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rchives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5초

보존기록의 서사적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rrative Archival Description)

  • 안정희;이해영
    • 기록학연구
    • /
    • 제81호
    • /
    • pp.89-131
    • /
    • 2024
  • 이 연구는 디지털아카이브 환경에서 기록의 생산맥락과 구조를 함께 보여주는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어려움을 주는 문제를 인식하고, 기록물의 이야기적 기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맥락적 이해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서사적 요소의 구체적인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고, 보존기록 기술과 서사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서사적 기술을 기술에서 기록의 서사성을 확보하여 이야기하는 행위로 개념화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TNA, OAC, 늦봄 문익환 아카이브, 오픈아카이브의 기술을 조사·분석하여 서사적 기술을 '기록의 이야기', '기록의 재구성', '기록 해제 및 설명', '정리기술현장에서의 경험과 기억으로부터의 서사성 확보', '서사 플롯 설계'의 유형으로 식별하였다. 또한, 서사적 기술이 이용자들이 기록을 보다 쉽게 공감하고 이해하도록, 자신의 시각에서 다시 경험과 기억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돕는다는 것과, 기록의 해석과 해석자의 역할을 강조하여 아키비스트의 업무활동의 이해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아카이브를 하나의 콘텐츠로 인식하고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기록 접근점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출처와 맥락을 중시하면서도 주제적 접근이 가능한 기술 안으로서, 기술할 기록의 선별에 관여함으로써 방대한 기록으로 인한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서사적 기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사적 기술은 아키비스트가 맥락 구성자로서의 서사 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록에 대해 폭넓고 깊은 연구를 수행하며,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기획함으로써 실행이 촉진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대통령기록포털 검색어 로그 분석 기반 이용자 정보요구 분석 (User Information Needs Analysis based on Search Terms Log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 이수현;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4
    • /
    • 2024
  • 최근 방대한 정보자원 속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대통령 기록물의 활용 가치 향상을 위해 대통령기록포털의 검색어 로그 분석을 통해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현 대통령기록포털에서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부합하는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색 품질을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기록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개선할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8년간의 검색어 로그를 기반으로 주제 분석, 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이용자 요구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대통령기록포털의 검색 품질을 정확도 관점에서 평가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통령 기록물 대상의 디지털 기록 큐레이션을 위한 사전적 연구로서, 이용자의 구체적인 정보요구를 파악하고 기록관 포털 사이트의 검색 품질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 한국콘텐츠진흥원 컬처링(Culturing)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 (User Perceptions of a Digital Archive for Content Creation: Focused on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s 'Culturing')

  • 박용민;김양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85-310
    • /
    • 2020
  •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국가기록원 및 기록관의 기록정보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들은 다수 수행되었지만,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조사는 수행 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영 중인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컬처링(Culturing)' 웹 사이트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한 인식조사는 이용자들의 컬처링 사이트 콘텐츠들에 대한 관심 정도와 콘텐츠 유형 및 주제 분야별 예상 이용선호도와 예상 도움정도 등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설문데이터의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과 인식과 관련된 평균값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동(同) 사항 및 인식과 관련된 명목 변수 항목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즉, ① 카드스토리 등의 콘텐츠 유형 및 콘텐츠 내용의 전문성 제고를 포함한 정보 자료의 확충, ② 이용자 종사분야별 맞춤형(Customizing) 인터페이스 설계와 가독성 향상 및 모바일 플랫폼 전용 사이트 개발, ③ 대형 포털사이트와 창작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이트 홍보의 강화 등이다.

A global issue: preservation of digital objects

  • Hofman, Hans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71
    • /
    • 2002
  • 전자보존이라는 것은 한 기관이나 한 분야, 한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이 분야에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다루어야할 세계적인 규모의 쟁점이 되고 있다. 비록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지만 실제적이고 불후의 해결책은 아직도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존을 위한 필요조건은 전자정보의 접근성과 이용가능성을 기본으로 하고, 문서에서 장기보존에 관련된 기준은 문서생산기관에서 문서시스템의 설계단계에서 이미 고려되어져야 한다. 문서가 어디서 관리되어지느냐에 따라 문서시스템이나 업무시스템에 통합되어져야 한다. 전자문서보존과 관리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만들려면 전자정부와 전자서비스전달과 관련된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기관은 현재 봉하고 있는 인프라를 기술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완전히 재구축 하여야 한다.

E-ARK 기반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Digital Archiving Model based on E-ARK)

  • 박희진;한상은;오삼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101
    • /
    • 2018
  • 본 연구는 E-ARK(European Archival Records and Knowledge Preservation)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관련 국제 표준과 기술 사항을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핵심 기능 영역을 도출하고 기능 모델 구축에 필요한 기술, 정보패키지와 메타데이터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정보패키지 구성에 있어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였다.

