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Servic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ASK_a 서비스 모형 개발 (The ASK_a Service Model for Public Library in Korea)

  • 남영준;이향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57-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인 ASK_a 서비스 운영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이 갖는 기능을 입력과 처리, 출력과정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최적의 입력 형식은 웹 폼형식을 제안하였고, 처리과정은 공공도서관의 혼합형(수평형, 계층형) 협력모델을 제안하였고, 출력 과정은 제공된 질문-해답정보에 대한 아카이빙 정책을 제안하였다. 특히 ASK_a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안한 모형의 핵심을 공공도서관의 협력연계를 통한 외부 인력과 자원활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협력의 최종목표는 고도의 전문정보 서비스를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도서관 트릴레마 담론 (Discourse of Library Trilemma in the Context of Global Megatrend)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6
    • /
    • 2021
  •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 및 복합문화의 허브이자 만남과 소통을 위한 제3의 장소다. 근래의 공공도서관은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핵심역량 제고와 서비스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그런데 COVID-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폐관, 재개관, 부분 폐관이 반복되자 비접촉, 디지털, 온라인 대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미래 공공도서관은 디지털 확장성, 복합문화공간화, 지식정보서비스 장소로서의 중요성이 상충되는 트릴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도서관 트릴레마를 담론화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래 공공도서관의 지향성은 다중성과 다목적, 장소와 공간, 지식정보와 복합문화, 대면접촉서비스와 비대면 원격서비스를 아우르는 화이부동이다. 공공도서관의 본체는 손가락(디지털과 비접촉)이 아니라 달(지식정보센터)이다.

인터넷 시대의 디지털도서관 구축.운영과 관련한 저작권 문제 (Issues of Copyright Relating to Constructing and Managing Digital Library in the Internet Age)

  • 홍재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8
    • /
    • 1999
  • 본 논문은 도서관 소장자료의 서지정보와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 사실정보, 인명정보의 디지털화와 관련한 저작권 문제를 검토하였다. 인터넷 상의 저작물 자체의 이용과 링크에 의한 저작물 이용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관내에서의 이용자 서비스와 관외의 이용자 요구에 응한 저작물 전송서비스와 관련된 법적 문제점도 조사하였다. 끝으로 현 상황 하에서 디지털도서관을 구현하기 위한 저작권 대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05
  •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 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 도교육청 관내의 초 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308개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s Integrated Portal)

  • 이수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7-275
    • /
    • 2006
  • 이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해 먼저 도서관 포털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런 다음 5 가지의 주요 사례를 선정하여 포털의 주요한 특성을 구분하고, 도서관 포털이 갖추어야할 기본요건을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운영을 준비하고 있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을 기반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포털 서비스의 모형을 정의하고, 기본이 되는 검색과 참여 서비스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게 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정책수립에 관한 문헌 및 사례고찰 (A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s for Developing National Digital Library Policies)

  • 장윤금;노동조;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5-117
    • /
    • 2008
  • 국립중앙도서관의 국립디지털도서관 설립이 추진되면서 디지털도서관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의 경우 도서관정책과 관련된 연구나 지원은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앞으로 급변하는 정보환경에서 발전해가야 하는 디지털도서관 환경과 문제점을 고려할 때 체계화되고 구체화된 정보서비스정책의 수립은 선행되고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도서관 정책수립과 관련된 문헌조사와 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앞으로 국립디지털도서관을 비롯한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정책 수립을 위한 핵심요인과 과제를 추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정책수립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 배경재;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3-290
    • /
    • 2006
  • 정보화 시대에 오히려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LG상남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을 활용하여 도서관 접속과정을 자동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구축하였다. 이용자는 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전화도서관 서비스의 세 가지 접근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디지털 토킹북을 들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구축을 위해서는 이용자와의 접점을 다양화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이용자의 정보 이용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사용성 평가 및 분석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 과학분야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cience Digital Library for Youth)

  • 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83
    • /
    • 2004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분야 디지털도서관인 LG사이언스랜드와 미국의 국가과학디지털도서관인 NSDL을 사례로 하여 정보서비스 구성 및 정보시스템 설계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과학정보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성향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정보서비스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청소년 과학정보서비스 이용자들은 주로 호기심 해결과 과학지식을 넓히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하며, 편리하고 단순한 효율적인 검색인터페이스를 선호하고 있다. 국외 과학정보서비스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조직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청소년 대상 과학정보서비스는 주제별 분류체계에 있어서 기타과학분야의 분류세분화를 요구하고 있다.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Commons as Model of Library Integrated Service)

  • 정미경;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7-363
    • /
    • 2007
  • 디지털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서비스요구는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입 확산되고 있는 Information Commons의 정의, 개념, 유형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Information Commons는 단순한 도서관 시설이나 공간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비롯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이행하기 위한 협력적 서비스의 제공, 인적자원의 제휴, 물리적인 공간 및 시설의 재정의가 수반된 통합적 서비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Information Commons의 성공적인 도입 및 구축을 위해서는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 유기적이거나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의 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서관의 디지털화 수준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for Estimating the Digitization Level of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47-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디지털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도서관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 및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3가지 차원의 비교축을 도출하였다. 이는 수서, 장서(물리적 온라인컬렉션), 분류목록, 대출반납, 참고서비스, 이용자서비스, 도서관프로그램서비스, 공간서비스, SNS 서비스, 도서관의 조직 및 직원, 장비제공서비스, 차세대서비스, '우리 도서관의 디지털화 수준의 디지털화 수준' 등이다. 1차적으로 도출된 디지털화수준 평가항목에 대해 현장사서들의 검증과정을 거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전통적 평가항목의 적절성에 대한 평균은 3.82이고 디지털 평가항목의 적절성에 대한 평균은 4.08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의 디지털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항목들은 상당히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