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filter process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분무 액적 특성 계측을 위한 디지털 입자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Particle Holographic System for Measur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pray Droplets)

  • ;강보선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3-60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development of digital particle holographic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spray field to measure three-dimensional velocities and sizes of spray droplets. A double exposure hologram recording system with synchronization system for time control was established and digital holograms can be recorded in a short time interval. To process recorded hologra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was used for focal plane determination of particles. To remove nois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holograms and reconstructed images, the Wiener filter was adopted. The two-threshold and image segmentation methods were used in binary image transformation. For particle pairing, the match probability method was adopted.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spray field and three-dimensional velocities and sizes of spray droplets were measured. The measurement results of digital holographic system were compared with those made by laser instruments, PDPA(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 which proved the feasibility of in-line digital particle holographic system as a good measurement tool for spray droplets.

저항 스캐닝 방식의 유연 촉각센서 신호 특성분석 (Analysis of Signal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Scanning-type Flexible Tactile Sensor)

  • 신유영;김슬기;이주경;이석;이경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28-35
    • /
    • 2015
  • This paper introduces a resistance scanning-type flexible tactile sensor for intelligent robots and presen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via signal processing. The sensor was produced via the lamination method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 conductive material), an insulator, and Tango-plus (an elastic material). Analog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boards were produced to analyze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board was made up of an integrator and an amplifier for signal stability,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oard was made up of an IIR filter for noise removal. Finally, the sensor output for the contact force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영상처리를 위한 웨이브렛 변환 디지털 필터의 설계 (A Design on the Wavelet Transform Digital Filter for an Image Processing)

  • 김윤홍;전경일;방기천;이우순;박인정;이강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7권3호
    • /
    • pp.45-5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를 위한 웨이브렛 변환 디지틀 필터 설계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웨이브렛 변환을 위하여 필터 뱅크 피라미드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각각의 필터는 FIR 필터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메모리 제어기를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DWT 계산이 수행되므로 단순한 파라미터 입력만으로 영상 데이터의 다중해상도 분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의 영상처리 결과는 FPGA의 하드웨어적 제한으로 인한 11bit의 가수처리 때문에, 512×512 흑 백영상에 대하여 33㏈의 PSNR이 나타났다. 그리고 QMF(Quadrature Mirror Filter)의 특성을 이용하여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 계산에 필요한 승산기의 수를 절반으로 줄임으로써 하드웨어의 크기도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제안된 방법은 하드웨어 크기의 감소에 따른 영상처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DWT 필터 뱅크의 제안된 하드웨어 설계는 VHDL 코딩으로 설계합성을 하여 테스트 보드가 제작되었으며, 실행프로그램은 MFC++로, 영상복원 디코드 응용프로그램은 C++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Salt and Pepper 잡음 제거를 위한 변형된 적응 메디안 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ed Adaptive Median Filter for Removing Salt and Pepper Noise)

  • 홍상우;권세익;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3-905
    • /
    • 2015
  •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 장치들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은 압축, 인식,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잡음이 발생한다. Salt and pepper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필터는 SMF, CWMF, AWMF 등이 있으며, 잡음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잡음 제거 특성이 다소 미흡해진다. 본 논문은 salt and pepper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비잡음 화소는 그대로 보존하고 잡음 화소는 변형된 적응 메디안 필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복합잡음 환경에서 비선형 필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잡음제거 방법 (De-noising Method using Nonlinear Filter Algorithm in Mixed Noise Environments)

  • ;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65-2271
    • /
    • 2014
  • 현대 사회의 정보 통신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한 디지털 장치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디지털 영상은 생산 및 과학연구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상의 전송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첨가되어 영상의 질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첨가되는 복합잡음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공간영역에서 잡음의 종류에 의해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을 분류하여 처리하며, 임펄스 잡음일 경우, 변형된 비선형 필터 처리하고 가우시안 잡음일 경우, 가중치를 적용시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을 사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판단하였다.

