화과 12종, 사초과, 콩과 각각 11종 순이었다. 동계작물 재배지의 우점잡초는 냉이(12.36%), 뚝새풀(11.05%), 벼룩나물(8.42%), 광대나물(4.82%), 쇠별꽃(4.60%)의 순이었고, 하계작물 재배지의 우점잡초는 쇠비름(8.58%), 바랭이(7.18%), 속속이풀(6.28%), 흰명아주(6.22%), 중대가리풀(4.95%)의 순으로 발생되었다. 충북지역의 우점잡초는 쇠비름(8.14%), 바랭이(6.72%), 피(6.55%), 속속이풀(6.00%), 흰명아주(5.89%), 중대가리풀(4.64%), 깨풀(4.10%), 개비름(3.84%), 한련초(2.52%), 냉이(2.15%)의 순이었다. 쇠비름, 바랭이, 피 등 상위 10종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10년 단위로 작물 재배지의 잡초분포를 조사하여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밭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남지역 밭 잡초 발생분포 및 군락변화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 성덕경;배성문;김영광;조용조;이상대;심상인;정정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99-208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는 21과 55종, 마늘 재배지 22과 56종, 양파 재배지 19과 47종, 배추 재배지 26과 68종, 감자 재배지 22과 54종, 고구마 재배지 25과 62종, 고추 재배지 29과 87종, 옥수수 재배지 28과 79종, 콩 재배지 29과 84종이 발생되었다. 작목별 우점하는 초종은 보리 재배지 뚝새풀 20.7%, 마늘 재배지 황새냉이 12.3%, 양파 재배지 좀명아주 18.7%, 배추 재배지 쇠비름 8.1%, 감자 재배지 좀명아주 13%, 고구마 재배지 바랭이 12.6%, 고추 재배지 바랭이 12.6%, 옥수수 재배지 11.3%, 콩 재배지 바랭이 13.2%로 발생되었다. 동작물 재배지에서는 뚝새풀, 황새냉이 및 좀명아주가, 하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이 가장 문제시 되었다. 이러한 잡초 발생 정보는 경남지역 밭잡초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