디지털자료의 납본과 보존을 위한 각 국가의 노력 (Legal Deposit and Preservation of Digital Materials in Various Countries)

  • 서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3-399
    • /
    • 2003
  • 법정 납본 제도는 국가문헌의 망라적 수집과 보존이라는 국가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 도구이다. 최근 급증하는 디지털자료의 특성으로 인해 인쇄자료에 기반을 둔 납본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여러 나라 납본제도의 디지털자료 관련 최근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을 앞두고 디지털자료의 수집을 위한 법정 납본 제도의 확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병원 정보화 관련 실(室) 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Spaces Related With Digital Network System in General Hospital)

  • 임성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6권11호
    • /
    • pp.107-116
    • /
    • 2000
  • The digital network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the resent hospital buildings. This study is to lay out a guideline of architectural planning according to the hospitals with digital network system. First, this study develops the concept of hospital building digital network system and reports the survey results of domestic general hospitals for this matter. Required spaces by digital network system in general hospital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equipment room, main equipment room and a telecommunication closet, to accommodate network facilities. The other is the spaces related with medical information, medical archives and the department of radiology, because digital network system makes a change the form and use of information. In result, this study proposes models for each equipment room and raises the possibility of size change of information-spaces.

  • PDF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표준화 연구 동향 (Understanding the Ongoing Archival Research on the Permanent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 박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17
    • /
    • 2002
  • 전자형태를 띄고 있는 문서와 데이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전자문서의 유약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영구보존하여 전자문서의 이용을 극대화하려는 다각도의 연구들이 1990년대 이래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글은 북미를 중심으로 서구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자문서 보존과 이용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그 중에서 세계적 규모로 진행중인 InterPARES Project의 성과와 특징을 살펴봄으로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개념의 정립과 그 보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아울러 한국적 모색을 마련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3D 디지털 현미경으로 측정한 당백가시 인쇄본의 형상 특징 (An Image Characteristics of Metal Movable Type Printing on One Hundred Poets of the Tang Dynasty by the Measurement of 3D Digital Microscope)

  • 김혜경;오카다 요시히로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9
    • /
    • 2017
  • 류코쿠 대학 소장 "당백가시"를 중심으로 3D 디지털 현미경으로 인쇄된 종이 표면에 남아있는 금속활자의 미세표면을 관찰하여 굴곡구조와 표면 거칠기를 정량화하는 측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인쇄된 종이 표면을 기준으로 활자 표면의 굴곡 현상을 선으로 측정하고 활자의 미세표면은 면으로 측정하여 수치화하여 인쇄된 종이 표면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3D 디지털 현미경 측정 방법은 비접촉, 비파괴 방법으로 많은 자료 분석과 반사광에 의한 직접 관찰이 가능하다. 그리고 클리닝이나 배접 그리고 주름을 펴기 위하여 강한 힘으로 압력을 주는 과정에서 고문서에 함유된 정보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사전 조사 방법으로 종이 표면에 남아있는 인쇄 정보를 수집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유산의 보존: UNESCO의 관점에서 (Preserving Our Digital Heritage: A UNESCO Perspective)

  • 압둘아지즈 아비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3-193
    • /
    • 2005
  • 세계에서 생산되는 막대한 정보 양의 상당 부분은 디지털로 생성되고, 매우 다양한 포맷으로 되어있다. 2001년 5월 유네스코의 이사회 회의 동안, 회원국들은 디지털 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신속한 행동을 취할 필요성에 동의하였다. 이에 대한 유네스코의 관심은 전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유네스코는 부분적으로는 세계 사람들의 문화, 과학 및 정보 유산의 보존과 향유를 장려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디지털 유산의 성장과 그것의 취약성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우리 사회는 글로 쓴 아카이브의 패러다임, 수백 년 동안 발전해온 패러다임의 종식을 목격하였다. 20세기 동안 새로운 매체가 이와 같은 이름난 전통에 현명하고도 겸손하게 합류하였다. 이 패러다임은 이미 변형되었고, 자리를 차지한 장치들은 정보기술의 가차 없는 전진과 그것들이 야기한 양적 팽창을 다룰 수 없다. 이것은 기록의 유지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들의 능력 밖이다: 신속하고 완전하게 이전의 기록과 아카이빙 체제를 변모시키면서, 전적으로 새로운 정보의 제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이 전환이 일어나지 않으면, 우리 사회는 우리의 집단적 사회적 기록에서 돌이킬 수 없는 훼손을 겪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