복합잡음 제거를 위한 잡음추정에 기반한 디지털 필터 (Digital Filter based on Noise Estimation for Mixed Noise Removal)

  • 천봉원;황용연;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406
    • /
    • 2021
  •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과 IoT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 및 자동화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화 공정, 지능형 CCTV, 의료산업, 로봇, 드론과 같이 영상처리의 비중이 높은 시스템의 경우 잡음과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기 쉽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잡음 환경에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잡음 추정과 가중치에 기반한 디지털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잡음 판단을 사용하여 잡음의 종류를 구분하였으며, 필터링 마스크의 잡음 수준을 판단하여 필터링 과정을 스위칭하여 최종출력을 구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기존 필터 알고리즘과 비교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CAD for Detection of Brain Tumor Using the Symmetry Contribution From MR Image Applying Unsharp Mask Filter

  • Kim, Dong-Hyun;Ye, Soo-You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5권4호
    • /
    • pp.230-234
    • /
    • 2014
  • Automatic detection of disease helps medical institutions that are introducing digital images to read images rapidly and accurately, and is thus applicable to lesio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symmetry contribution algorithm to unsharp mask filter-applied MR images and propose an analysis technique to automatically recognize brain tumor and edema. We extracted the skull region and drawed outline of the skull in database of images obtained at P University Hospital and detected an axis of symmetry with cerebral characteristics. A symmetry contribution algorithm was then applied to the images around the axis of symmetry to observe intensity changes in pixels and detect disease areas. When we did not use the unsharp mask filter, a brain tumor was detected in 60 of a total of 95 MR images. The disease detection rate for the brain was 63.16%. However, when we used the unsharp mask filter, the tumor was detected in 87 of a total of 95 MR images, with a disease detection rate of 91.58%. When the unsharp mask filter was used in the pre-process stage, the disease detection rate for the brain was higher than when it was not used. We confirmed that unsharp mask filter can be used to rapidly and accurately to read many MR images stored in a database.

FDM 방식을 위한 다채널 디지털 수신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hannel digital receiver for FDM)

  • 최형진;전영희;고석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329-2338
    • /
    • 1997
  • A conventional digital receiver sampled a baseband signal and processed it digitally for demodulation. But now we can sample at sufficiently high speed a wideband signal to take enough discrete data values due to the advent of economic high-speed ADC. With this technical background, a wideband frequency-division-multiplexed signal can be undersampled and channelized in digital domain by DFT analysis filter using the theory of polyph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gital receiver which can digitally process the multichannel received signal by sampling at IF band, develop a mathematical theory and algorithm, and analyze the performance by using C-language simulaation. The proposed receiver can demodulate analog and digital FM signals.

  • PDF

Mask R-CNN을 활용한 반도체 공정 검사 (Semiconductor Process Inspection Using Mask R-CNN)

  • 한정희;홍성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18
    • /
    • 2020
  •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fect detection is critical to maintain high yield. Currently, computer vision systems used in semiconductor photo lithography still have adopt to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which often occur inspection faults due to sensitivity to external environment. Thus, we intend to handle this problem by means of using Mask R-CNN instea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Additionally, Mask R-CNN can be trained with image dataset pre-processed by means of the specific designed digital image filter to extract the enhanced feature map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ur approach converged advantage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instance segmentation with deep learning yields more efficient semiconductor photo lithography inspection system than conventional system.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왜곡 보정에 사용된 보간 패턴 추출을 통한 카메라 식별 방법 (Digital Camera Identification Based on Interpolation Pattern Used Lens Distortion Correction)

  • 황민구;김동민;하동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9-59
    • /
    • 2012
  • 촬영된 카메라의 기초 정보를 담고 있는 EXIF 파일을 편집 프로그램들을 통해 삭제 또는 변형하게 되어 우리 주변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이 상당수 존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디지털 이미지의 출처를 왜곡하여 공공기관에서 사건의 분석 및 감정에 혼선을 줄 수 있다. 특히 증거의 출처를 명시하는 법정 기관에 출처가 삭제, 변형된 EXIF 파일을 가진 디지털 사진은 객관적 증거의 역할을 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써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의 신원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디지털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사용하는 렌즈 왜곡 보정 알고리즘을 주목하였다. 렌즈 왜곡 보정은 맵핑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이 때 위신호 인공물(Aliasing artifact)와 복원 인공물(Reconstruction artifact)의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보간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여기서 보간은 맵핑의 패턴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 보간의 흔적을 찾는 것이 연구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맵핑에 사용된 보간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미니멈 필터(Minimum Filter)를 이용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보간이 발생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분류하여 두 영역에 동일한 미니멈 필터를 적용한다. 이를 DFT를 통해 각 영역간의 주파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두 영역간의 차분값을 활용하여 최종 검출 맵으로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