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oast Char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연안역통합관리를 위한 GIS 기반 해양정보학 (GIS-based Ocean Informatics for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 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7-237
    • /
    • 2004
  • Recently development trends in information technology expand the activity boundaries for human living beyond coastal zones. These rapid changes of paradigm are stimulating scientists and strategists to be encouraged in making adequate model for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GIS) and their applications. Coastal zones are places which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water quality, tide, wave, atmosphere, population, industry, etc. Theref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ast has to be integrated and analyzed for managing it efficiently. GIS-based Ocean Informatics is suited for those purposes and used in the study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coastal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reviews the properties of ocean and coastal spaces, then defines some MGIS related terminologies for clarifying the scope of MGIS boundaries. In this study, coastal geographic information is established by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and digital terrain information. Digital coast chart having information on digital chart and map can merge and analyze various coastal information and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coastal integrated management.

현저한 해안 위치를 절점으로 선정하는 디지털 해도에서의 해안선 데이터 압축 (On the Coastline Date Compression in Digital Chart Selecting Conspicuous Coast Positiona as Node Points)

  • 임정빈;고광섭;최낙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0
    • /
    • 1998
  • Since the digital chart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points,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coastline data compression(CDC), storing the data compactly and reproducting the coastline feature accurately, is important. In the CDC, the key technique is to determine the optimal positions as node points in given coastlines. In this paper, a new CDC method, selecting node points with conspicuous coast positions in the view point on navigation and adopting spline interpolation to the nodes partly, is proposed. Using the northern part of KEOJE-DO coastline in Korean chart No.204, CDC experiments are carrie out with various compression ratio. The results fro the influence of coastline shape according to various CDC methods are discussed and presented.

  • PDF

육.해도 통합수치도 제작 기술 개발과 응용 방안+ (A Stud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lan for making an Integrated Digital Map of an Electronical Navigational Chart and a Digital Terrain Map)

  • 이기철;정희균;박창호;서상현;김정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47-356
    • /
    • 1999
  •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chnology and the ways of the practical use of the integrated digital map of and Electronical Navigational Chart(ENC) and Digital Terrain Map(DTM) for the effective and scientific based conserva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as preliminary studies to make eventual integrated maps, the concept of coastal areas are def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ps developed by Korean Geography Institute and National Marine Investigation Institute are carefully analyzed. A test coastal map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tegrated digital map, a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Results from the edge matching analysis of coastal lines shows 8 meters difference in maximum. The problems, causes and solutions for the edge matched differences are described. Furthermore, the practical value of utilization, future use and various field of application are described based on the integrated digital map data base of coast area.

  • PDF

DGPS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조사 및 분석 - 강원도 강릉시 연안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horeline Change using DGPS - Focusing on the Gangnung City Shore in Gangwondo -)

  • 이형석;김인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0
    • /
    • 2007
  •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경향이 발생되고 있어 해안선 변화에 따른 자연보존 및 개발의 대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시 연안 지역을 선정하여 약 2개월의 주기적인 간격으로 6회의 DGPS 측량을 실시하였고, 관측 자료는 강릉상시관측소를 기준으로 약 50cm 정확도로 후처리하여 1998년 수치지형도 및 2006년 수치해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DGPS 측량값들은 수치지형도 해안선과 비교하여 볼 때 국부적으로는 강문항 도류제 설치부근과 남항진의 남측에 침식이 발생하였고 남항진 지역의 방파제 부근에는 많은 해안 퇴적이 일어났으며, 다른 지역의 경우도 부분적으로 해안 퇴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IS 자료입력에 알맞은 데이터 취득 방법으로 DGPS를 이용하여 수평자료 획득이 용이하고, 해안 개발에 따른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측을 통한 시계열적 해안선 변화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Fusion and Visualization using Multibeam Sonar Data with Various Spatial Data Sets for Marine GIS

  • Kong, Seong-Kyu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407-412
    • /
    • 2010
  • According to the remarkable advances in sonar technology, positioning capabilities and computer processing power we can accurately image and explore the seafloor in hydrography. Especially, Multibeam Echo Sounder can provide nearly perfect coverage of the seafloor with high resolution. Since the mid-1990's, Multibeam Echo Sounders have been used for hydrographic surveying in Korea. In this study, new marine data set as an effective decision-making tool in various fields was proposed by visualizing and combining with Multibeam sonar data and marine spatial data sets such as satellite image and digital nautical chart.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around the port of PyeongTaek-DangJin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Visualization and fusion methods are described with various marine data sets with processing. We demonstrated that new data set in marine GIS is useful in safe navigation and port management as an efficient decision-making tool.

