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on Education

검색결과 1,357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개인 정보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 권정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1-167
    • /
    • 2020
  • 사이버공간 속 디지털문화의 융복합 윤리교육은 개인정보, 저작권 등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고 있어 사이버 공간의 사용자인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교류하는 사이버공간 속 정보수용능력과 정보 제공능력에 관한 교육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를 남용하는 역기능이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소통하고 교류하는 디지털네티즌들 가운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정보보안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사회회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양성의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배경재;박희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1-265
    • /
    • 2013
  •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소비자정보 인지도, 수용도와 의복구매 시 정보원활용에 관한 연구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wareness, Reception and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for Purchasing Clothing)

  • 장수빈;류미현;이승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4호
    • /
    • pp.61-7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and determine potential effect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concerning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upon their characteristics in purchasing clothing.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determines digital generation's awareness and recep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nd their utiliza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source, so that it can help understand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behaviors of information search and the phenomena of digital market in this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an ultimately provide reference data useful for guidance in favorable consumer life as well as consumer education based on digital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It is found that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reached higher level in the awareness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The recep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source are found as middl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consumer education: Lately, digital devices have been widely popularized into larger number of users, so that we have more chances to buy desired products on the web or mobile device. In particular, the rate of clothing purchase on the web tends to increase year by year. However, our digital consumers still lack in their ability to utilize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in terms of quantitatively increasing purchase of products on the basis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a formulated education in their information search and shopping using digital devices, so that they will have better ability to use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in the future.

지능정보사회 노인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와 과제 (The Digital Divide and Challenges on the Elderly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 박노민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0
    • /
    • 2024
  • 시대적 디지털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지능정보사회는 개인적인 삶의 변화 가능성으로 기대되는 반면, 지능정보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 격차는 활용 불가능의 불편함을 넘어 지능정보사회에서 누릴 수 있는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이 야기되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포용 실현을 위한 노인 미디어교육 분야의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2022)'과 '2022 교육정보화백서(2022)'를 통해 지능정보사회와 관련되는 국가정보화 비전, 목표, 전략 및 과제를 살펴보았으며, '2022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취약계층으로 분류된 노인층의 디지털 격차 현황을 통하여 디지털정보화 역량(54.5%)과 디지털 정보화 활용수준(72.6%)은 낮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지능정보사회에서 노인층의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 노인 미디어교육 분야에서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미디어교육 서비스 개발, 늘배움 온라인서비스 채널을 통한 노인 미디어교육 서비스 제공, 노인층을 위한 디지털 지능형 미디어 교육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장애인 질적 정보격차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ativ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

  • 이선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9-480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tasks to solve digital divide by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gital divid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factors about qualitative digital divi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Utilization Capacit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tend to be higher among the young, more often male,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income people who had some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and experience us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Addition, all failure type affected the "age", "income",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common. Among them, influence of "a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has become stronger than the other variabl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qualitative digital divide, it is required to focus as "a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 PD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S A TOOL OF STRATEGY FOR ENSURING THE HIGHER EDUCATION ADAPTABILITY TO THE DIGITAL ECONOMY CHALLENGES

  • Kholiavko, Nataliia;Popelo, Olha;Bazhenkov, Ievgen;Shaposhnykova, Iryna;Sheremet, Ole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187-195
    • /
    • 2021
  •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cesses of the digital economy development is lea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Universities are forced to digitalize their own educational, research, international, marketing, finan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maintain a competitive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of educational service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tudy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o ensure its adaptability to modern challenges of digital economy. To achieve this goal, methods of content analysis, logical generalization, systematization and a structural-functional method are used. In the article, the authors substantiate the urgency of forming a holistic strategy to ensure the adap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o the challenges of digital economy. In the structure of this strategy, the information-technological block is singled out and described. The authors specified a set of positive synergetic effects from the introduction of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activities of universities. The main information threats to the digit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university systems from cyberattacks and fraudulent schemes are identified. In conclusion, the authors detail the measures for the strategy implementation to ensure the adap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o digital economy.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1-721
    • /
    • 2018
  •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8
    • /
    • 2002
  •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초등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 교과 독립 적용 탐구 (Exploring the Independent Application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65-277
    • /
    • 2021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기능과 도구 활용 중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과 참여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원격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기초적 지식, 기술 및 역량으로 구성된 준거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은 기능과 도구 중심으로 제시되고, 특정 영역 등에 편중되어 있고 체계성, 연계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에 초등 정보교과 독립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과 체계 구성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 및 예비교사의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