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riving a Strategy for Resolving the Inter-and Intra-generational Digital Divide based on the Continuous Core-periphery Network Model

연속형 중심-주변 네트워크 모형을 통한 세대 간 세대 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 도출

  • 유인진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 하상집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 박도형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08.20
  • Accepted : 2022.03.04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ful insights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between generations. In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pproach it with a perspectiv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tatistical technique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at transforms and analyzes government-led survey data into relational data. First, the cross-sectional data were converted into relational data, and a continuous core-periphery model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ere applied. After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divide an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were analyzed by generation. Findings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ll generations commonly use 'information and news search' and 'living information servic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ly used services of each generation a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linkage between the services is also clearly differ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by generation is also different.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R1A2C1006001)

References

  1. 강월석, 김명석, 고재욱,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3권, 제1호, 2013, pp. 199-214.
  2. 김명용, 전혜정,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3호, 2017, pp. 343-370.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3. 김봉화, "노인의 정보활용, 적응기제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방정식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33권, 2006, pp. 225-256.
  4. 김수경, 신혜리, 김영선, "장노년층의 디지털기기 이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30권, 제1호, 2021, pp. 85-104.
  5. 김은미, 정화음,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격차에 관한 탐색," 언론정보연구, 제43권, 2호, 2007, pp. 125-161. https://doi.org/10.22174/JCR.2007.43.2.125
  6. 김판수, 김희섭, 이미숙, "고령층의 정보 활용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1호, 2014, pp. 25-47. https://doi.org/10.22896/KARIS.2014.17.1.002
  7. 김효정, "결혼이민자 여성소비자의 디지털정보 격차지수 결정 요인: 연령별 차이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6권, 제3호, 2018, pp. 217-232. https://doi.org/10.6115/fer.2018.017
  8. 남수정, "장애인에게 정보격차는 존재하는가?: 연령과 학력의 조절효과의 검증," 소비자학연구, 제22권, 제2호, 2011, pp. 303-321.
  9. 문경주, 장수지,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제11권, 제6호, 2020, pp. 2279-2294.
  10.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 150-187. https://doi.org/10.22174/JCR.2011.48.1.150
  11. 박선주, 김성준, 고정현, 권유진, "디지털 정보활용 유형이 세대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4권, 제3호, 2020, pp. 49-81. https://doi.org/10.24210/KAPM.2020.34.3.003
  12. 박영득, 이재묵, "세대에 따른 통일과 대북인식 차이 분석: 코호트 분석을 중심으로," 글로벌정치연구, 제9권, 제2호, 2016, pp. 31-67.
  13. 박윤미, 채지혜, 김슬기, 권혜선.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CMF Education Programs in Korea," 정보시스템연구, 2021, 제30권, 제3호, pp. 113-135.
  14. 설동훈, 고재훈, "결혼이민자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2012, pp. 3-14.
  15.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5권, 제2호, 2014, pp. 53-75.
  16. 송경재, "디지털 디바이드에서 다층적 스마트 디바이드 사회로: 한국 네티즌 조사를 중심으로," Internet & Society Issue, 제3권, 2011, pp. 5-24.
  17. 신지형, "활동적 장년의 미디어 이용과 소비 행태," KISDI STAT Repor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18. 오세제, "386 세대 세대효과의 특징 연구: 세대효과의 조건적 표출을 중심으로," 21세기 정치학회보, 제25권, 제1호, 2015, pp. 133-164.
  19. 이기호,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디지털 정보 격차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8권, 2019, pp. 16-28.
  20. 이동기,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5권, 제1호, 2021, pp. 219-239.
  21. 이명진, 박기태,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정보화정책, 제16권, 제3호, 2009.
  22. 이상윤, 정명주,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호, 2014, pp. 1-12.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1
  23. 이숙정, 육은희, "디지털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 디지털 활용 능력과 정보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2014, pp. 206-232.
  24. 이호영, 서우석, "디지털 시대의 문화자본과 불평등," 문화정책논총, 제23권, 2010, pp. 69-95.
  25. 이홍재, "결혼이민자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한국 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2차 정보격차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8권, 제1호, 2019, pp. 223-249.
  26. 이홍재, 박미경, "노인의 정보격차와 삶의 만족도: PC 와 모바일 기기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9권, 제2호, 2020, pp. 209-241 https://doi.org/10.22897/KIPAJN.2020.29.2.007
  27. 이홍재, 박미경, 차용진, "북한이탈주민의 스마트 기기 이용능력과 온라인 경제활동 영향요인," 다문화와 평화, 제13권, 제2호, 2019, pp. 194-207.
  28. 임광현,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격차 해소전망에 대한 사회적 배경에 따른 인식차이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2013, pp. 281-308.
  29. 전대성, "노년층의 정보화 역량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2015, pp. 389-408.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3.389
