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Records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accordance characteristic of Dental institutions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round-)

  • 성미애;윤성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99-307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실태의 규명과 감염예방을 위해 대구, 경북지역 2012년, 2017년 2개 년도 동일한 114개의 치과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을 설문조사하였다. 감염관리실태 8문항 평균 3.37이며 '환자의 질병병력 기록'은 95.5%로 높고 '오폐수시설이 있는 경우' 1.8%로 낮았다.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의 9항목 평균 4.87이며 '메탈트레이 소독' 94.7%로 높고, '타구통 폐기물을 폐기물통에 보관 후 위탁처리' 17.5%, '로 낮았다. 일반적인 특징과 치과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은 2012년보다 2017년이 높았으며, 치과위생사, 대학졸업이상, 환자상담 및 관리, 병원급 이상, 치과의사 수(치과위생사 수, 체어 수, 환자 수)는 많은 경우 높았다. 총괄적으로 치과 특성을 고려하여 감염관리를 하여야 할 것이며 병원규모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카톨릭 역사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Catholic Historical Records and Archives)

  • 한아랑;오효정;안승권;김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9-384
    • /
    • 2016
  • 본 연구는 호남교회사 연구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소장 기록물의 수집, 관리, 보존 및 활용에 있어서 공개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아카이브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문화콘텐츠의 아카이빙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산업정책과 맞물려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재 관리의 문제점 및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은 지역적 한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부 R&D 투자의 우선순위 설정의 요인들 (Factors of priority setting in the government R&D investment)

  • 하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11
    • /
    • 2014
  • 본 논문은 정부 R&D 투자의 우선순위 설정에서 작동하는 요소들을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과학자 공동체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하였다. 최근 선진국들에서 대규모 연구들이 예상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대규모 연구들이 계획되고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원의 한정성이라는 근본적 문제를 고려할 때, 역설적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추진된 대규모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국민 및 미디어의 관심 등 정치적 자원의 확보, 국가의 위상 제고, 기술자립을 통한 경제적 효과 제고 등의 요인들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과학자 공동체는 전문성과 합리성에 따라 연구 과제를 선택하는 합리적 전문가로서 행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기 분야의 대규모 연구 과제들이 채택되도록 노력하는 정치적 행위자로서 행동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정부 R&D 투자의 우선순위 설정에서 대규모 연구에 대한 조급한 투자 결정을 줄이기 위해 공적 담론이나 국회의 심도 있는 심사 등의 새로운 절차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의료 데이터 발생과 분석기술을 활용한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tilizing medical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techniques)

  • 최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77-3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은 8개월 동안 vb.Net으로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학습자가 데이터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ACCESS의 Database를 이용하였다. 학습자는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퇴원분석 및 암등록 프로그램 그리고 미비기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에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육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SQL을 통하여 직접 추출하고, 다양한 의료정보를 생성해봄으로써 학습자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교육용 프로그램이면서 학습자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학습자 평가를 위한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의 평가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광 디스크의 복제방지를 위한 후처리 암호화 기록 장치의 설계 (Design of After-processing Encrypted Record System for Copy Protection of Digital Video Optical Discs)

  • 김형우;주재훈;김진애;최중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35-1440
    • /
    • 2010
  • 본 논문은 디지털 비디오 타이틀 제작 업체가 디스크 제작을 완료한 후 디스크 복제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디스크의 일부영역에 타이틀 업체의 고유ID를 기록하는 후처리 암호화 기록장치에 대한 시스템을 제시한다. 그 방법으로서 FPGA를 이용하여 광디스크의 메모리블럭 동기화 신호인 SYNC.를 검출하고, 기록(Write)을 위한 다중펄스(Multi Pulse)를 발생시키는 기록 패턴을 설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광 디스크의 데이터영역을 어느 곳이라도 자유자재로 기록이 가능하도록 FPGA로서 기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설계한다.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광 디스크의 비기록 데이터영역을 사용자 임의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소프트웨어 복제 방지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향후 고밀도 광 디스크의 암호화 기록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based on Cargo DTG Data for Crackdown on Overloaded Trucks

  • Kim, Bum-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67-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과적 화물차량 단속을 위한 대용량 화물 DTG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한다. DTG(digital tachograph)는 차량운행기록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GPS, 속도, RPM, 제동유무, 이동거리 등 차량운행 관련 데이터가 1초 단위로 기록된다. 차량 운행 패턴 및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DTG 데이터의 빠른 처리가 필수적이며, 특히 대용량 DTG 데이터를 가공 및 변환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빅데이터 프레임워크인 스파크(Spark)를 이용하여 과적차량 단속을 위한 대용량 화물 DTG 데이터의 분석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구현 결과, 실제 대용량 화물 DTG 데이터를 GIS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도상에 표현하고 단속 추천 지점을 보여준다.

