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on Display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2초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 (A Study on Digital Displays for Digital Restoration)

  • 김시은;최승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45-155
    • /
    • 2021
  •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문화재나 훼손된 미술작품을 디지털 기술로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된 내용을 영상이나 콘텐츠로 제작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전시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재생된 정보와 콘텐츠는 고미술의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관객들의 감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저장하여 작품의 복원이나 보존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복원의 범위를 세 가지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 중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과 인류의 유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 역할의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과 전시를 디지털 복원의 범위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범위의 디지털 복원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를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행태를 설치한 강릉 오죽헌/시립미술관과 뉴욕에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사례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의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어 자연과 인류의 유산 보존을 위한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Development of 42' 2D/3D Switchable Display

  • Kang, Hoon;Jang, Mi-Kyoung;Kim, Kyeong-Jin;Ahn, Byung-Chul;Chung, In-Jae;Park, Tae-Soo;Chang, Jin-Wook;Lee, Kyoung-Il;Kim, Sung-Tae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8권1호
    • /
    • pp.22-25
    • /
    • 2007
  • Stereoscopic/autostereoscopic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express 3D images, but have not been successfully use in practise. In order to apply 3D display to promising applications such as advertisements and games, we developed a 42" 2D/3D switchable display. It has characteristics that do not require special glasses for 3D images, uses multi-view technology for improving 3D viewing characteristics, and has a 2D/3D switching function to express dynamic 3D contents as well as conventional 2D contents.

디지털 영상정보의 기술 발전 동향 연구 (A study on Technical Development a Trend of Digital Image Information)

  • 김수용;지석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755-760
    • /
    • 2008
  • 영상 Display의 시장 동향과 기술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영상 Display 로서는 그밖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FED(Filed Emission Display) 등이 있고 차세대 Display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양자 모두 스스로 발광하는 형태를 취하기 위해서는 Back Light가 필요하지 않고, 박형과, 넓은 시야각, 또한 응답 속도가 빠르고 때문에 액정 Display 보다 유리하리라 판단된다.

  • PDF

원양어선 항해정보를 위한 RIA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of Web application for Deep-sea fishing Sailing Information based by RIA)

  • 정회준;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272-2278
    • /
    • 2011
  • 원양어선을 보유한 회사에서 조업 중인 어선의 항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항해 현황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PC 또는 DID(Digital-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선박 항해 위경도 표시 및 어획량 등 각종 항해 정보를 지도기반에서 visual하게 display하도록 설계한다. DB에 저장된 항해중인 37척의 원양어선 항해정보를 Flash 기술 기반의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를 통해 역동적으로 화면구현이 가능한 Web Application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다수의 어선상태를 한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의사결정을 신속히 가능하게 함으로 운영자 및 사용자에게 정보사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대학홍보용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이용자중심 콘텐츠개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용인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inement of a University's Information Display for User-oriented Contents -Focused on Yong In University-)

  • 박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83-38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홍보 및 정보안내를 위해 용인대학교 교내에 설치된 디지털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정보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용자중심의 콘텐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관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결과, 이용자 중심의 주요 콘텐츠를 추출하여 정보의 중요도 및 시간대에 맞는 맞춤 콘텐츠를 차등노출하고 체류시간이 많은 공간에 디스플레이를 재배치함으로써 정보전달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교 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공간에 설치되는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콘텐츠 구성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D Simulation of T-Shaped Electrode and Comparison of Results with Experiments

  • Shin, Yeong-Kyo;Hwang, Tae-Su;Kang, Seok-Dong;Park, Hun-Gun;Ryu, Jae-Hwa;Kim, Hyun-Chul;Shin, Seong-Won;Lee, Jae-Ko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3권2호
    • /
    • pp.13-18
    • /
    • 2002
  • Numerical simulation is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to study gas discharge phenomena that occur in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AC-PDP) cell. Most PDP cell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for two-dimensional cell, is cross-section along the address electrode. We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PDP simulator and applied it to a T-shaped electrode cell in order to show the effects of sustain electrode shape that cannot be included in two-dimensional simulation. The dependence of power consumption on electrode shape and area in the simulation showed the same trend as experiment.

Goal-Posture-Determination of a Steerable Mobile Robot for Active Information Display

  • Lee, Jeong-eom;Yi, Chong-ho;Kim, Dong-won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3-10
    • /
    • 2018
  • A projection-based active information display system wa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based on Intelligent Space and a steerable projector mounted mobile robot which is called Ubiquitous Display (UD). In order to transfer visual information for a human in the Intelligent Space, the UD projects a certain shape of an image with a fixed size. Due to redundancy of degree of freedom (DOF), there are lots of situations to project a same shape and size of the image on a surface. In this paper, we describe a method to determine a goal posture of the UD. Here, the goal posture is the most efficient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UD so as to project visual information and it is determined by the Intelligent Space.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simulation and demonstration are carried out.

Application of the New Panel Structure for High Luminous Efficiency in AC-PDPs

  • Kim, Jae-Sung;Jeon, Chung-Huan;Lee, Eun-Cheol;Ahn, Young-Joon;Kang, Seok-Dong;Ahn, Sung-Yong;Shin, Young-Kyo;Ryu, Jae-Hwa;Schemerhorn, Jerry D.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권1호
    • /
    • pp.32-34
    • /
    • 2000
  • A new PDP cell structure called CSP(Charge Storage Pad) improves the luminous efficiency by 1.6 times and prevents cross talk between adjacent cells. The CSP, which is a conduct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MgO film in the front plate. This CSP produces a longer time-averaged discharge path to get a high luminous efficiency and confines the discharge to prevent cross talk.

  • PDF

프로젝션 화면에서 전경물체 검출 (Foreground object detection in projection display)

  • 강현;이창우;박민호;정기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1호
    • /
    • pp.27-37
    • /
    • 2004
  • 색상 정보를 이용한 프로젝션 화면(projection display)상의 전경물체 검출(foreground object detection)은 조명 변화나 복잡한 배경 때문에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터의 입력 영상과 프로젝션 화면을 촬영한 카메라 영상들로부터 얻어진 색상 정보를 이용한 전경물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두 영상사이에 기하 왜곡과 색상 왜곡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두 영상사이의 관련된 화소를 찾기 위해 투영변환방법(projective transformation)을 사용하여 기하 왜곡을 보정한다. 프로젝션화면상에 전경물체가 없을 때 관련된 화소사이의 색상 차이를 프로젝션 화면상의 자연스러운 왜곡으로 모델링한다. 이를 다항식 근사 방법(polynomial fitting)으로 모델링한다. 영상 내 어떤 위치에서 관련된 화소 사이의 차이가 주어진 다항식에서 예측된 색상차이보다 클 때 전경물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실험 및 결과에서 제안된 전경물체 검출 방법이 디지털 데스크(DigitalDesk)같은 프로젝션 화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Image Clustering using Geo-Location Awareness

  • Lee, Yong-Hwan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5-138
    • /
    • 2020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automatic clustering to search of relevant digital photos using geo-coded information. The provided scheme labels photo images with their correspond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s and date/time at the moment of capture, and the labels are used as clustering metadata of the images when they are in the use of retriev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geo-location informa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image retrieval, and the information embedded within the images are effective and precise on the image clust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