  30. 전승표, 박도형,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브랜드 포지셔닝 시스템: 태블릿 PC 사례를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3호, 2013, pp. 93-111.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093
  31. 정순둘,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3호, 2019, pp. 179-214.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179
  32. 조용완,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 2006, pp. 325-356.
  3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34.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2호, 2012, pp. 198-225.
  35. 황현정, 황용석,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2017, pp. 359-386.
  36. 허석재, "세대와 생애주기에 따른 이념 변화: 세계가치관조사 한국자료 분석 (1990-2010)," 한국정치학회보, 제51권, 제1호, 2017, pp. 181-205. https://doi.org/10.18854/KPSR.2017.51.1.008008
  37. 홍소희, 김민, "MZ 세대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메소드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4권, 제1호, 2021, pp. 113-120.
  38. Buchi, M., Just, N., and Latzer, M., "Modeling The Second-level Digital Divide: A Five-country Study of Social Differences in Internet Use," New Media & Society, Vol. 18, No, 11, 2016, pp. 2703-2722. https://doi.org/10.1177/1461444815604154
  39. Campbell, A., Converse, P. E., Miller, W. E., and Stokes, D. E., "The American Vo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40. Christensen, R., and Knezek, G. A., "Measuring Technology Readiness and Skills," In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Springer: New York, 2014, pp. 829-840.
  41. Delello, J. A., and McWhorter, R. 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Connecting Older Adults to iPad Technolog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 36, No. 1, 2017, pp. 3-28. https://doi.org/10.1177/0733464815589985
  42. DiMaggio, P., Hargittai, E., Celeste, C., and Shafer, S., "Digital Inequality: From Unequal Access to Differentiated Use," Social Inequality, 2004, pp. 355-400.
  43. DiMaggio, P., Hargittai, E., Neuman, W. R., and Robinson, J. P., "Social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27, No. 1, 2001, pp. 307-336. https://doi.org/10.1146/annurev.soc.27.1.307
  44. Fishbein, M., and Ajzen, A.,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ur," Englewood Cliffs: Preventive-Hall, 1980.
  45. Francis, J., Kadylak, T., Cotten, S. R., and Rikard, R. V., "When It Comes to Depression, ICT Use Matter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ffect of ICT Ise and Mattering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pringer, Cham, 2016, pp. 301-306.
  46. Friemel, T. N., "The Digital Divide Has Grown Old: Determinants of a Digital Divide among Seniors," New Media & Society, Vol, 18, No. 2, 2016, pp. 313-331. https://doi.org/10.1177/1461444814538648
  47. Gurau, C., "A Life Stage Analysis of Consumer Loyalty Profile: Comparing Generation X and Millennial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012.
  48. Hargittai, E., "Second-level Digital Divide: Mapping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29th TPRC Conference, 2001, pp. 27-29.
  49. Hargittai, E., and Hinnant, A.,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Vol. 35, No. 5, 2008, pp. 602-621. https://doi.org/10.1177/0093650208321782
  50. Horrigan, J. B., "Digital Readiness Gaps," Pew Research Center, 2016.
  51. Jun, S. P., and Park, D. H., "Visualization of Brand Positioning Based on Consumer Web Search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nternet Research, 2017.
  52. Lissitsa, S., and Kol, O., "Generation X vs. Generation Y-A Decade of Online Shopping,"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 31, 2016, pp. 304-312.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6.04.015
  53. Mannheim, K., "The Problem of a Sociology of Knowledge,"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1952, pp. 134-190.
  54. Min, Y., "The Digital Divide among Internet Users: An Analysis of Digital Access, Literacy,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48, No. 1, 2011, pp. 150-187. https://doi.org/10.22174/jcr.2011.48.1.150
  55. Molnar, S.,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Issue," Information Society, Vol. 4, 2002, pp. 102-118.
  56. Rayburn, J. D., and Palmgreen, P., "Merging Uses and Gratifications and Expectancy -value Theory," Communication Research, Vol. 11, No. 4, 1984, pp. 537-562. https://doi.org/10.1177/009365084011004005
  57. Reisdorf, B. C., and Groselj, D., "Digital Divides, Usability, and Social Inclusion: Evidence From the Field of e-Services in the United Kingdom," In Social Inclusion and Usability of ICT-Enabled Services, Routledge, 2017, pp. 231-250.
  58. Selwyn, 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Vol. 6, No. 3, 2004, pp. 341-362. https://doi.org/10.1177/1461444804042519
  59. Van Deursen, A. J., and Van Dijk, J. A., "The Digital Divide Shifts to Differences in Usage," New Media & Society, Vol. 16, No. 3, 2014, pp. 507-526. https://doi.org/10.1177/1461444813487959
  60. Van Dijk, J. A.,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age Publications, 2005.
  61. Wei, K. K., Teo, H. H., Chan, H. C., and Tan, B. C., "Conceptualizing and Testing a Social Cognitive Model of the Digital Divid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2, No. 1, 2011, pp. 170-187. https://doi.org/10.1287/isre.1090.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