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esign Agenci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의 국내외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Status of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Adverse Disease Events)

  • 양은주;박현우;류근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87-593
    • /
    • 2018
  • 증후군감시는 감염병 발생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적 증상 발생동향을 감시하여 감염병의 발생을 가능한 조기에 인지하기 위해 고안된 감시체계이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응급실 기반의 증후군감시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 시스템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에 관한 문헌조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증후군감시 조기경보시스템 운영현황을 설명, 비교하여 한국의 응급실 기반 증후군감시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의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공공플랫폼 구축사업의 거버넌스: 경기도 배달플랫폼 '배달특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A Public Platform Project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Special Delivery')

  • 서정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5-28
    • /
    • 2022
  • Recently, government agencies are actively adopting the platform model as a means of public policy. However, existing studies on the public platform are minimal and have focused on user experiences or the possibility of public usage of the platform model. Now the research concerning building governance structure and utilizing network effects of the platform after adopting the platform model in the public sector is keenly required. This study intended to ignite academic dialogue on the governance of public platforms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focused on a case of the 'Special delivery,' a public delivery app established by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latform and its governance struc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s releases, policy reports, and news articl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rame of Hagui's platform design factors and Ansell & Gash's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The results of the public platform analyses showed 1) incompleteness in the value trade-off accounting, which was designed for platform business based on general cost-benefit analysis, and 2) a closed governance structure that limits direct participation of diverse user groups(i.e., service provider, customer) in order to enhance providers' utility by preventing customers' excessive onlin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designing the strategy for accounting for value trade-offs and functioning governance structure for public platforms.

차량운행 데이터의 효율적인 업로드를 위한 파일변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le Conversion System for Efficient Upload of Vehicle Operation Data)

  • 안정섭;하일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6-542
    • /
    • 2016
  • 화물 및 여객 운송사업자는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Digital Tachograph)를 차량에 장착하여 그 운행기록을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여 정부기관에 보고하여야 한다. 하지만 운행기록 장치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출하는 절차가 복잡해서 컴퓨터 환경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컴퓨터 이용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개인 운송업자에게는 큰 불편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모바일 장치를 통해 간편한 방법으로 정부기관에 제출할 수 있도록 운행기록파일을 정부기관의 요구형태로 변환하는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실제 운행기록 장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제안한 시스템에 입력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파일을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을 데이터 뷰어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제안된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증거 선별 조사의 효율성을 위한 Digital Evidence Container 설계 및 구현 (A New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Evidence Container for Triage and Effective Investigation)

  • 임경수;이창훈;이상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4호
    • /
    • pp.31-41
    • /
    • 2012
  • 최근 국내외 수사 기관은 초동 수사 시 현장에 컴퓨터가 있을 경우, 사이버 범죄 수사가 아닌 경우에도 시스템을 압수 또는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단계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확보한 시스템으로부터 용의자의 범죄 사실 입증을 위한 정황 증거를 확보하여 수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 범죄가 아닌 일반 범죄 사건에서 확보한 시스템에서 디스크 이미지를 확보한 후, 면밀히 조사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신속한 사건 대응이 필요한 납치, 살인사건과 같은 범죄 유형에는 더욱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기업 수사에서도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서버 조사에서 나아가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디스크 단위의 복제는 불가능하므로 선별 수집한 디지털 증거를 분석에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증거를 선별 수집하더라도 이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이 존재하지 않아 법정에서 증거력을 증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별 수집된 다양한 디지털 증거를 보관하기 위한 새로운 증거 보관 포맷을 제시한다. 본문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증거 포맷은 다양한 디지털 증거 자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과 확장성에 중심을 두었으며, 일반적인 XML 기술과 압축 파일 포맷을 이용하여 기존 시스템에 적용하기 쉽도록 설계하여 기존 연구들보다 활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국방 CALS를 위한 IWSDB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WSDB for National Defense CALS)

  • 신선우;손해용;김철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16
    • /
    • 199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pproach to construct IWSDB for National Defense CAL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Korean version of CALS conception,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national defense system with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of IWSDB. A long-tenn goal of CALS is to construct fully Integrated Data Environment (IDE) and establish IWSDB for the application of CALS conception to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weapon system. IWSDB is a set of databases that contain digital data. It supports common interface of data objects and databases throughout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weapon system, including design, engineering, analysis, manufacturing, operation, and logistics. etc. The goal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we propose a righ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Data Environment. For the integrated database technology, we use the five schema architecture and the distributed object oriented technology that will lead to the "share of data." Second, we present the most effective IWSDB architecture for defense CALS, which will provide the efficient data sharing by business process modeling. Third, we suggest that IWSDB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rocess which is related to the acquisition and logistics of weapon system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implemented with GITIS for government agencies and CITIS for the industries in order to obtain the efficient data sharing.

