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ivide Surve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의 정보화촉진을 위한 인터넷 사용행동 연구 (Digital divide among women: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Internet use)

  • 이성림;박명희;서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7-193
    • /
    • 2004
  • Using data from the 2001 Computer and Internet Use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study investigated digital divide among women aged between 20 and 55. Following were the major findings. first, two-thirds of women did not use Internet even though many of these had Internet access at home. Second, those who did not have Internet access at home, those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those with blue color or service occupations, and those with higher age were less likely to use Internet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se socio-economic variables. Third, expanding Internet infrastructure would not improve Internet use of the Elderly. Forth, the majority of those who did not use Internet did not recognize the Internet itself. Based on the resul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digital divide were suggested.

교통부문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Analysis of Digital Divide in Transportation Section )

  • 조아해;서지훈;조정우;김성훈;김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6
    • /
    • 2023
  •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대부분의 서비스가 비대면/무인화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는 요인 분석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교통분야에서의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교통부문에서의 디지털 격차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연령, 학력, 소득 등으로 구분하여 디지털 취약계층을 선정하였다. 둘째, Chi-squared Text를 활용하여 디지털 취약계층과 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교통부문 모바일 앱 이용현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앱의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취약계층이 비 취약계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 횟수에서도 유의한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통부문 모바일 앱 능숙도를 비교하였다. 마찬가지로 취약계층이 비취약계층에 비해 모바일 앱 이용 절차 전반에서 능숙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가 향후 교통부문에서의 디지털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Persons' Adoption Patterns of Media Information (Newspaper, Smartphone, Etc.) and Digital Divide

  • Park, Kyoung-ryu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127-134
    • /
    • 2018
  • This study found the digital divide of Korean elderly persons on the basis of the 2013-2017 survey data of the perception of media information adopters. The studied media were traditional ones, such as newspaper and TV. The media dependence of those in their 20s to 60s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newspaper, elderly persons in their 60s had 20.7% on average, 13.6% higher than the percentage (7.1%) of young persons.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TV, those in their 60s had 97.6% and those in their 20s had 63.7%, so that there was a wide gap of 33.9% on average.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of those in their 60s was 61.3%(2015-2017) on average, which tended to rise. The elderly's dependence on traditional media featured Digital Divide which is found in the informatization proces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ir digital divide,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 in line with their knowledge level through remote online centers, develop inclusive ICT for convenience, and change philosophical policy paradigm in the dimension of quality of life.

연속형 중심-주변 네트워크 모형을 통한 세대 간 세대 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 도출 (Deriving a Strategy for Resolving the Inter-and Intra-generational Digital Divide based on the Continuous Core-periphery Network Model)

  • 유인진;하상집;박도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1호
    • /
    • pp.115-14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ful insights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between generations. In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pproach it with a perspectiv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tatistical technique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at transforms and analyzes government-led survey data into relational data. First, the cross-sectional data were converted into relational data, and a continuous core-periphery model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ere applied. After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divide an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were analyzed by generation. Findings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ll generations commonly use 'information and news search' and 'living information servic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ly used services of each generation a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linkage between the services is also clearly differ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by generation is also different.

온라인 정치참여에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디지털 기기 이용자의 기기 운용 기술 격차를 중심으로 (Impact of Digital Divide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Focus on the Gap of Operational Skills of Digital Device Users)

  • 장창기;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6-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 이용을 위한 동기와 운용 기술 차원에서의 디지털 정보격차가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2018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터넷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표본선택의 편의를 통제하기 위해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개별 시민들이 원하는 활동을 하기 위한 동기와 기기 운용 기술에 있어서의 격차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에서 연령, 교육수준 및 지역적 요인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만, 성별 및 소득수준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간 정보격차의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경우에는 디지털 기기 이용 동기가, 개인용 컴퓨터 이용자의 경우에는 기기 운용 기술이 중요한 요인으로 식별되었다.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 김반야;권종실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91-105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청년은 정보 활용격차에서 자유로운가? - 한국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 (Is the Youth Generation Free from the Digital Divid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in Korea-)

  • 김설인;구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9-54
    • /
    • 2021
  •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역량과 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대 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1779부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요인은 '개인의 정보활동', '공유활동', '생활서비스', '사회참여', '정보 및 네트워킹', '경제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준거집단(46.5%), 고활용집단(27.2), 저활용집단(26.3%) 3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역량, 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고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피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청년세대 역시 정보격차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도 청년세대 정보격차에 대한 발전된 차원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 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Internet Use and Digital Divide of Farmers and Fishers)

  • 김승환;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3호
    • /
    • pp.19-38
    • /
    • 2020
  • 본 연구는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디지털 격차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농어민의 기술에 대한 태도, 물리적 접근성, 활용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농어민 간 인구·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파악하였고, 특히 겸업·전업 농어민 간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서의 격차와 그 원인을 분석했다.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태도, 물리적 접근성, 콘텐츠 관련 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연령과 거주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 격차가 발생했다. 겸업·전업 농어민 간에도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신기술의 대한 태도로 인해서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어민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서 농어민 정보화 교육, 낙후 농어촌 지원, 전업 농어민을 위한 기술 지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 안정임;서윤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69-78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현황과 원인을 리터러시의 세부요인을 중심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세대와 경제수준 변인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격차를 발생시키는지를 실증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어린이, 청소년, 성인, 고연령층에 이르는 미디어 이용자 총 2,1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세대간 집단 차이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8개 세부요인에 따라 각각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경제수준 역시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세대 변인과의 상호작용 효과에 의해, 성인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 김유나;변은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89-97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역량과 정보활용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하나의 모형 속에서 이들의 영향요인을 동시적으로 분석하며 관계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다. 분석자료는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만55에 이상 고령층 1,703명 이었다. 분석방법은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정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함께 디지털 조력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정보활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간 영향요인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영향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관련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