침수피해 정보를 이용한 농경지의 지형학적 침수취약지도 작성 - 진주시를 사례로 - (Mapping of Inundation Vulnerability Using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Flood-damaged Farmlands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 김수진;서교;김상민;이경도;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51-5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map of farmland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based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from the flood-damaged areas. Vulnerability mapping based on the records of flood damages has been conducted in four successive steps; data preparation and preprocessing,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 criteria, calcul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us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evalu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At the first step, three primary digital data at 30-m resolution were produced as follows: digital elevation model, hill slopes map, and distance from water body map. Secondly zonal statistics were conducted from such three raster data to identify geomorphic features in common. Thirdly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was defined as the value of 0 to 1 by applying a fuzzy linear membership function to the accumulation of raster data reclassified as 1 for cells satisfying each geomorphic condition. Lastly inundation vulnerability was suggested to be divided into five stages by 0.25 interval i.e. extremely vulnerable, highly vulnerable, normally vulnerable, less vulnerable, and resilient. For a case study of the Jinju, farmlands of $138.6km^2$, about 18% of the whole area of Jinju, were classified as vulnerable to inundation, and about $6.6km^2$ of farmlands with elevation of below 19 m at sea water level, slope of below 3.5 degrees, and within 115 m distance from water body were exposed to extremely vulnerable to inundation. Comparatively Geumsan-myeon and Sabong-myeon were revealed as the most vulnerable to farmland inundation in the Jinju.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인터넷 전화 녹취 시스템 (An Internet Telephony Recording System using Open Source Softwares)

  • 하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25-233
    • /
    • 2011
  • 인터넷 전화는 IP 기반 인터넷에서 VoIP(Voice over IP) 기술을 이용해서 음성 전화를 지원하는 인터넷 서비스다. 인터넷 전화는 영상통화, 메시징과 같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융합한 음성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급되면서 기존의 전화망을 대체하는 서비스로써 인터넷 전화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인터넷 전화의 음성 통화 내용을 녹취하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인터넷 전화 녹취 시스템은 리눅스 기반으로 양방향 음성 스트림을 믹싱하는 기능, 라이브 패킷 스니핑 기능, 녹취 음성 파일 송신 기능은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하였다. 향후 개발된 시스템은 VoIP 기반 콜센터 시스템 등과 같은 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반 기술로 활용될 계획이다.

발화구간 검출을 위해 학습된 CNN 기반 입 모양 인식 방법 (Lip Reading Method Using CNN for Utterance Period Detection)

  • 김용기;임종관;김미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33-243
    • /
    • 2016
  • 소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문제점으로 인해 1990년대 중반부터 음성정보와 영양정보를 결합한 AVSR(Audio Visual Speech Recognition) 시스템이 제안되었고, Lip Reading은 AVSR 시스템에서 시각적 특징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AVSR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입 모양만을 이용한 발화 단어 인식률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 모양 인식을 위해 실험단어를 발화한 입력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입술 영역을 검출한다. 이후 DNN(Deep Neural Network)의 일종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발화구간을 검출하고,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입 모양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HMM(Hidden Markov Mode)으로 인식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화구간 검출 결과는 91%의 인식률을 보임으로써 Threshold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입모양 인식 실험에서 화자종속 실험은 88.5%, 화자 독립 실험은 80.2%로 이전 연구들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위치 정보가 기록된 과거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 간 증강현실 기술 기반 합성 결과물 의미 고찰 (Study on composite images through Augmented Reality over old images tagged location data)

  • 박형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21-229
    • /
    • 2014
  • 본 논문은 사용자가 모바일 위치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포착하는 현실 이미지와 과거 이미지를 중첩시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위치기반 증강현실 기술로 합성된 이미지는 가상의 과거 이미지를 현재 포착하고 있는 이미지에 공간적 유사성으로 중첩시킨 결과이다. 현재와 과거의 두 상이한 시간 서사가 동일 공간에 실시간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합성 이미지인 것이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 증강현실 기술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다층 서사 기록 주체라는 측면에서 사용자의 개입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사 연구 결과와의 비교로 이미지 중첩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사용자의 개입이 합성 이미지 결과물에 다층 서사를 부여하는 핵심임을 발견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다층 서사 기반의 합성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여 향후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나 문화 콘텐츠 활용 서비스로 활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