  • PDF

지역신도시의 정체성과 경쟁력 조기확보를 위한 축제의 역할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내포신도시"의 경우를 중심으로 - (The Studies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festival for early securing of competitive identity in new urban city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epo new city in Chungnam -)

  • 설기환;박명혜;유석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411-420
    • /
    • 2016
  • 충남의 도청이전이 추진되어 지역의 균형발전을 기본이념으로 하여 지형적으로 충남의 중심부인 홍성과 예산지역에 '내포신도시'가 조성 중에 있다. 2단계의 종료연도인 2015년의 목표달성이 거의 20%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 원인은 매우 복잡하겠지만, 중앙정부의 중앙정부기관이전과 세종특별자치시를 건립하면서 충남이 정책적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된 셈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차원의 혁신도시건설에 준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자체적으로 국 내외의 지역도시들이 축제를 통하여 지역의 브랜드와 경쟁력을 만드는 것처럼, '내포신도시'만의 정체성과 첨단산업단지를 안고 있는 글로벌 지역의 첨단기술이 아우르는 축제를 핵우산으로 삼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전략의 뒷받침이 되는 분석과 실질적으로 추진가능한 혁신전략과 축제의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하여 '내포신도시'의 현안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재난통신 체계에 따른 품질요건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 양정모;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327-335
    • /
    • 2015
  • 재난통신망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에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이동통신 기술인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자가망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의 일원화된 통신체계 유지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난재해 현장에 위치한 피해당사자와의 통신을 고려하지 않고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 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동향과 해외 선진사례를 해석하여 전 범위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고 통신주체와 목적에 따라 재난통신 영역을 새롭게 정의하여 재난통신 영역을 통제통신, 대응통신, 현장통신, 당사자통신, 경보통신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정의 된 재난통신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핵심 품질요건을 재설계하여 영역별 음영지역 없는 전 범위 재난통신 체계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우리나라 측량·공간정보관리에 관한 통합시스템 연구 -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 모델의 도입 - (Unified Systems on Surveying and Geoinformation Management in Korea - New Conceptual Design of Korean NSDI Model -)

  • 이영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79-1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공간정보관리" 전략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측량 공간정보관리"를 위한 통합시스템을 연구하고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존 NGIS사업 및 공간정보정책을 검토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전자정부, 지구관측 등 국내외 흐름을 반영하여 대축척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Bottom-up 방식으로서 NSDI의 정보영역을 수정하여 새롭게 정의하고[그림 1], 수치지도 등을 기본공간데이터와 동등한 개념으로 하여 공공-민간데이터의 공유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NSDI 모델을 제시하였다[그림 2]. 또한, 현재의 독립적인 국토교통정보화의 운영체계는 다른 부처의 응용분야(산림, 환경, 농업, 문화재 등)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내부인 다른 부문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지방 중심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새로운 개념의 NSDI를 국토교통부에 적용한 기관모델을 제안하고 있다[그림 3]. 새로운 국토교통부 SDI 기관모델에서는 공간정보 부문을 모든 활용 부문의 공통 기반으로 하고 데이터를 재편성하는 모델이며, 공통기반데이터를 통하여 소속기관 및 지방정부 데이터를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정부3.0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은 국토지리정보원 기본도 데이터, 지방정부 KLIS 데이터, 지방정부 공공시설물 데이터를 모두 기본공간데이터 개념에 포함하게 되면, 현재 법령 또는 관리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모든 도면과 공부를 공통 기반(수치지도)과 통합, 연계하여 현행화할 수 있는 전략모델이다.

대학생들을 위한 취업지원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안-사례 연구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of an employment support management system for college students - A case study)

  • 김재생;김경훈;경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329-338
    • /
    • 2014
  • 오늘날 각 대학의 취업률은 대학 등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취업예비생은 원하는 취업정보를 얻기 위해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취업지원 사이트들에서 원하는 취업정보들을 이용하고 있다. 웹기반 취업지원업체들과 각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많은 취업지원시스템들이 있지만, 이들은 취업지원관리 위주가 아닌 취업정보를 알리는 데에 더 중심을 두고 있다. 또한, MOU기업, 산업체 현장실습, 취업 멘토교수 등과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해주는 기능과, 각 기업들이 원하는 학생들의 정보(이력서, 자기소개서 등)와 학생들이 원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주고 관리해주는 기능도 부족하다. 따라서 취업관련 초기 데이터(학생 및 기업정보)의 저장에서부터 취업관리까지 지원해주는 취업지원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취업지원시스템의 기능에 권한별 취업관리 기능을 고려하였고, 스마트 폰에서도 취업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학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공간데이타 통합 기능을 활용한 국가자연환경 종합 GIS구축 (Nationwide Comprehensive GIS for Natural Environment using Spatial Data Integration Technique)

  • 엄정섭;김윤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7
    • /
    • 2001
  • 본 연구는 GIS의 공간데이타 통합 기능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자연환경 샘플링 조사의 결과를 지도화하고 자연환경 관련 각종 주제도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그 결과를 토대로 정부의 각종 자연보전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전국 규모의 실용적인 자연환경 GIS의 구축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리하여 현지 샘플링 조사의 수치 지도화 작업이 이루어졌고 기존의 다양한 자연환경관련 주제도가 통합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아울러 GIS 비전문가도 필요한 정보를 쉽게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자인되었다. 구축된 시스템은 다양한 자료처리능력, 신속성을 바탕으로 지금까지는 불가능했던 방대한 양의 각종 자연환경 지도정보와 속성정보를 통합한 분석기능을 제공하여 의사결정 보조수단으로서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기존의 조사지점에만 국한된 통계 수치정보가 광역적인 자연환경변화 추이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으나, 컴퓨터 지도의 시청각 효과를 이용한 광역공간정보의 활용을 통해 자연환경정책 결정과정의 설득력 확보에 기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과거 자료검색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 수립 등 많은 업무를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과학적인 정책결정이 아닌 직관에 의존하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가 이와 같은 관행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국가 전체차원의 자연환경GIS 구축이나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보다 대축척인 자연환경GIS 구축사업에서 기술적이나 정책적인 측면의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