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opyright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28초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저작권 보호 프로토콜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 providing Privacy)

  • 유혜정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7-66
    • /
    • 2008
  • There have been proposed various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s in network-based digital multimedia distribution framework. However, most of conventional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s are focused on the stability of copyright information embedding/extracting and the access control to data suitable for user's authority but overlooked the privacy of copyright owner and user in authentication process of copyright and acces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that builds a privacy-preserving proof of copyright ownership of digital contents in conjunction with keyword search scheme. The appeal of our proposal is three-fold: (1) content providers maintain stable copyright ownership in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2) the proof process of digital contents ownership is very secure in the view of preserving privacy; (3) the proposed protocol is the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 added by indexing process but is balanced privacy and efficiency concerns for its practical use.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 송호진;정의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03-308
    • /
    • 2018
  •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에서 저작권자는 본인의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고, 저작권법의 정확한 이해를 통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며, 또한 저작권의 개념 정립을 기반으로 한 저작권자의 권리와 이용자들의 권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연구의 범위를 동일성 범위의 인정에 대한 사례와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법에 관한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이용자의 용도에 적합한 이미지 저작권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저작물의 등록 절차와 이미지 저작물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에서의 디지털콘텐츠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in Library)

  • 홍재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114
    • /
    • 2006
  • 본 연구는 디지털콘텐츠의 법적 보호를 논의하기 위하여 디지털콘텐츠의 정의, 범위 및 특성을 고찰하였다. 미국, EU 및 일본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의 보호를 규율하는 법률과 최근의 움직임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디지털콘텐츠를 보호하는 법률로서, 저작권법과 온라인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의 내용과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도서관에서의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과의 관계를 데이터베이스 콘텐츠, 원저작물의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에 의한 디지털콘텐츠, 기타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콘텐츠의 파일공유 부분으로 대분하여 분석하였고,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디지털콘텐츠와 관련해서 도서관이 취해야 할 바람직한 저작권 대응조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디지털콘텐츠의 법적 보호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Collective Management Systems of Copyright in the Digital Works)

  • 이두영;홍재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9-221
    • /
    • 1996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저작권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전자복제, 디지털 전송,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법적 분류, 저작인격권, 저작권 관리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저작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작자의 허락을 얻어야 한다. 원저작자와 출판자와의 허락내용을 검토하였고, 분배자 및 이용자와의 관계도 검토하였다. 끝으로 저작권을 보호하고 저작물을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저작권집중관리제도의 저작권관리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 PDF

Copyright and Creativity of Popular Music in the Digital Age: Towards a Sustainable Cultural System

  • Choi, Hwa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9-16
    • /
    • 2017
  • The music industry of the digital age has witnessed seemingly endless battles involving copyright. Though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copyright under romantic understating have benefited major actors in the industry, it has threatened creativity and net activism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argues rhetoric used by the industry regarding how file sharing and digital environments hurt music sales is inadequate. It has enabled the industry and its major labels to embolden copyright and protective legislation with the government's support. This article will reveal that the issue surrounding copyright under the romantic notion is not an outdated one confined to the early era of digital music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major players in the industry are repeating the old strategic approach of controlling the music market. This is achieved by limiting practices of music audiences and future creativity such as the creation of amateur content and emergence of new business models.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보호 환경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on the Copyright Protection Environment for Digital Libraries)

  • 이종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326
    • /
    • 2002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저작권보호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 평가하고, 제반문제점을 식별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데이터수집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디지털복제 전송이 허용된 50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시스템 도입 및 복제 \ulcorner전송 현황을 조사하고, 저작권법에서 의무화한 6개 기술조치를 이행한 5개 도서관 이용자를 표집하여 디지털자료의 이용 및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기초통계량을 고찰하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대학 도서관을 제외한 거의 모든 도서관이 디지털도서관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나. 디지털복제(68.0%) .전송시스템(84.0%) 도입비율은 높은 반면, 저작권보호시스템(26.0%) 도입비율은 낮다. 조사대상 도서관의 84.0%가 전문을 디지털화하고 있으나, 대부분 5천건 미만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였으며. 저작권을 확보하여 터지털화하는 도서관은 33.3%로 낮게 나타났다. 저작권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이행 수준도 낮으며, 이용자의 전자책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은 낮은 편이며 저작권에 대한 인식 또한 낮다.

디지털 정보의 전자저작권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nic Copyright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Contents)

  • 홍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1-200
    • /
    • 2001
  • Electronic Copyright Management System is the technical solution to protect copyright and to manage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in network environment. This paper examined the theoretical plane of Electronic Copyright Management System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tection technologies of some of the commercial systems. An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ssential protection technologies and payment systems that is needed to develop and manage the successful system in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fundamental function model of Electronic Copyright Management System.

  • PDF

A Study on Cognition about Copyright of Digital Works

  • Lee, Yong-W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1-49
    • /
    • 2017
  • Digital works such as computer programs, music, photographs, movies and dramas are copyrighted. Even if there were more than 1,000 violations per year for digital works, the punishment was very weak. Especially copyright infringement by teenager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 perception and direc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copyright. 157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bout copyright awareness, perception of detailed legal provisions, cost of monthly expenses, copyright violation, and direction of copyright protection.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wareness was high at 69%, but in detailed law was low at 17.2% and 22.3%. In the future direction of copyright policy, 72.6% of them answered that they should be "strengthened" and "more and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protect copyrights, enforcement of crackdowns, public relations activities, expansion of the legal market, and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do this, copyright-related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re needed more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egal market where high quality contents are traded. More research is needed on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ical methods.

디지털 영상의 저작권 보호와 기밀성을 위한 다중워터마킹 방법 (Multi-watermarking method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confidentiality for digital image)

  • 이성우;이형욱;신재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1074
    • /
    • 199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ulti-watermarking method for a copyright protection and confidentiality for an original digital image. One watermark is used for a copyright protection and another for a copyright protection and another for a confidentiality and a detection of unauthorized cop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