연안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육·해도 통합수치도 제작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an Integrated Digital Map Generation to a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and a Digital Topographic Map for Coas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 이기철;박창호;김정희;서상현;정희균;최준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
    • /
    • 1999
  • 우리 나라는 연안의 효율적인 보전 이용 개발을 위하여 연안통합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육지와 바다에 대한 각각의 국가기본도 수치지도 제작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연안통합관리를 위한 육 해도 통합수치지도 제작에 대한 계획수립은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안통합관리를 위한 연안 통합수치지도 제작에 대한 기초연구 단계로서 연안의 개념적 정의를 규정하고,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작한 전자해도(ENC)에 대한 각각의 수치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제작과정, 내용 및 구조적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고, 수치지도와 전자해도를 우리 나라의 좌표계와 UTM 투영법을 기준으로 해안선을 매칭시켰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차이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연안 통합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연구의 틀을 마련하고, 이것의 활용 가치, 기대효과 및 응용분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치지도 시범 제작의 일환으로 부산광역시 서구지역을 대상으로 국립지리원 1/5,000 수치지도와 국립해양조사원 1/10,000 전자해도를 약 14 km 에 걸쳐 결합한 결과, 뚜렷한 정오차는 보이지 않았다. 인공지형 해안선 매칭에서 나타난 RMS 차이는 13.83m 이며, 자연지형 해안선 매칭에서 나타난 평균 이격거리는 4.37m로, 제도 등에 의한 기대 오차보다 특히 인공지형에서 오차가 아주 크게 나타났다.

  • PDF

전자항해서지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Nautical Publication)

  • 오세웅;박종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4
    • /
    • 2010
  • 항해서지란 수로정보를 담당하는 공인기관에서 제작한 항해 목적의 책자 혹은 정보로서, IMO의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나 항만국통제(PSC) 등 항해 요구사항을 만족하며, 등대표, 전파 신호, 항행통보, 항로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국제수로기구의 항해서지 실무 그룹은 수로 및 항해 관련 요구사항을 전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준을 수립하고 있으며, 항해서지를 책자 유형의 NP1, 전자 유형의 NP2, ECDIS 사용목적의 NP3로 구분하고 있다. 항해서지는 해도와 함께 중요한 정보로서 해도제작 체계와 연계, 최신성,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자적인 항해서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책자 유형의 NP1의 수준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자항해서지 현황과 국제 동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자항해서지 개발방안을 제시하고, 전자항해서지 시범개발 내용으로서, 남해안 항로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항로지 편집 프로그램 개발, 항로지 정보의 KML 변환, 항로지 사용자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 하였다.

웹 기반의 전자해도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Systems Based on the Web)

  • 이성대;박휴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49-1458
    • /
    • 2006
  • 전자해도는 연안과 바다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지도이다. 이러한 전자해도에는 일반인들도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특수한 데이터 포맷과 전용의 표시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손쉽게 전자해도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전자해도 시스템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에서는, 우선 S-57 포맷으로 코딩되어 있는 전자해도를GML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청에 부합하는 정보를 검색한 후, SVG 포맷의 그래픽으로 변환하여 웹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기본적으로 웹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손쉽게 전자해도를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범용표준인 XML에 기반한 GML과 SVG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효율성도 증대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고 시험하였다.

수치고도 모델을 이용한 사천만 해안지역의 3차원 지형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on the Coastal Landform of the Sacheon Bay, South Sea of Korea)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3-216
    • /
    • 2003
  • 본 논문은 경남 사천만을 중심으로 위성영상과 GIS 기법을 이용하여 수치지형도와 수치해도를 결합한 수치고도 모델(DEM) 제작을 통해 육지와 천해를 연계한 해양지형의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수치고도모델의 제작은 육지 고도 및 해저 수심 레이어 추출 UTM 재투영, 좌표점의 이동과 보간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 졌다. 조류이동, 천해퇴적, 수심 등 해저지형 분석은 Landsat TM 밴드 육안분석, 육지부 마스킹, 밴드합성, 회귀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천해 실측자료는 오차를 수정하여 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치고도모델에서 분석된 지형요소들은 하천, 선상지, 조류, 단구, 해적퇴적층 등이다. 연안 퇴적작용은 하천 운반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데, 특히 진양호의 배수로인 가화천은 계절작으로 여름철에 공급량이 많으며 조류의 영향이 적은 곳에 퇴적층이 잘 발달하였다. 단구지형이 발달한 만안쪽에는 조류퇴적물의 영향이 크고, 소규모 만입은 해안류에 의한 운반물오 폐쇄되는 특성을 보인다. 사천만 동안의 선상지 지형은 해저까지 연장되어 발달하고 있다. 진주만 뱅크는 잔류 구릉이 침수된 것으로 미립물의 해저 퇴적지 역할을 하고 있다.

  • PDF